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혜-
dc.contributor.author박재영-
dc.creator박재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72-
dc.description.abstractClothes began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nd one of their important materials is fur.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fur evolved from simple clothes for warmth to the item of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The very first clothing material of humans, fur became part of fashion as means of design beyond its simple functionality. Today the fur market is moving in trendier, more sensuous, and faster ways. As the fur-based fashion business is booming, fur is no longer an item for warmth or social status but is recognized as a high value added product that's the most expensive of the natural materials. In the history of Western clothes, fur peaked in its splendor in the early modern times. After Industrial Revolution, the growth of trade and stock farming increased the amounts of fur, which initiated the full-scale of fur design. The growing and processing technologies for fur developed and complex consumptions were made mainly in Canada, the principal producer of fur, North America, and Northern Europe.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of fur as a social indicator became greater. After WWII, the movie industry exploded and produced big stars, which brought fur to extreme grace and splendor and granted it social significance to represent wealth.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environmental issues rose. The active movements of animal protection associations put a damp on the fur business for the several years before the new Millennium. But people couldn't just let go of fur for its attractions. Entering the early 21st century, consumers wanted materials closer to nature and thus the fur business currently enjoys a bigger boom than ever. This study set out to suggest trends in fur design by investigating new fur material techniques and offer new fur design by applying flower lattice patterns from Chosun's Buddhist temples, which reflect Korean people's mental world. For methodology,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 history, structure and material of fur based on clothing literature about fur and professional literature about fur home and abroad. And new materials, processing, and design cases of fur were examined with various visual data including overseas collections, data from the global fur associations, and the Internet. Then the general meanings of lattice were analyzed with the flower lattice patterns from Chosun's Buddhist temples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he changing process of lattice was classified by the periods. The types and forms of Chosun's lattice were also analyzed before analyzing the flower lattice of Chosun's Buddhist temples in terms of kinds, characteristics, colors, symbolicity, and formativeness. And their applications into modern clothes were examined in terms of common and flower lattic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eight pieces of clothing were made by applying the flower lattice motive from Chosun's Buddhist temples along with material development. By employing the crossing, flower, and patchwork technique, the shapes of flowers laid upon lattice were expressed formatively. And the splendor and luxury of fur clothes were further reinforced by matching fur and bead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with literature and eight fur pieces made with the flower lattice patter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limited fur design around coat in the past was expanded to short jacket, one-piece, dress and other diverse items. Second, the infinite potential of fur for creating images was confirmed by making trendy design to highlight the formativeness of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 along with fur dyeing and new material development. And finally, the geometric