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오혜숙-
dc.creator오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3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384-
dc.description.abstract표지는 책의 성격을 대변해 주며, 표지 디자인의 조형요소들은 시각적 표현으로 책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표지는 작가와 독자 사이에 하나의 상징물이 되어 독자들이 실제적으로 책을 유익한 읽을거리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해주며, 독자들은 표지 디자인을 통해 책에 대한 호감 도를 높일 수 있고, 그 내용을 상상해 보기도 한다. 따라서 독자들에게 가장 먼저 선보이게 되는 표지 디자인도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표지 디자인은 단순히 책의 제목과 저자를 알리고 내지를 보호하는 기능적인 수준에서 벗어나 책의 내용을 시각적인 언어로 압축해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문화가 발달 할수록 지구 촌 곳곳에는 다양한 종류의 책들이 출판되고 있으며 우리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주는 시각 미디어로서의 존재로 책이 가지는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분야의 책이 출간되고 있는 만큼 독자층을 세분화해서 그 대상에 맞는 디자인을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교 보 문고가 2008년 1월부터 11월30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서점의 책 구매고객을 집계해서 성별과 연령대로 분석한 결과, 20대와 30대 여성의 구매율이 전체의 무려 41.9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여성의 비율은 전체의 26%를 차지해 연령대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과시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전략과 연구 없이는 시장을 선도할 수 없게 되었음을 나타내는 자료이다. 또한 최근 출판계에서는 다양한 문학전집 출간이 화제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그 화제성이 비해 우리나라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은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시도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점에 입각해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에서 전집디자인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동일화 과정과, 전집에 속한 개별의 책들이 가질 수 있는 독립성 부여의 과정을 통해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표지 디자인을 제안하려 한다. 본 연구는 타깃 시장의 세분화 경향에 따라 특정 사용 층에 대한 연구가 점점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출판계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고 있는 20~30대 여성독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표지 디자인에 대한 그들의 요구와 취향을 반영하여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한국현대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한 표현대상을 정하는 데 있어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1960년 이후 발표되고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되었으며,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으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다. 이는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은 문학 작품으로서의 가치와 작품성을 인정받은 것이며,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됨과 동시에 단행본으로 발행된 것은 대중성까지 포함한 작품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둘째, 선행 문헌 연구를 통해 표지 디자인의 개념과, 표지 디자인의 시각구성 요소, 우리나라 표지 디자인의 시대별 특징, 전집의 개념과 전집 디자인의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셋째, 국 ㆍ 내외 문학전집의 다양한 표지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 최근 디자인 경향과 디자인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넷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30대 여성독자의 독서 실태를 통한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 표지 디자인에 대한 그들의 요구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20~30대 여성독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현대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을 제안하고 개발방향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는 북 디자인 분야에서 20~30대 여성이라는 특수한 세대로 대상을 한정하고 그 대상의 니즈를 반영한 디자인을 제안하는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관심을 유도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The cover speaks for the character of book, and the cover design elements display a definitive role to form the image of book with its visual expression. The cover, being a symbol between its author and reader, makes readers accept the book as an useful thing to read, and readers can be highly interested in the book through its cover design, and imagine its contents. Therefore, a cover design that will be presented first to readers is having its higher importance. The cover design should be out of its functional level to inform the title and author of book and protect its internal page but also express its contents by compressing it in visual language. As a social culture develops various kinds of books are being published in the different places of planet, and the importance of book as a visual media that delivers us efficiently information is being gradually increased. Recently as various ares of books are being published the importance to design it for each reader is being highly increased. The result that Kyobo analyzed book buying consumer online and offline book stores from January to November 30, 2008 by their sex and age showed that the women's purchase rate in the twenties and thirties occupied 41.96% of all. Specially, the twenties women's rate occupying 26% showed its high influence upon age. It is data showing that a market can not be led without various strategies and researches for them. Also, recent publishing world is being popular because of various publications of literature treasury. However, the cover design of the Korean literature treasury is not so individual rather than its popularity. Focusing on this point, I intend to propose an individual cover design through an identification process that can be a characteristic of complete work design in a literature genre of novel, and granted independence process of each book from complete work. This research selected 20~30th women readers that are making new trend in the publishing world in the point that the study of special user according to the segmented trend of targeting market is being gradually important, and reflected their demands and taste for cover design, which intends to propose the individual cover design of Korean literature treasure, and was in progress as following. First, the target was limited to book published that has been presented and produced in movie or drama in 1960 when it was contained in the 7th curriculum high school <literature> text which targeted for cover design of literature treasury. This was why the literature contained in the text was considered as it has been recognized its value of literature and its worklike value, and included even popularity when it was published as a book at the same time when it was produced as movie or drama. Second,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study, it considered the concept of cover design, visual element of cover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cover design per period, the concept of complete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te work design. Third, I observed various examples of cover design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complete work, and groped the recent design trend and development direction. Fourth, I practiced a quick poll to analyze 20~30 women readers lifestyle through their reading realities, and to know their demands of cover design.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study result, I proposed cover desig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reasury for 20~30 women readers, and groped its development dire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paring an opportunity to give a basic data and to induce an interest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study to propose a design that limits its target to 20~30 women in an area of book design, and reflects their nee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표지 디자인의 이해 5 1. 표지 디자인의 개념 5 2. 표지 디자인의 기능 6 3. 표지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 요소 9 4. 우리나라 표지 디자인의 시대별 특징 11 B. 문학전집의 이해 13 1. 전집의 개념 13 2. 문학전집의 특징 13 C. 감성니즈의 이해 15 1. 감성의 개념 15 2. 감성니즈의 개념 17 Ⅲ. 문학 분야의 새로운 트렌드인 2030대여성 19 A. 2008, 2009년 교보문고 종합 베스트셀러 19 B. 문학 분야 독자층 분석 20 Ⅳ. 국내외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 표현 사례 24 A. 해외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 사례 24 B. 국내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 사례 27 C. 국내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 분석 35 Ⅴ. 2030대 여성독자의 표지 디자인 감성니즈 분석 37 A. 조사개요 37 B. 설문조사 분석 38 C. 설문조사를 통한 디자인 방향 설정 54 Ⅵ. 작품 제작 및 해설 56 A. 디자인 시안 56 B. 작품 제작 및 해설 59 Ⅶ. 결론 73 참고문헌 76 부록 79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531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20~30대 여성 독자의 감성 니즈를 반영한 한국현대문학전집 표지 디자인 제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Treasury Cover Design that reflects 20~30th Women Readers' Sensible Needs-
dc.creator.othernameOH, Hye-Sook-
dc.format.pagex, 8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