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90 Download: 0

12잡가의 시대적 변화 연구

Title
12잡가의 시대적 변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 of Twelve Japga
Authors
송은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upon the research on Twelve Japga(十二雜歌), which was created in 19th century, developed as popular culture, and handed down to the present.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th century Twelve Japga and current Twelve Japga, the scope of study was focused on analyzing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in narration and music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of music and narration. In chapter 2,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different types and its narration of Twelve Japga.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the book of early 20th century’s Japga collection, has nine songs except ‘Dalguri(月令歌, Song of Monthly Events)’, ‘Chulinga(出引歌, Farewell Song)’, ‘Pyongyangga(平壤歌, Song of Pyeongyang)’ from the original Twelve Japga. It proves that only nine songs were sung among twelve songs even though Japga(雜歌) was popular and sung widely. In 1958, Seong Gyeongrin categorized Twelve Japga as “GinJapga(Long Japga)” in a dissertation 「Seoul Popular Song」. In 1961, Jang Sahun called this type of popular songs by using the word, as Twelve Japga first in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fore, one could draw a conclusion that 12 songs of Twelve Japga were completed by the mid 20th centur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of narration and music as well as of transformational aspects of narration and music among the three researches of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韓國俗歌全集)』,『Book of Japga(雜歌樂譜集)』 and 『Gyeonggi Twelve Japga(京畿十二雜歌)』 which have narrations of Twelve Japga in early 20th century, early and mid 20th century, and today respectively. The content changes in narration were made 11 times all together as ‘Bangmulga(房物歌, Song of Women’s Items)’ 9 times alone, ‘Sipjangga(十杖歌, Song of Being Flogged)’ and ‘Hyeogjangga(刑杖歌, Song at the Execution Ground)’ once each. The changes are ‘addition and deletion of lyrics’ and ‘changes of order of content’. One can conclude that transformation of content in Twelve Japga was very little since only three songs had content changed 11 times all together. On the contrary, the changes of vocabulary are more frequent. The types of changes are also diverse; they are ‘shift to modern language from ancient language, shift of completing suffix, shift of exclamation, shift of suffix, omission of postpositional particle, shift of old Chinese character words, shift of similar words, using alternative words, shift of order, changes of command language’. The changes of vocabulary happen more than 120 times overall. There is no obvious regularity in the changes of vocabulary in Twelve Japga except that the notation of archaic words in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transformed to notation of modern words in 『Book of Japga』 and Gyonggi Twelve Japga Collection. Considering the elapsed time to the present from the forming period of Twelve Japga, the differences in level of vocabularies are usual and obvious. By analyzing the trend of content changes in narration