regularity, rhythmical beauty, and perspective nature of the flower lattice from Chosun's Buddhist temples well matched fur piece design as well as modern clothes design. The study suggested new fur clothes design to highlight Korean beauty of form and formativeness by investigating new technologies and materials in fur design beyond the theoretical research stage, developing new materials and desig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fur, and applying the motif of traditional Korean patterns.;서양 복식사에 있어서 근세까지 궁정시대를 중심으로 모피의 화려함이 극을 이루고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모피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주요 모피 서식지인 캐나다를 비롯한 북미와 북유럽을 중심으로 모피 사육과 공정 기술의 발달, 소비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패션에서 모피의 비중이 커졌다. 20세기 말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동물보호협회의 운동으로 세기말 몇 년간 모피 산업이 주춤하기도 하였으나 이런한 운동에도 불구하고 모피 소재의 매력은 놓칠 수 없었던 세계 유명 디자이너들의 꾸준한 작업과 21세기 초 보다 자연에 근접한 소재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심리에 의하여 최근 모피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호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모피 패션의 관심과 더불어 모피를 응용한 소재 개발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모피 패션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피 패션의 모티브는 조선시대 꽃창살 문양을 선택하였다. 꽃창살은 나무를 깎아 만든 목 조각으로 정적이고 차가운 소재이기는 하나 꽃이라는 자연의 소재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됨에 따라 건축 구조에서 생동감을 주며 정교하고 섬세한 작업과 오방색의 다섯 가지 색채로 꽃창살의 색채를 표현함으로써 장식적인 부분이 화려한 특성이 있다. 모피는 방한에 뛰어나며 자연현상의 차단 효과에서 오는 내구성과 모피만이 줄 수 있는 호화로움과 기품이 있으며 모피가 가지는 부드러운 촉감도 매우 매력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꽃창살과 모피의 특성을 기본으로 하여 차가운 질감의 정적인 꽃창살의 모티브를 모피 패션에 응용하여 부드럽고 포근한 모피의 질감으로 의복에 접근하되 꽃창살의 기본이 되는 정교하고 장식적인 구조를 살려 모피 패션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고찰을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통창살 중 조선시대 꽃창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국내외 모피에 관한 복식 문헌 자료, 국내외 모피 전문 문헌자료를 통하여 모피의 역사와 모피의 구조 및 소재를 고찰 하였다. 그리고 해외 컬렉션, 세계 모피 협회 자료, 인터넷 등의 시각 자료를 통해 새로운 모피 소재와 가공법, 현대 모피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조선시대 꽃창살의 모티브를 모피 패션으로 제작함에 있어 다양한 기법을 복합적으로 응용하여 총 8벌의 모피 패션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꽃창살의 모티브를 모피 소재의 장식으로 선택하여 꽃창살과 모피의 특성을 기본으로 작품에 접근 하였으며, 꽃창살의 구조적인 형태는 살리되 질감에서 오는 차이를 장식적으로 창출할 수 있었다. 둘째, 꽃창살 문양의 모티브를 모피 패션으로 제작함에 있어 컷 아웃 기법을 응용하여 모란문의 모란꽃과 복숭아꽃의 꽃잎 형태를 컷팅하여 꽃의 형태를 표현 하였으며 연화문의 연꽃, 잎 모양 또한 컷 아웃 기법을 응용하여 제작하였다. 꽃창살의 기본이 되는 창살은 네팅 기법을 응용하여 견고한 형태로 엮어 주었다. 마지막으로 네팅 기법과 컷 아웃 기법으로 제작된 기본 창살과 꽃의 형태를 꽃창살의 조형성을 살려 패치워크 기법으로 완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법들이 복합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꽃창살의 꽃과 창살의 형태를 모피 소재의 부드럽고 섬세한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꽃창살에서 보여진 견고하고 정적인 꽃창살의 느낌을 부드럽고 섬세한 모피 장식으로 제작하여 의복과 함께 효과적인 디자인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모피의 신소재 개발과 가공법의 발달로 인하여 모피 패션이 끊임없이 발전 되어져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우리의 전통 꽃창살 문양의 조형적인 요소를 모피 패션에 반영함으로써 전통적인 이미지를 독창적으로 표현하는 모피 패션 디자인을 알리는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새로운 모피 소재 개발 및 가공법과 모피 패션 디자인이 개발됨으로써 모피 패션 디자인에 관한 다양한 접근과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2 2. 이론적 배경 4 2.1. 모피에 관한 일반적 고찰 4 2.1.2. 모피의 정의 및 특징 4 2.1.2. 모피의 구조 및 종류 6 2.2. 모피 패션에 관한 고찰 19 2.2.1. 모피 패션의 기원 및 변천 19 2.2.2. 모피 소재의 가공법 및 장식기법 32 2.2.3. 현대 모피 패션 디자인 사례 분석 44 2.3. 조선시대 꽃창살에 관한 고찰 47 2.3.1. 창살의 의미와 변천과정 47 2.3.2. 조선시대 창살과 꽃창살의 종류 55 2.3.3. 조선시대 꽃창살의 조형성 71 2.3.4. 전통 창살을 응용한 현대 패션 79 3. 작품 제작 83 3.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83 3.1.1 작품 제작 의도 83 3.1.2 작품 제작 방법 및 과정 84 3.2. 작품 및 작품 해설 88 4. 결론 및 제언 144 참고문헌 146 ABSTRACT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4251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꽃창살 문양을 응용한 모피 패션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Fur Design with Flower Lattice from Chosun's Buddhist Temples-
dc.creator.othernamePark, Jae-Young-
dc.format.pagexiii, 1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