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공간적 분포와 실버타운 이용자들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공간적 분포와 실버타운 이용자들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s and the Performativity of Silver Town Resident
Authors
송정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실 버 타운 이용자들의 공간 인식과 수행성에 관한 논의를 시도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알아보고 노인 인구 분포와 연관성을 파악한다. 둘째, 노인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실 버 타운 운영 과정에서의 노인의 위치 성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실 버 타운 의 독특한 공간성과 이와 관련된 실 버 타운 이용자들의 수행 성을 살펴본다. 노인 인구 분포와 실 버 타운 의 입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주거실태조사, 고령자 통계, 노인복지시설현황 등의 통계 자료를 살펴보았다. 또한 신문 기사를 통해 노인과 실 버 타운 에 대한 담론을 파악하였다. 실 버 타운 이용자들의 공간 인식과 수행 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9년 9월부터 12월에 걸쳐 도심형 실 버 타운 두 군데와 도시근교 형 실 버 타운 한 군데를 방문하여 총 2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노인주거복지시설은 경기도에 30% 이상 집중 분포한다. 무료와 실비 시설은 대체로 노년층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 입지하는 경향을 보이며, 유료 시설은 경기도와 강원도, 충청남도에 집중 분포한다. 흔히 실 버 타운 이라 불리는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은 1988년에 최초로 등장하였고,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급증하였다. 2009년 수도권에는 53개소의 유료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경기도 북부 지역에 비해 남부 지역에 더 많은 시설이 입지하고 있다. 둘째, 노인의 정체성은 연령, 건강, 소득, 교육수준 등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최근에는 자녀와 별거를 원하는 노인이 늘어나고 있으며, 실 버 타운 은 노인주거 문제의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실 버 타운 이용자들은 본인 스스로를 혁신 자나 조기채택 자(early adopters)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주체 의식이 강하고 긍정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최근에는 기존의 생활을 영유할 수 있는 도심이나 도시 근교 지역을 선호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도심형 실 버 타운 이 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 버 타운 이 노인을 주거복지시설의 주체라기보다 돈벌이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이용자들은 운영업체의 부조리에 대응하며 주체로서의 위치를 되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넷째, 실 버 타운 이용자들은 실 버 타운 에서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고, 이웃과 교류하며 긍정적인 자아정체 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80세 이상의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실 버 타운 을 집으로 인식하고 뿌리내림하고 있다. 반면에 비교적 젊은 노인들은 실 버 타운 에 입소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특성이나 자기결정권이 제한되는 것에 불편을 느끼고 다른 주거 공간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한다. 핵가족 제도가 일반화되고 가족의 노인부양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실 버 타운 이 노인주거 문제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 버 타운 의 입지와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 및 공간 인식을 다루고 있어, 향후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실 버 타운 계획을 위한 자료로써 큰 의미가 있다.;This thesis discuss distributional trait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s, space recognition and performativity of silver town resident. This paper aims firstly at analyz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s and viewing distribution of elders population and correlation. Secondly it aims at, defining the elders' identity and also confirming the positions of the elders in terms of managing and operating silver town. Lastly, this research studies placeness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ilver town and performativity of the silver town resident. This thesis investigated statistics based on housing survey, elders statistics and aged care facilities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elders' popul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ilver town. Also I have found many discusses on the elders and silver town through the articles. Futhermore, to figure out the spatial recognition and performativity of the silver town resident,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2009, I visited 2 downtown-silver towns and a suburban-silver town. I had deep interview with 27 silver towns resi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s are concentrated more than 30% in Gyeonggi province. Free or actual cost facilities are mainly located in the areas where show high rate of the elders while charged facilities have intensive distribution in Gyeonggi, G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charged facilities called silver town appeared in 1988 at the first and increased rapidly when baby boomers were retired. The 40 charged facilities are operated in metropolitan, and they are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more than northern. Second, the elders' identity was shown differently depend on their ages, healths, earnings and education levels. Lately, the elders who do not want to live with their sons and daughters are increasing. Therefore the silver town is remark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of elders housing issue. silver town resident think themselves as early adopters and they also have strong independence and positive identity. Third, nowadays there are many elders who prefer to live in downtown or suburb area which can be connected with their pre-retirement life. Therefore, silver town in downtown is increasing. However, most silver town operators think the elders a way of getting money rather than subject of facilities. The silver town resident try to get better service by complaining to operators' absurdity. Fourth, silver town resident are likely to have meaningful time and positive identity by communicating with friends there. The elders aged 80 or the older lived in silver town think the silver town as their home while 'young old' people complain their limited rights of decision making and They consider to move another place. Nowadays, nuclear families are much more common and supporting elders has been weakened. Therefore the silver town is remark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of elders housing issue. Given these results together,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the location of silver town, performativity of the silver town and spatial recognition, so it would be able to provide desirable materials for planning the silver tow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