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선숙-
dc.contributor.author이승아-
dc.creator이승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5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52-
dc.description.abstractEnglish immersion education is the method of study that teaching text knowledge of other subject except English in English, then learners can learn English with the contents of the subject naturally.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to make reputable teaching method of immersion education, because these days, it becomes actualization and an object of attention from the high-school in special purpose and foreign secondary school to general high-school. In particular, the fact that mathematics are proper subject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supports the need of this study, in a sense of allowing about to use comparatively simple language in the beginning of immersion education,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by using established knowledge system nevertheless have no conception of the meaning of the language. Mostly, the earlier studies were about the study of possibility of the instruction with English immersion education, and re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So, in this study, I conclude that the study of developing the textbooks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is insufficient, so try to create various principals of developing textbooks with in curriculum of South Korea, and then attempt to develop a textbook of the "Equation part" for the first grade high-school students in English immersion education system. For this reason I choose the problems of study as follows.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construction between the textbook in Korean and English in the "Equation part" for first grade high-school student? 2. What is the principals of developmentthe textbook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3. How can we adopt the textbook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in practical instruction? The first problem of the study can be solved by comparing the textbooks from Korea and America.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South Korean and American textbook in construction, but there were different in us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technology. Moreover, Korean textbook try to express the concepts more deeply and specific. So, it was different in contents and method of concept explanation. Then, in Korea there were tasks of diverse levels of cognitive demands, but most of the tasks in American textbook, it had more tasks but needed low cognitive demands as well. In the area of non-textual elements, in Korea there were more non-textual elements but smaller than America. Next, for second problem of the study, I tried to construct the range, principal of development and then develop the mathematics textbook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After researching I could create nine principal for developing effective textbooks, then by using these principals I developed about five terms of the class for first grade of high-school students. At last, for the third problem of the study I asked the developed textbook to experts, who are teachers in current high-school. Then,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 I tried to apply to the practical instruction. After the class, students participated in survey and group discussion, and express their idea about the instruction and the textbook. They said that they felt pressure by the mathematic class in English, but surprisingly, it was easy to understand. Furthermore, they had positive aspect in motivation for study, visual effect, and various activities for learning mathematics in English. On the other hand, students felt that textbook needed the explanation of terms, consideration of low level students, various tasks with diverse cognitive demands. While I proceed this study, I realized that there were a lot of consideration of developing the textbook. So, from now on, the continuous research in various aspect is needed for the students for the sake of lightening the burden of the mathematic instruction in English. As we use foreign textbooks as they are, we need the support and development in nation level with our curriculum also. Moreover, the countermeasure of training teachers should be prepared as soon as possible.;영어 몰입교육(English immersion education)은 영어 이외의 교과를 영어를 사용하여 교과지식을 가르침에 따라 학습자로 하여금 과목 내용 학습과 함께 영어의 자연스러운 습득을 도모하는 학습 방법이다. 본 연구는 특 목 고와 국제중고등학교에서부터 이제는 일반계 학교에 이르기 까지 영어 몰입교육이 점차 현실화 되어 가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는 데에 초점을 두고 제대로 된 몰입교육 지도 방안을 세우고 실행해야 한다는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특히 초기 몰입학습 단계에서 비교적 단순한 언어를 허용하고, 언어의 의미를 알지 못하더라도 기존의 지식 체계를 이용하여 학습 내용을 짐작하여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수학 교과가 영어 몰입교육 대상으로 적절하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영어 몰입교육방식을 이용한 수업의 가능성 여부와 교사와 학생의 반응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어 몰입교육용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결론 하에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반영한 다양한 교재 개발의 원리를 설정하고, 고등학교 1학년 방정식 영역의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교 1학년 방정식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과서 구성의 차이는 무엇인가? 2. 