and differences made in vocabularies, the transformation of Twelve Japga is very little throughout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Collection. The rarity of changes in narration is due to the active publication of Japga Collection in early 20th century. The published Japga Collection worked as a textbook for vocal study. Thus, the fixed form of narration transmitted to the present since the narration changes between learner and teacher almost didn’t happen. In chapter 3, the study of rhythm and lyrics in Twelve Japga was focused on with a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Twelve Japga rhythms in Twelve Japga of early 20th century from 『Book of Japga』 and the Gyonggi Twelve Japga Collection, and recordings from Lee Eun Joo. A total of seven type of rhythms was presented in Twelve Japga and ‘slow 6-beat rhythm’, ’fast 6-beat rhythm,’ ‘gutguri rhythm’ and ‘saemachi rhythm’ were mostly used. ‘slow 6-beat rhythm’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rhythm among the 4 mostly used rhythm. Thus, ‘slow 6-beat rhythm’ could be the title rhythm of Twelve Japga. ‘Slow 6-beat rhythm’ is played in 11 songs among 12 songs of Twelve Japga except ‘Jipjangga(執杖歌, Song of the Flogging Official)’ that played ‘fast 6beats rhythm’ throughout the song. ‘fast 6 beats rhythm’ and ‘saemachi rhythm’ played in similar types, but they show differences in rhythm and malbuchim in Twelve Japga. The modification of ‘slow 6-beat rhythm’ and ‘fast 4-beat rhythm’ were played as ‘slow 4-beat rhythm’ and ‘fast 4-beat rhythm’ respectively. Comparing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only ‘Sunyuga(船遊歌, Song of Boating)’, ‘Yusanga(遊山歌, Song of the Korean Scenery)’, ‘Jukbyukga(赤壁歌, Song of the Red Cliff)’, ‘Pyongyangga’, ‘Hyeogjangga’ maintain same type of rhythm and same number of rhythm in both notes. ‘Bangmulga’, ‘Sipjangga’, ‘Jipjangga’, ‘Chulinga’ have the same type of rhythm but different number of rhythm. On the contrary, ‘Dalguri’, ‘Sochunhyangga(小春香歌, Small Song of Chunhyang)’, ‘Jaebiga(鷰子歌, Song of the Swallow)’ maintain same number of rhythm throughout the music, but difference in types of rhythm. Thus, the changes of rhythm appears in 7 songs as ‘Dalguri’, ‘Bangmulga’, ‘Sochunhyangga’, ‘Sipjangga’, ‘Jaebiga’, ‘Jipjangga’, ‘Chulinga’ whereas no change occurs in ‘Sunyuga’, ‘Yusanga’, ‘Jukbyukga’, ‘Pyongyangga’, ‘Hyeogjangga’ among Twelve Japga songs. Next, the researcher made malbuchim notation to look at malbuchim and malbuchim type of Twelve Japga, based on the notes written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There are fifteen types of malbuchim appeared in Twelve Japga. However, not all malbuchim types occurred in the earlier part of Twelve Japga. There are five types of malbuchim occurred frequently in Twelve Japga and the rest malbuchim types occurred partially. ‘Maehwa Taryung(梅花打令)’ in ‘Dalguri’ has the most types of malbuchim shown among Twelve Japga. ‘Maehwa Taryung’ has 12 kinds of malbuchim types whereas ‘Hyeogjangga’ has the least types of - only two kinds - of malbuchim. The most frequent type of malbuchim are o:-:-, o:o:- ,o:-:o, -:-:o, o:o:o, in Twelve Japga. o:-:-, is mostly used. The first beats of every rhythm in Twelve Japga has o:-:-, The malbuchim occurs at the first and fourth beats in