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정진희-
dc.creator정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1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14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male workers with type 2 diabete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urvey using structural questionnaires and review of medical records. A total of 250 male workers with type 2 diabete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results of A1C good glycemic control group (n= 97, A1C<7.0%)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 (n= 153, A1C ≥ 7.0%).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 to June 30, 2010. The instruments for this survey were alcohol-related culture at workplace (Beattie et al., 1992), job stress (Chang et al., 2005) and medication adherence (Morisky et al., 1986).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ASW Statistics) version 18.0 program. Data were presented as Mean±SD, and percent. Comparing two groups, t-test and χ2-test were used, and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o identify independent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as follows: 1. The average A1C level of total subjects was 7.47±1.18% and that of good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 was 6.42±0.39%, and 8.14±1.01%, respectively. 2. The job-related and disease-related variable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ood and the poor glycemic control group were job stress (t=-2.044, p=.042), treatment type (χ2=4.583, p=.032), and medicine type (χ2=7.301, p=.026). 3. The self management variable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ood and the poor glycemic control group were regular exercise (χ2=9.782, p=.002), exercise frequency (χ2=9.933, p=.007), exercise duration (χ2=9.789, p=.007), smoking (χ2=5.574, p=.018), and medication adherence (t=5.925, p=.015). 4. Factors related to self management were alcohol-related culture at workplace (β=.150, p=.027) in total energy intake, work time (β=-.162, p=.016) and marriage status (β=.150, p=.026) in exercise duration, job stress (β=-.189, p=.005) in sleep duration, alcohol-related culture at workplace (β=.320, p=.000) and medication type (β=.129, p=.044) in alcohol drinking, job (β=.170, p=.012) and age (β=-.168, p=.013) in smoking, and age (β=.312, p=.000) in medication adherence. 5. Factors related to A1C level were fat intake, medicine type, exercise and smoking. Compared to subject who had low-fat intake, odds ratio of good glycemic control (A1C<7.0%) in high-fat intake was 0.415(95% CI=0.198-0.869, p=.020). Compared to subject who took oral hypoglycemic agents, odds ratio of good glycemic control (A1C<7.0%) in oral hypoglycemic agent and insulin was 0.346 (95% CI=0.141-0.850, p=.021). With non-exerciser as the reference group, the odds ratio for good glycemic control (A1C<7.0%) in exercisers was 2.124 (95% CI=1.037-4.350, p=.039). With smokers as the reference group, the odds ratio for good glycemic control (A1C<7.0%) in nonsmokers was 2.267 (95% CI=1.153-4.457, p=.018).;본 연구는 직장생활 속에서 초과근무나 스트레스, 잦은 회식과 음주 등으로 자기관리에 많은 도전을 받고 있는 직장인 남성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당화혈색소 7.0%를 기준으로 혈당 양호군과 혈당 불량군으로 나누어 두 군 간에 일반적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 질병관련 특성, 자기관리와의 차이를 분석하고,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당뇨병 환자의 적절한 혈당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S대학병원의 직장인 남성 제2형 당뇨병 환자 25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3월 15일에서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와 병원 의무기록 조회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음주문화 5문항(Beattie, Longbaugh, & Fava, 1992)과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24문항(장세진 등, 2005)을 포함한 직업관련 특성, 약물순응도 4문항(Morisky, Green, & Levine, 1986),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섭취량 조사와 식습관 조사, 운동시행유무와 횟수, 음주 빈도와 음주량, 흡연 유무와 흡연량, 수면 시간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χ2-test, multiple regress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평균 당화혈색소는 7.47±1.18%였고, 혈당 양호군과 혈당 불량군의 평균 당화혈색소 수치는 각각 6.42±0.39%, 8.14±1.01%였다. 2. 혈당 양호군과 혈당 불량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는 직업관련 특성에서 직무스트레스(t=-2.044, p=.042), 질병관련특성에서 치료방법(χ2=4.583, p=.032)과 약물치료형태(χ2=7.301, p=.026)였다. 3. 혈당 양호군과 혈당 불량군 간의 자기관리에서 운동시행유무(χ2=9.782, p=.002)와 운동횟수(χ2=9.933, p=.007), 운동시간(χ2=9.789, p=.007), 흡연 유무(χ2=5.574, p=.018), 약물순응도(t=5.925, p=.01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에서 총에너지섭취량은 음주문화(β=.150, p=.027)가, 운동량에는 근로시간(β=-.162, p=.016)과 결혼상태(β=.150, p=.026)가, 수면 시간에는 직무스트레스(β=-.189, p=.005)가, 음주량에는 음주문화(β=.320, p=.000)와 약물치료형태(β=.129, p=.044)가, 흡연량에는 직종(β=.170, p=.012)과 연령(β=-.168, p=.013)이, 약물순응도에는 연령(β=.312, p=.000)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질섭취량, 약물치료형태, 운동시행유무, 흡연유무로 나타났다. 당화혈색소가 7.0% 미만일 확률은 지질섭취량 부족군에 비해 과잉군은 0.415배(95% CI=0.198-0.869, p=.020) 감소하고, 경구약을 복용하는 대상자에 비해 경구약과 인슐린을 맞는 대상자는 0.346배(95% CI =0.141-0.850, p=.02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을 하지 않는 대상자에 비해 운동을 하는 대상자가 2.124배(95% CI=1.037-4.350, p=.039) 높고, 흡연을 하는 대상자에 비해 흡연을 하지 않는 대상자가 2.267배(95% CI=1.153-4.457, p=.01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장인 남성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질섭취량과 약물치료형태, 운동시행, 흡연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집중적인 자기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법정근로시간 준수라는 사회적 노력과 함께 운동을 촉진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간호중재 개발 및 제반시설 마련과 지속적인 금연 권고 및 교육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II. 문헌고찰 8 A. 당뇨병 환자 간호 8 B.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관련 요인 12 C. 직장인의 생활양식 24 III. 연구의 개념틀 30 A. 연구의 개념틀 30 IV. 연구방법 31 A. 연구설계 31 B. 연구대상 31 C. 연구도구 32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37 E. 자료분석방법 39 F. 연구의 제한점 39 V. 연구결과 41 A. 대상자의 일반적, 직업관련, 질병관련 특성 41 B. 혈당 양호군과 불량군의 일반적, 직업관련, 질병관련 특성 차이 45 C. 혈당 양호군과 불량군의 자기관리 차이 51 D. 대상자의 일반적, 직업관련, 질병관련 특성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55 E. 대상자의 일반적, 직업관련, 질병관련 특성과 자기관리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57 Ⅵ. 논의 63 A. 혈당 양호군과 불량군의 일반적, 직업관련, 질병관련 특성 차이 64 B. 혈당 양호군과 불량군의 자기관리 차이 67 C. 대상자의 일반적, 직업관련, 질병관련 특성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70 D. 대상자의 일반적, 직업관련, 질병관련 특성과 자기관리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73 Ⅶ. 결론 및 제언 77 A. 결론 77 B. 제언 78 C. 연구의 의의 79 참고문헌 81 부록1. 연구도구 108 부록2. 심의결과통보서 121 부록3. 연구논문자료수집의뢰신청서 122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47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직장인 남성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 영향 요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male workers with Type 2 Diabetes-
dc.creator.othernameJung, Jin Hee-
dc.format.pagexi,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