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희-
dc.contributor.author김도희-
dc.creator김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69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6999-
dc.description.abstractA professional consultant, Mark Penn predicted the future where the choices made by individual tastes would form one of the most dominant variables. This indicates that the time when the diversity of individuals' autonomous choices coexist is being approached, as taking the place of the past trend that several main stream influences would strongly dominate the entire society. The prediction cannot be any less important to the designers who create the new values on the very front line of the trends, and it is because our society is entering the time of design customization which exceeds the stage of multi-item small-quantity productions. This phenomenon implies that if the individual tastes of the designers have been hidden under the disguise of standardized design process until the 20th century, our contemporary designers are required to actively reflect their unique tastes and express their own design colors into their works. The problems generated at the design process are resolvable only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er's recognitions on their experiences and feelings. Besides, only when their own sensitivities and individualities are allowed to be expressed in their unique ways of resolutions, the originality of the designs can be supported and secured. Thus, these issues definitely require the initial attentions of the future designers from their early childhoods and must be actively recognized at the college education process especially when the professional training is obtained. However, since the teachers and the instructors who are taking their responsibilities over the design educations tend to obscurely consider that their own tastes and sensibilities are superior to the others' and the issues of individual tastes are judged as impossible to be concretely and objectively stated, the necessary attentions and the practical studies on this particular subject are not being sufficiently achieved. As recognized from this situation, the dominant aspect of designs in our society displays overly standardized tastes in plastic arts and styles in which 'only several styles' are flooding over 'the diversity of the designs'. Based on the premises of this current situation, this research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future designers, namely the freshmen at the design colleges, and the professional designers with at least 10 years of work experiences in order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contemporary designers tastes in plastic arts taking relative approaches. If synthesizing the research findings, it was observed that the future designers had much broader and diverse points of view and the reasons for their preferences also had a broad spectrum. First of all, for the tastes of the professional group, more than 90% came under the (+, -) category in which their styles and tastes in plastic arts show a clear consistency. Whereas the (-) category in which they show reluctant tastes or the (R) category where the tastes change over time without any consistency were observed as very low in their numbers. On the other hand, the future designer group showed similar levels for all three categories which meant that the (-) sub-group and the (R) sub-group were more in their number by 20-30% in the comparison with the professional designer group. Also, the range of selecting the preferred styles was broader at the future designer group. Among the group of professional designers, the industrial professionals or the freelancers had broader spectrums of tastes than the educational professional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designers' recognition and consistency on their own tastes have considerable impacts on the determinations of the design output levels. Similarly to the professional designer group, the (+, -) sub-group reached the most excellent grade in overall, and demonstrated better capabilities at the parts considered as rational areas such as balance, form, etc. including a comprehensive aesthetic appreciation test, Gestalt. Whereas, the (-) sub-group was assessed with low grades at the functionality evaluation or at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mpletion such as details, balance, etc., however with exceptionally good grades at the items of evaluating the designers' styles, newness and interests. On the other hand, the future designer group under the (R) category received the grades lower than the average grade 4 at all divisions of the design evaluation in regard to the aesthetic appreciation, but a small number of future designers with excellent design talents were discovered through a qualitative study, which should not be disregarded at all. Along with this observation, designers' thoughts on their works and abilities to select concepts and their time management skills during the work hours were also discovered as very important influences to obtain good outcomes of designs. Especially, the (-) category that was not much found at the professional designer group meant the group with the most strong individualities which became the strengths that the professional designer group was missing. A question must be raised on whether the designers are being forced to grow as the ones with the most generally accepted tast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being socialized, as the main axis of these groups is currently at the professional group. However, as seen in the indices of the output evaluation at the (R) sub-group who only had diversities without the