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이진효-
dc.creator이진효-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00-
dc.description.abstractA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 was taken to illuminate the constructs of dance disposition, followed by developing a test which can aptly measure the dance disposi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dance disposition constructs, a 5-item un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70 university students. Data was subjected to a qualitative analysis, rendering 5 conceptual factors; task orientedness, movement expressiveness, inquisitiveness, eagerness to achieve, playfulness.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5 factors of dance disposition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57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314 university student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 of the test proved to be .967.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2 items, resulting in 24 items of 5 factors; task orientedness, movement expressiveness, inquisitiveness, eagerness to achieve, playfulnes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410 dance majo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5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χ², Q, root mean square residual(RMR), goodness of fit index(GFI), Tucker-Lewis index(TLI), comparative fit index(CFI),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The concurrent and cross validity indices proved the validity of 24 items of 5 factors.;본 연구는 무용수의 심리적 속성인 무용성향의 본질을 파악하고, 무용성향을 정량화 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의 무용성향이란, 후천적으로 발달되거나 특별한 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타고난 심리적 속성이다. 무용성향은 무용을 잘하는데 필요한 요인, 즉 무용을 하고자 하는 욕망, 무용을 잘하려는 의지, 그리고 무용에 대한 고민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어느 상황에서나 그 요인들은 일관성 있게 작용한다. 이러한 무용성향은 무용수의 기술수준 그리고 체력 등과 서로 상호작용하여 무용수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무용성향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용성향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수집하고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무용성향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무용성향의 본질을 탐색할 수 있는 5가지 문항을 구성하여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그리고 무용지도자 총 70명을 대상으로 구인탐색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인탐색 설문 응답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인탐색 설문을 통해 도출된 응답은 5개의 구인(과제집착 성, 동작표현 성, 탐구 성, 성취 성, 유희성)과 11개의 세부영역(끈기/인내심, 몰입 성, 동작재구성, 감수성, 개성, 탐구 성, 관찰 성, 자신감, 적극성, 흥미, 음악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무용성향 구인탐색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성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무용성향을 잘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구인탐색 설문과 심층면담에서 도출된 원 자료를 바탕으로 57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그리고 직업무용단 단원들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여 총 340명에게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요인(과제집착 성, 동작표현 성, 탐구 성, 성취 성, 유희성)과 24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형(5개의 구인과 24개의 문항)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용전공 대학생, 대학원생 그리고 직업무용단 단원을 대상으로 총 430명에게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5요인의 24개인 문항에 대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어 최종으로 채택하였다. 무용성향 측정도구가 다른 표 집에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적용되느냐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설문조사 표본과 2차 설문조사 표본을 합친 724개의 표본을 5:5 비율로 나누어 362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나머지 362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교차 타당도 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1, 2차 설문조사를 통해 나온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의 수치와 교차타당도 검증을 통해 나온 수치가 유의하게 나타나 무용성향 측정 도구로서 객관성과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무용성향과 무용수행 7 B. 무용성향의 정의 10 C. 무용성향의 구인 12 D. 무용성향의 측정방법 22 Ⅲ 무용성향 구인탐색 25 A. 필요성 및 목적 25 B.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조사도구 28 3. 연구절차 31 4. 자료처리 및 분석 32 C. 연구결과 34 1. 춤을 잘 추는데 필요한 무용성향 35 2. 동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성향 38 3. 동작표현을 잘하는데 필요한 무용성향 41 4. 춤을 잘 추는데 영향을 주는 본인의 무용성향 44 5. 무용성향의 판단기준 47 D. 논의 51 IV. 무용성향 측정도구 개발 56 A. 필요성 및 목적 56 B. 개발절차 56 C. 요인구체화 59 D. 문항개발 60 E. 문항선정 62 F. 예비검사실시 63 G. 문항분석 65 H. 문항의 신뢰도 검증 68 I. 구인타당도 검증 77 J. 교차타당도 검증 90 K. 논의 93 V. 종합논의 및 결론 98 참고문헌 101 부록1. 무용성향의 조작적 정의 조사표 109 부록2. 무용성향 구인탐색 설문도구 110 부록3. 무용성향 측정도구의 예비문항 111 부록4. 무용성향 측정도구의 최종 문항 114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46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성향의 본질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Empirical Approach to the Structure of Dance Disposition and The Development of Dance Disposition Test-
dc.creator.othernameLee, Jin-Hyo-
dc.format.pagevi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