View : 8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조현지-
dc.creator조현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6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ollocation comprehension test, then analyzed the result to understand individual vocabulary knowledge as node which consists of collocation, length of residence (LOR), and interaction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quisition of collocation to married female immigrants. It is known that collocation consists of node (which mainly forms a meaning) and collocate (which plays a supportive role in forming a meaning). However, in actual,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n individual vocabulary which acts as a node and that on collocation has not been yet proven. And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re continuously exposed to a language acquisition environment, though their learning hours are short, they are constantly in interaction with native speakers. Therefore, the study on the influence on LOR and interaction will help with collocation acquisition which is integral to fluent and accurate Korean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test of collocation comprehension knowledge of a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 which consists of 'noun+predicate', to 68 married female immigrants studying Korean as second language at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picked subjects with various LOR and measured interaction scores by checking the portion of Korean usage and the time spent on conversation depending on interlocutors in order to measure interaction in terms of quantity. In the collocation comprehension assessment, self-assessment regarding noun was added to Collmatch of Gyllstad (2009). The result of the collocation comprehension assessment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wo-way ANOVA) with the SPSS 17.0 softwar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Question 1. What relation does it have between the collocation knowledge and the individual vocabulary knowledge as node? Question 2. What is the influence of length of residence on the collocation acquisition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Question 3.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with native speakers on the collocation acquisition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n the test result. First, after conducting a linear regression to see the influence of node on collocation knowledge, self-assessment points and determination coefficient were very high which was .797. Also, it was shown that in intermediate level questions rather than in those of a beginning level, the predictability of collocation knowledge points of individual vocabulary knowledge regarding node was much higher.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collocation education was highly needed as shown that in beginning level, there lacks the ability to choose a right collocate though there was individual vocabulary knowledge in node. Second, to check the influence of LOR on collocation acquisition, an analysis with exclusion of the influence of length of learning, was conducted through ANCOVA.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collocation knowledge score between different groups with various LOR, but as LOR, the correlation in collocation knowledge decreased. In case of a node score, an individual variation was small in a long-term residence group compared to that in a short-term residence group,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collocation comprehension score. This implies a broader individual variation on collocation comprehension knowledge than on individual vocabulary knowledge. Thus, as such facts were found, collocat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long-term residents to narrow their individual variation in collocation acquisition. Third,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see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interaction on collocation acquisition. It was found that among all groups of different lengths of residence, there was almost no meaningful difference in collocation comprehension scores. This implies that the amount of interaction has little impact on collocation acquisition. This study came up with a result that LOR had a great influence on collocation acquisition, there was an enormous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vocabulary knowledge as node and collocation knowledge, and as LOR becomes longer, the amount of collocation knowledge increased. However, married female immigrants had a difficulty choosing a right collocate regarding collocation which consisted of basic vocabulary and there found a great acquisition deviation between long-term residents. Also, contrary to expectation, the amount of interaction was found meaningless as an influence factor of collocation acquisition. Considering