consistency of tastes, the conclusion that it is not expectable to obtain good outputs only with 'diversity' and 'individuality' should not be neglected, either. Therefore, the professionals in the design education field must support a broad spectrum of various tastes of future designers in plastic arts and help them to have diversities in the consistency of design styles. It is believed that when the fundamental philosophies and mental values in which the individual tastes are rooted and visualized are deeply understood to develop the diverse tastes of designers into their own styles, the true values of designs can be truly realized and appreciated.;컨설팅 전문가인 마크 펜(Mark Penn)은 ‘개인의 취향에 따른 선택이 지배적인 변수가 되는 미래’를 예견한 바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주류의 흐름을 가지는 몇몇의 트렌드가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던 시대에서 개인의 주체적인 선택의 다양함이 공존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트렌드의 최전방에서 새로움의 가치를 창출해내는 디자이너에게는 더욱더 중요한 사안이 될 수밖에 없는데, 앞으로의 사회는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를 넘어서 디자인 커스터머제이션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20세기까지 디자이너들의 개성이 규격화된 디자인 프로세안에서 감추어져 있어야 했다면, 동시대 디자이너들은 그들의 독특한 취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자신만의 색깔을 들어 낼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디자인의 문제는 결국 ‘디자이너’가 경험하고 느끼고 인식하는 과정 속에서 해결된다. 그리고 디자이너마다의 해결책 속에서 그들만의 감수성과 개성과 같은 취향의 문제들이 들어나야 디자인의 독창성(originality)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아동기에서부터 관심을 기울여 특히 전문 디자이너를 양성 해야 하는 대학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디자인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수 자들은 막연히 자신의 취향이나 감수성이 우월할 것이라고 간주하며, 취향의 문제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진술이 불가능하다 판단하여 이에 대한 관심이나 실질적인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우리 사회의 디자인 양상은 ‘다양함’보다는 오히려 ‘몇몇의 스타일’만이 팽배해 지나치게 획일화된 조형적 취향과 스타일이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시대 디자이너들의 조형적 취향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예비디자이너인 디자인 학부 일학년 학생들과 평균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 디자이너들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예비디자이너들은 전문가 집단보다 취향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양하고 넓으며 그 취향을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다양함을 가지고 있었다. 우선 전문가 집단의 취향은 90%이상이 자신의 조형적 스타일과 취향에 확실한 일관성을 가지는 (+,-)집 군이었으며, 싫어하는 취향만 강한 (-)집 군이나, 취향의 일관성이 없이 그때그때 바뀌는 (R)집단은 극히 소수에 불과했다. 반면 예비전문가 집 군 은 세 가지 형태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집 군과 (R) 집 군이 전문가 집 군 보다 각각 20-30%이상씩 많았다. 또한 선호 스타일을 선택하는 범주도 예비전문가들이 더 다양했다. 전문가 집단 중에서는 산업계나 프리랜서 집단이 교육계보다 더 다양한 취향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른 어떤 요인보다 디자이너들이 자신의 취향에 대한 이해와 일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디자인 결과물의 수준을 결정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전문가집단과 동일한 (+,-)집 군의 예비전문가 집단 디자인이 전체적인 평점에서 가장 뛰어났으며, 통합된 심미성 평가인 게슈탈트를 비롯해서 균형, 형태 같은 디자인에서 이성적인 영역이라고 간주되는 부분에서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반면 (-)집단은 전달 력 을 요하는 기능성 평가에서나 그래픽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디테일, 균형 같은 요인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았지만, 디자이너의 스타일, 새로움과 흥미를 평가하는 항목에서는 (-)집단이 월등히 높은 평점을 받고 있다. 반면 (R)지표를 가진 예비 전문가 집 군은 심미성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 평가의 모든 평점에서 평균 4점 이하의 낮은 점수와 평가를 받았으나, 소수의 뛰어난 디자인 능력을 가지고 있는 예비전문가가 있는 것이 질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며, 그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와 더불어 디자이너로서 자신의 작업에 대한 생각과 컨 셉 을 설정하는 능력, 디자인에 집중하는 동안의 시간 관리 등이 좋은 디자인 결과물을 가져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전문가의 취향지표에서는 많이 찾아볼 수 없는 (-)집단은 전형적인 전문가집단이 가지고 있지 않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가장 개성이 강한 집단이었다. 이러한 집단의 축이 전문가 집단이 되면서 사라지고 있는 것은 디자이너들이 교육받고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가장 보편적 취향의 입맛에 맞는 디자이너로 성장하도록 강요 받고 있지는 않은지 반문해보아야 한다. 그렇지만 취향의 일관성이 없고 다양함만을 가지고 있는 (R)집단의 결과물평가 지표에서 보듯이 ‘다양함’ 과 ‘개성’만으로는 역시 좋은 결과물을 기대할 수는 없음은 또 다른 중요한 결론 점이다. 따라서 디자인 교육전문가들은 예비전문가들의 다양한 조형적 취향의 스펙트럼을 살려주면서 그 조형적 스타일에 대해서는 일관성 속에 깊이 있는 다양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취향이 자신의 스타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자신의 취향이 가시화되는 스타일의 근본적인 철학이나 정신적 가치까지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때 디자인의 진정한 가치가 발현될 수 있다고 믿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연구의 필요성 4 D. 연구방법 4 E. 연구의 기대효과 5 F. 전체연구 설계도 6 Ⅱ. 이론적 배경 7 A. 취향의 정의와 이해 7 1. 취향의 정의 7 2. 취향문화의 생성과 취향공중 11 B. 취향의 선택과 디자인 스타일 14 C. 디자이너의 취향과 영향력 19 Ⅲ. 연구방법 및 설계 28 A. 조사대상 및 선정기준 31 B. 취향 선호도 실험설계 33 1. 자료선정 및 조사기준 33 1.1. 아르누보(Art nouveau): 1890-1910 36 1.2. 아르데코 (Art Deco): 1910-1939 37 1.3. 모더니즘(Modernism): 1920-1940 38 1.4. 스칸디나비아 모던(Scandinavian modern): 1930-현재까지 39 1.5. 팝아트 (Pop Art): 1950-1970 41 1.6. 해체주의(De-constructivism) :1990-현재까지 42 1.7. 에스닉 (Ethnic):1970년대 후반 -1980년대 43 2. 취향지표조사와 유형분류기준 47 3. 디자인 샘플 테스트 51 C. 질적 연구와 통계적 방법론 53 Ⅳ. 연구결과 분석 54 A. 취향의 분포와 유형분석 54 1. 상위개념 유형분류 54 2. 하위개념 유형분류 56 2.1. 취향이 일관된 집단(+,-)의 스타일별 분류 56 2.2. 취향이 일관된 집단(+,-)의 인지적 특징 61 2.3. 싫어하는 취향만 일관된 집단(-)의 스타일별 분류 64 2.4. 취향이 일관되지 않은 집단(R)의 특징 66 3. 전문가 집단 간의 유형별 특징 69 4. 취향 ·디자인 작업스타일에 관한 설문 결과 73 B. 취향의 지표와 디자인 결과물 79 1. 디자인 평가 기술통계 분석 95 C. 질적 연구분석 98 1. 예비전문가 질적 인터뷰 분석 98 2. 디자인 평가에 대한 전문가 분석 105 3. 전문가집단 취향의 일관성과 작업흐름의 관계 112 Ⅴ. 결론 및 제언 120 참고문헌 128 부록, 설문지 133 Abstract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437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디자이너의 조형적 취향의 일관성과 결과물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전문디자이너와 예비디자이너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onsistency of Designer's taste and the outputs of plastic design : Focused on Professional Designers and Future Designers-
dc.creator.othernameKim, Do-Hee-
dc.format.pagexiii, 15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