Twelve Japga. Malbuchim in Twelve Japga occurs at bukpyeon since first and fourth beats are all bukpyeon. On the base of the facts, we learn that Twelve Japga was influenced by the Eodan-seongjang(語短聲長). In chapter 4,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movements of music and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of Twelve Japga. The movements of music in Twelve Japga were made based on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melody, content of narration of Twelve Japga. For this, the researcher studied musical notes included in 『Book of Japga』 Note and Gyunggi Twelve Japga for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the tone of core(中心音),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the style of cadence(終止形) of Twelve Japga. There are eight songs following joint structure and four songs following whole body structure in Twelve Japga. The eight songs are divided into 2 groups of four song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horus. The four songs, ‘Dalguri’, ‘Bangmulga’, ‘Sunyuga’, ‘Chulinga’ have chorus phrase in joint structure. The other four songs, ‘Sipjangga’, ‘Jipjangga’, ‘Pyongyangga’, ‘Hyeogjangga’ have no chorus phrase in joint structure. The four songs, ‘Sochunhyangga’, ‘Yusanga’, ‘Jukbyukga’, ‘Jaebiga’ follow whole body structure. ‘Sipjangga’ in 『Gyeonggi Twelve Japga』 has four melodies which is the least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mong Twelve Japga, whereas ‘Sochunhyangga’ in 『Book of Japga』 Collection and ‘Jaebiga’ in 『Gyeonggi Twelve Japga』a has 9 melodies which are the most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mong Twelve Japga. The highest voice range is ‘F5’ heard in ‘Jipjangga’ among Twelve Japga. Semi tone was heard as a phenomenon of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building but did not appear in the actual songs of Twelve Japga except ‘Jyuksudansinga(赤手單身歌)’ and ‘Maehwa Taryung’ in ‘Dalguri’ among Twelve Japga The notes of ‘D4’, ‘F4’, ‘G4’, ‘A4’ were the main melody in Twelve Japga. The note ‘D4’ was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main melody and it appeared in ‘Bangmulga’, ‘Sochunhyangga’, ‘Sipjangga’, ‘Yusanga’, ‘Jukbyukga’, ‘Hyeogjangga’. The note ‘F4’ appeared in ‘Dalguri’, ‘Sunyuga’, ‘Pyongyangga’ and ‘G4’ appeared in ‘Jaebiga’ and ‘Chulinga’, ‘A4’ appeared in ‘Jipjangga’. The notes ‘G3’, ‘C4’, ‘D4’, ‘F4’, ‘G4’, ‘A4’, ‘C5’ are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and ‘G3’ and ‘F4’ are mostly used among them. The style of down cadence(下行終止) was shown more than other the style of cadence(終止形) in Twelve Japga. The six songs of ‘Bangmulga’, ‘Sochunhyangga’, ‘Sipjangga’, ‘Jukbyukga’, ‘Pyongyangga’, ‘Hyeogjangga’ are the style of down cadence(下行終止). The four songs of ‘Jaebiga’, ‘Jipjangga’, ‘Yusanga’, ‘Chulinga’ are the style of up cadence(上行終止). ‘Jaebiga’ in 『Gyeonggi Twelve Japga』 are the style of even cadence(平行終止) in earlier part of the song. ‘Sunyuga’ is the only song which keeps the style of even cadence(平行終止) throughout the song among Twelve Japga. ‘Wolryungga’, ‘Jyuksudansinga’, ‘Maehwa Taryung’ in ‘Dalguri’ has all different style of cadence(終止形). The style of down cadence(下行終止) and the style of even cadence(平行終止) occurred together at ‘Wolryungga’. The style of up