the analysis results, collocation education of beginning level, and collocation education for long-term residents should be implemented. Also, by having as much conversation with the native speakers in a place where a target language is vastly used, does not always become meaningful interaction. The quality of the convers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 rather than the amount of interaction.;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연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연어를 구성하는 연어핵에 대한 개별 어휘 지식, 거주기간 및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연어 이해 평가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어는 의미의 중심을 이루는 연어핵과 이를 보조하는 연어변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로 연어핵 역할을 하는 개별 어휘에 대한 지식과 연어 지식과의 관계는 검증된 바가 없다. 또한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우 학습 시간이 적은 대신 자연적 습득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속에서 모국어 화자와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한다. 따라서 거주기간과 상호작용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유창하고 정확한 한국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연어 습득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학습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68명을 대상으로 ‘명사+서술어’ 구성의 초․중급 연어 항목에 대한 연어 이해 지식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거주기간은 다양하게 구성하였으며 상호작용의 양적인 측정을 위하여 대화 상대별 1일 대화시간과 한국어 사용비율을 조사하여 상호작용점수를 측정하였다. 연어 이해 지식 평가는 Gyllstad(2009)의 COLLMATCH에 명사항에 대한 자기 평가 문항을 추가하여 연어핵을 아는 경우에만 연어 이해 평가의 정답을 인정하였다. 평가의 결과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단순회귀분석, 공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의 내재설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하여 유의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연어핵에 대한 개별 어휘 지식과 연어 지식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연구문제 2. 여성 결혼이민자의 연어 습득에 거주기간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여성 결혼이민자의 연어 습득에 모국어 화자와의 상호작용의 양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어 이해 지식 평가 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어핵이 연어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명사항에 대한 자기 평가 점수와 연어 이해 평가 점수간의 결정계수는 .79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급보다 중급 문항에서 연어핵에 대한 개별 어휘 지식의 연어 지식 점수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급 단계에서는 연어핵에 대한 개별 어휘 지식을 지니고 있더라도 연어변을 선택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연어 교육의 필요성이 높았다. 둘째, 거주기간이 연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통해 매개변수인 학습기간의 영향을 통제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주기간이 서로 다른 집단 간에는 연어 지식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기간이 길수록 연어 지식과의 상관관계는 감소하였다. 연어핵 점수의 경우 장기거주 집단 내의 개인차가 단기거주 집단에 비해 작아졌으나 연어 이해 점수의 경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연어는 개별어휘에 비해 거주기간이 길어도 개인차가 줄어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상호작용량이 연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의 내재설계를 통해 분석한 결과, 모든 거주기간별 집단 내에서 상호작용량에 따른 연어 이해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상호작용량이 연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거주기간이 여성 결혼이민자의 연어 습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연어핵에 대한 개별 어휘 지식과 연어 지식이 매우 큰 상관관계를 가지며 거주기간이 길수록 습득한 연어 지식의 양은 증가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들은 초급 어휘로 구성되는 연어에 대한 연어변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거주자의 경우 습득의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상과 달리 상호작용량은 연어 습득의 요인으로 무의미하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초급 단계의 연어 교육 및 장기 거주자에 대한 연어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목표 언어 환경에서 모국어 화자와 많은 대화를 나누는 것이 모두 유의미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상호작용의 양이 아닌 질적인 측면을 연어 교육에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5 A. 이론적 배경 5 1. 언어노출환경과 제2언어 습득 5 2. 상호작용이론 8 3. 연어 10 B. 선행연구 19 1. 거주기간과 제2언어 습득 연구 19 2. 상호작용과 제2언어 습득 연구 22 3. 한국어 교육의 연어 연구 24 4.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 27 C. 연구문제 및 가설 29 Ⅲ. 연구 방법 31 A. 연구의 설계 31 B. 연구 대상 32 C. 상호작용량 측정 도구 32 D. 연어 이해 평가 도구 33 1. 목표 연어 항목의 선정 33 2. 연어 이해 평가 도구 제작 36 E. 연구 절차 39 1. 연어 이해 평가지 제작 39 2. 예비 실험 40 3. 본 실험 41 F. 자료 분석 42 1. 상호작용량의 점수화 42 2. 평가지 채점 42 3. 통계 분석 43 Ⅳ. 연구 결과 45 A. 평가 대상자의 인적 사항 45 B. 연어핵과 연어 이해 평가 결과 48 1. 분석의 결과 48 2. 결과 해석 및 논의 52 C. 거주기간이 연어 이해 지식에 미치는 영향 53 1. 분석의 결과 53 2. 결과 해석 및 논의 59 D. 상호작용량이 연어 이해에 미치는 영향 62 1. 분석의 결과 62 2. 결과 해석 및 논의 65 Ⅴ. 결론 67 A. 연구 결과의 요약 67 B. 연구의 시사점 70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1 참고문헌 74 부록 1. 연어 평가지의 문항 구성 80 부록 2. 언어권별 질문지 82 1. 질문지(한국어) 82 2. 질문지(베트남어) 86 3. 질문지(중국어) 90 4. 질문지(일본어) 94 5. 질문지(몽골어) 98 6. 질문지(영어) 102 부록 3. 연어 이해 평가지 106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55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거주기간과 상호작용이 여성 결혼이민자의 연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Length of Residence and Interaction on the Acquisition of Collocations-
dc.creator.othernameCho, Hyun Jee-
dc.format.pagex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