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지각 도구 개발

Title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지각 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erception measurement of Fall Risk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uthors
홍정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체기능이 쇠퇴하여 낙상발생이 증가하며 낙상으로 인한 손상은 노인에게 치명적이다. 재가노인은 의료진이나 돌봄 제공자에 의해 낙상예방관리를 받기보다는 스스로 낙상예방을 위한 활동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낙상예방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노인이 스스로 낙상위험을 지각하여 그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 한국노인의 낙상위험 지각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조차 없어 이를 측정하여 객관화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의 낙상위험 지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낙상위험에 대한 지각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문항구성은 문헌고찰과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노인의 낙상위험요인에 대한 개념적 틀을 구성하고, 이에 근거하여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구성된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지각 도구의 예비문항에 대하여 내용타당도 검정을 전문가 5인에 의해 3회에 걸쳐 실시하여, 내용타당도 지수(CVI) 0.8이상인 문항만을 선정하였고, 2차에 걸친 사전조사를 통하여 문항의 이해도 및 소요시간 등을 확인하여 수정이 이루어졌다.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성타당도 검정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적 요인, 인지 및 심리적 요인, 감각적 요인, 약물 및 일상생활활동 요인, 환경적 요인:바닥관련, 환경적 요인:일상생활도구관련의 6개 요인을 구성하는 24개 문항으로 결정하였다. 본 도구의 6개 요인이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지각에 대해 58.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본 도구가 재가노인의 낙상위험에 대한 지각을 설명할 수 있는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준거타당도는 기존에 개발된 한국어판 낙상효능 척도를 이용하여 낙상위험의 지각과 낙상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는데, 개발된 도구의 전체문항과 6개의 각 요인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상위험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낙상효능감이 저하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낙상경험이 있는 군에서 낙상경험이 없는 군보다 낙상위험의 지각이 더 높았으며 낙상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군에서 참여의도가 없는 군보다 낙상위험의 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집단비교법을 이용한 구성타당도가 검정되었다. 최종 개발된 도구의 Cronbach's α 계수는 .92이며, 하부 요인별 Cronbach's α 계수는 .53에서 .8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지각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검정된 도구이므로, 재가노인의 낙상위험에 대한 지각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Falls are serious health problems that can be fatal in the elderly. The difficulty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care by nurses and health care providers requires personal efforts to prevent falls. Personal prevention first requires the perception of the risks of fa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fall risk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measurement of perception of fall risk for the elderly, and to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 conceptual framework about fall risk factors for the elderly was construc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Preliminary items were derived and five experts engaged in three rounds of content validity evaluation. Items with a content validity index of 0.8 were selecte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construct validity. Twenty four items were determined in six factors (physical factor, cognitive and psychological factor, sensory factor, medication and daily living activity factor, floor-related environmental factor, and daily living tool-related environmental factor). These six factors explained 58.4% of the total variance of perception of fall risk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Construct validity of the final 24 items was examined by demonstrating that the perception of fall risk by fall history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program about fall preven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elderly who had experienced a fall perceived fall risk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who had not experienced a fall. Those who desired to participate in a fall prevention program perceived fall risk more than those not desiring to participate. To test criterion-related validity, correlation was verified with the Korean Fall Efficacy Scale. The perception of fall risk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ll efficacy. As perception of fall risk increased, fall efficacy declined. The evidence of reliability was supported by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final measurement (.92) and of each factor (.53 ~ .89). The development of verification of perception measurement of fall risk for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could be utilized as a measurement to assess the perception of fall risk in this pop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