cadence(上行終止) and the style of even cadence(平行終止) occurred half and half in ‘Jyuksudansinga’ and the style of down cadence(下行終止) occurred in ‘Maehwa Taryung’. Twelve Japga, as it was named so, was sometimes classified as ‘Gasa’, ‘Minyo’, ‘Eight Japga’, ‘Jap Japga’. Twelve Japga was influenced mostly by Minyo in Seoul and Gyonggi district, developed by absorbing various traditional music such as Seodosori, Pansori, Gasa. Twelve Japga , the music that is more strict than the Minyo(民謠) and freer than the Jeongga(正歌), was developed by continuous interaction with world and deep influences by various types of traditional music. Twelve Japga is an important and meaningful set of traditional songs in terms of music, literature, and folklore that has inherited and embraced Korean sentiment deeply. Twelve Japga is the typical classic song of Korea that has kept elements of the folk cultura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folk music.;본 논문은 19세기 만들어져, 20세기 초⋅중반에 서민 대중문화로 발전하였으며,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12잡가>를 연구하였다. ‘20세기 초 <12잡가>’와 ‘현행 <12잡가>’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과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Ⅱ장에서 <12잡가>의 종류와 사설을 살펴보았다. 20세기 초의 잡가들을 수록한 『한국속가전집』에는 <12잡가> 12곡 중 ‘달거리’, ‘출 인가’, ‘평 양가’를 제외한 나머지 9곡만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잡가가 널리 유행했지만 <12잡가> 12곡 중 9곡만 완성되어 불렸음을 알 수 있다. 1958년 성경 린 은 「서울의 俗歌」에 <긴 잡가>라는 제목으로 <12잡가>를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1961년 장사 훈은 『국악개요』에 최초로 <12잡가>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12잡가> 전 곡을 같이 묶어 분류하였다. 그러므로 <12잡가> 12곡이 모두 완성된 것은 20세기 중반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20세기 초 <12잡가> 사설을 수록한 『한국속가전집』, 20세기 초 ․중반의 <12잡가> 사설을 수록한 『잡가 악보 집』, 현행 <12잡가> 사설을 수록한 『경기12잡가』등 세 연구 자료에 실린 <12잡가> 사설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사설의 내용 변화는 ‘방 물가’ 9번, ‘십 장가’ 1번, ‘형 장가’ 1번 등 모두 11번 나온다. 내용 변화의 양상은 ‘가사의 첨삭’과 ‘내용의 순서 변화’이다. 그런데 <12잡가> 12곡 중 3곡에서만 내용 변화가 있고, 그 횟수도 11회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12잡가>의 내용 변화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사설의 어휘 차이는 내용 변화에 비하여 상당히 많이 발견된다. 어휘 차이의 양상도 ‘고어의 현대어 교체, 종결어미의 교체, 감탄사의 교체, 어미의 교체, 조사의 생략, 한자어의 고유어 교체, 유사단어의 교체, 어순의 교체, 지시어의 교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어휘 차이는 전체적으로 120여 군데 정도 나타난다. <12잡가> 어휘 차이의 뚜렷한 규칙성은 없으며, 다만 『한국속가전집』의 고어(古語) 표기가 『잡가악보 집』,『경기12잡가』에서는 현대어 표기로 바뀐 것이 특징이다. <12잡가>의 형성 시기부터 현재까지 시간의 경과를 고려했을 때 이러한 정도의 어휘 차이는 당연하다. 사설의 내용 변화와 어휘 차이의 양상을 분석해 볼 때, 『한국속가전집』에서『잡가 악보 집』,『경기12잡가』에 이르기까지 <12잡가> 사설의 변화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사설의 변화가 없는 이유는 20세기 초 ‘잡가 집’의 활발한 간행 때문이다. ‘잡가 집’이 간행되면서 ‘잡가 집’은 가창 수업의 교본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 사이에 사설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이후 사설은 고정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Ⅲ장에서 <12잡가>의 장단과 말 부침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잡가 악보 집』악보와 장단 보로 20세기 초의 <12잡가> 장단을, 『경기12잡가』악보와 이은주의 녹음자료를 토대로 현행 <12잡가> 장단을 분석하였다. <12잡가>에 나타나는 장단은 모두 일곱 종류이며 주로 사용하는 장단은 ‘느린6박 장단’, ‘빠른6박 장단’, ‘굿거리장단’, ‘세마치장단’이다. 이 네 종류의 장단 중에서도 ‘느린6박 장단’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느린6박 장단’은 <12잡가>의 대표적인 장단이라 할 수 있다. <12잡가> 12곡 중에서 곡 전체가 ‘빠른6박 장단’인 ‘집 장가’를 제외한 11곡에 ‘느린6박 장단’이 나타났다. ‘빠른6박 장단’과 ‘세마치장단’은 비슷한 유형으로 연주되지만 <12잡가>의 장단과 말 부침을 살펴보면 ‘빠른6박 장단’과 ‘세마치장단’은 구별이 된다. 