고등학교 1학년 방정식 영역에 대한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원리는 무엇인가? 3. 개발된 고등학교 1학년 방정식 영역의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는 실제 수업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연구문제 1은 단원의 구성과 학습내용 및 설명방식과 관련하여 비교 분석 준거를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1학년 이준열 외(2008) 수학교과서와 미국의 Smith, S. A. et al.(2001)의 Algebra Ⅰ, California Edition을 채택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우리나라는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그 어떤 나라보다 미국식 영어에 익숙하며, 현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어는 미국식 영어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덧붙여 미국 내의 우리나라 유학생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여러 주 중에서 한국 학생들이 캘리포니아 주에 가장 많다는 연구결과(미주세계일보, 2008)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을 설정하게 되었다. 연구문제 2는 우리나라 교과서의 순서를 기준으로 개발의 범위를 정하고, 교과서 개발의 원리를 설정하여, 실제 5차 시 분량의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3은 연구자가 개발한 교과서를 같이 근무하고 있는 동료 교사 3명에게 평가를 받아 수정․보완한 후 1학년 여학생 41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과서를 이용하여 한 차 시에 해당하는 수업을 계획하고 영어로 진행하였다. 수업실행 후 학생들에게 수업방법과 교과서에 대하여 설문 및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연구문제 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방정식 영역의 교과서 구성은 대단원 내의 구성 면에서 비슷한 구성을 보이며 수학 사,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해 훨씬 다양한 수학 사 관련 내용을 교과서에 표현하였으며, 실제 활동 수학 또는 읽기 자료의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반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면에 있어서는 인터넷을 비롯하여 계산기나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수업을 제공한 미국에 비해 우리나라 교과서는 정보검색용 테크놀로지 활용을 지원하는 데에 그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방정식 영역에서 살펴보았을 때, 우리나라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 보다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면에서 3차 이상의 고차방정식과 연립방정식을 다루는 등 심화된 내용을 다루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념 설명의 방식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하나의 관점으로 일관되게 설명하는 반면, 미국의 교과서는 심화된 내용은 아니지만 다양한 관점에서 같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 우리나라 교과서는 다양한 인지적 요구 수준에 따른 과제가 제시되는 반면, 미국의 교과서는 문제 수는 많으나 낮은 단계의 인지적 요구 수준에 치우쳐 있으며, 비문자적 표상의 사용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하여 개수는 많지만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1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 2에서는 개발의 범위 고등학교 1학년 방정식 영역 5차 시 분량으로 정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큰 개념 중심, 명시적 전략, 매개된 형성, 준비된 배경지식, 전략적 통합, 요령 있는 복습, 과제의 난이도 및 특성,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한 단어 선택, 교사 및 학생들의 수업진행 및 학습에 도움이 되는 비문자적 표상의 사용과 같이 교과서 개발의 원리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방정식 영역의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는 동료 교사 3명에 의하여 교육과정, 학습 내용 선정, 학습 내용 조직, 교수․학습 활동, 학습 평가, 표현․표기 및 외형 체제 면에서 평가 되었으며, 수정․보완 후 서울특별시 소재 H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수학수업을 실시하는데 이용되었다. 수업 후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자체 및 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8명의 학생들과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교과서에 대한 장․단점 및 개선점에 관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수학을 영어로 수업을 한다는 데에 있어서 부담감이 있었으나 의외로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설문을 통한 결과, 43.9%의 학생들이 개발된 교과서를 91~100%수준에서 이해했다고 응답하였으며, 학습을 위한 동기 부여, 시각적 효과, 다양한 활동을 통한 학습 내용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었으며, 용어해설과 중하위권 학생들에 대한 배려, 다양한 난이도의 문제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점이 상당히 많으며, 많은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 수학을 영어로 학습하여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았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와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은 외국의 교과서를 참고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에 우리나라에 그대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맞춘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지원 및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능력을 갖춘 교사의 양성 및 선발에 대한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5 A. 영어 몰입교육 5 B. 방정식 영역 수학교과서 개발 13 Ⅲ.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27 A. 연구대상 27 B.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29 C. 자료수집 및 분석 3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6 A. 우리나라와 미국의 방정식 영역 교과서 구성의 차이 36 B. 영어 몰입교육용 교과서 개발의 범위, 원리 및 과정 50 C. 개발된 영어 몰입교육용 교과서의 실제 수업에의 적용 60 Ⅴ. 결론 및 논의 67 A. 요약 및 결론 67 B. 제언 및 시사점 71 참고문헌 72 부록 77 ABSTRACT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299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영어 몰입교육용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1학년 방정식 영역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eveloping the mathematics textbook of high-school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dc.creator.othernameLee, Seung-A-
dc.format.pagex, 13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