이외에도 ‘느린6박 장단’의 변형인 ‘느린4박 장단’과 ‘빠른6박 장단’의 변형인 ‘빠른4박 장단’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잡가 악보 집』과 『경기12잡가』에 수록된 ‘선 유가’, ‘유산가’, ‘적벽가’, ‘평 양가’, ‘형 장가’는 장단의 종류와 전체 장단수가 같다. ‘방 물가’, ‘십 장가’, ‘집 장가’, ‘출 인가’는 장단의 종류는 같고 전체 장단 수에 차이가 있다. ‘달거리’, ‘소춘 향가’, ‘제비가’는 전체 장단 수는 같고 장단의 종류에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12잡가>의 장단에 있어서 변화가 있는 곡은 ‘달거리’, ‘방 물가’, ‘소춘 향가’, ‘십 장가’, ‘제비가’, ‘집 장가’, ‘출 인가’의 일곱 곡이고, 변화가 없는 곡은 ‘선 유가’, ‘유산가’, ‘적벽가’, ‘평 양가’, ‘형 장가’의 다섯 곡이다. 다음으로 『잡가 악보 집』과 『경기12잡가』에 수록된 악보를 토대로 말 부침 악보를 만들어 <12잡가>의 말 부침과 말 부침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12잡가>에 나타나는 말 부침의 유형은 모두 열다섯 종류이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말 부침 유형이 <12잡가>의 전반에 나타나지는 않았다. <12잡가>에 주로 많이 사용된 말 부침 유형은 다섯 가지며 나머지 유형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12잡가> 중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말 부침 유형이 나타난 곡은 ‘달거리’ 중 ‘매화타령’이다. ‘매화타령’의 말 부침 유형은 12종류이다. 가장 적은 종류의 말 부침 유형이 나타난 곡은 ‘형 장가’로 단 2종류의 말 부침으로 곡이 이루어졌다. <12잡가>의 말 부침 유형은 o:-:-, o:o:- ,o:-:o, -:-:o, o:o:o, 의 다섯 가지가 많이 나타나며, 이 중에서 o:-:-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12잡가> 각 장단의 첫 박에는 주로 o:-:-유형이 나타났다. <12잡가>는 주로 첫 박과 넷째 박에 말 부침이 있다. 첫 박과 넷째 박은 모두 북편에 해당하므로 <12잡가>의 말 부침은 북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12잡가>는 어 단 성장(語短聲長)의 영향을 받은 노래임을 알 수 있다. Ⅳ장에서 <12잡가>의 악곡구분 및 출현 음과 종지 음을 살펴보았다. <12잡가>의 종지 음과 선율, 사설의 내용 등을 토대로 <12잡가>의 악곡구분을 하였다. 이를 위해 『잡가 악보 집』과 『경기12잡가』에 수록된 악보로 <12잡가>의 출현 음, 주요 음, 중심 음, 종지 음과 종지 형을 살펴보았다. <12잡가>는 유절 형식 여덟 곡과 통 절 형식 네 곡으로 구분된다. 유절 형식의 여덟 곡은 후렴의 유무에 따라 다시 네 곡씩 구분된다. 유절 형식의 후렴구가 있는 곡은 ‘달거리’, ‘방 물가’, ‘선 유가’, ‘출 인가’의 네 곡이다. 유절 형식의 후렴구가 없는 곡은 ‘십 장가’, ‘집 장가’, ‘평양 가’, ‘형 장가’의 네 곡이다. 통 절 형식의 곡은 ‘소춘 향가’,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네 곡이다. <12잡가> 중에서 출현 음이 가장 적은 곡은 4음으로『경기12잡가』의 ‘십 장가’이며, 출현 음이 가장 많은 곡은 9음으로『잡가 악보 집』의 ‘소춘 향가’와 『경기12잡가』의 ‘제비가’이다. <12잡가> 중에서 가장 높은 음역은 ‘F5’이며 ‘집 장가’에 나타났다. <12잡가>에 나타나는 반음은 출현 음을 쌓으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실제 곡 안에서는 반음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12잡가> ‘달거리’ 중 ‘적수 단신 가’와 ‘매화타령’에는 반음이 나타났다. <12잡가>의 중심 음은 ‘D4’, ‘F4’, ‘G4’, ‘A4’가 사용되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중심 음은 ‘D4’로 ‘방 물가’, ‘소춘 향가’, ‘십장 가’, ‘유산가’, ‘적벽가’, ‘형 장가’의 여섯 곡에 나타났다. 중심 음 ‘F4’는 ‘달거리’, ‘선 유 가’, ‘평양 가’의 세 곡에서 중심 음 ‘G4’는 ‘제비가’, ‘출 인가’의 두 곡에서, 중심 음 ‘A4’는 ‘집 장가’ 한 곡에서 나타났다. 종지 음은 ‘G3’, ‘C4’, ‘D4’, ‘F4’, ‘G4’, ‘A4’, ‘C5’로 7음이 나타나며 이 중 ‘G3’와 ‘F4’가 가장 많이 쓰인다. <12잡가>의 종지 형은 하행종지가 가장 많았다. ‘방 물가’, ‘소춘 향가’, ‘십 장가’, ‘적벽가’, ‘평 양가’, ‘형 장가’의 여섯 곡은 하행 종 지하였다. ‘제비가’, ‘집 장가’, ‘유산가’, ‘출 인가’의 네 곡은 상행 종지하였다. 이 중에서 『경기12잡가』‘제비가’는 곡의 앞부분이 평행종지이다. <12잡가> 중에서 곡 전체가 평행 종지하는 것은 ‘선 유가’이다. ‘달거리’는 ‘월령가’, ‘적수단신 가’, ‘매화타령’의 종지가 모두 달랐다. ‘월령가’는 하행종지와 평행종지가 함께 나타나며 ‘적수단신 가’는 상행종지와 평행종지가 반반씩 나타나고 ‘매화타령’은 하행 종지하였다. 현재 불리고 있는 <12잡가>는 ‘가사’, ‘민요’, ‘팔 잡 가’, ‘잡 잡 가’ 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12잡가>는 서울⋅경기지역 민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서도소리>, <판소리>, <가사> 등 다양한 전통소리를 흡수하여 발전하였다. <12잡가>는 <민요(民謠)>보다 엄격하고 <정가(正歌)>보다 자유로운 형식의 성악곡으로 여러 전통음악의 영향을 받아 시대와 함께 끊임없이 호흡하며 계승되었다. <12잡가>는 우리 민족의 진솔한 정서를 담아 계승한 전통음악으로서 음악적, 문학적, 민속학적으로 높은 가치와 의의가 있는 노래이다. <12잡가>는 민속음악의 가장 큰 특징인 적 층 문화(積層文化)의 요소를 간직한 대표적인 전통 성악곡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