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2 Download: 0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종업원의 시민행동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종업원의 시민행동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employees’ citizenship and commitment
Authors
이수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성국
Abstract
본 연구는 거시적 수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미시적 수준의 조직시민행동과 개념적으로 유사한 측면이 있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두 개념 모두 조직과 개인의 자유재량적 행위이고, 이를 통하여 직접적인 이득이 조직과 개인에게 주어지지 않지만, 궁극적으로 조직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은 연관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종업원의 시민행동이나 몰입관련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가이다. 둘째, 만약 영향을 미친다면, 어떤 메커니즘을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종업원의 시민행동이나 몰입관련 변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가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종업원을 소비자나 투자자 등의 기업외부 이해관계자와 구별하지 않고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은 기업명성이 향상되는데, 이는 긍정적인 자아존중 감을 갖고자 하는 종업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고 본다. 그 결과, 종업원이 그와 같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조직에 대해 이로운 행위나 태도 등을 보이게 된다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연구들은 종업원이 다른 이해관계자와는 구별되는 특성을 가진 존재라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목적의 달성을 위해 실제로 상당한 노력을 쏟아 붓는 종업원은 다른 이해관계자들과는 달리 기업활동에 대한 정보가 상대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에 이들은 기업행위의 효과 성뿐 아니라 그 동기까지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 성 측면에만 신경 쓰는 기업행위는 자칫 종업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나 관심이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주로 기업 외부이해관계자들로부터 기업활동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기업조직의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조직외부로부터의 기대나 압력에 따른 의무감 때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 활동이 전시적 또는 일회적 특성을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당연히 종업원이 볼 때 겉 치 례 에 불과한 기업행위로 또는 그 활동과 동기가 분리되는 도덕적 위선으로 보일 수 있다. 반면, 진정으로 사회의 발전을 위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라면, 그리고 기업의 미션이나 비전 등에 근거하여 일관성 있게 수행되며, 조직 내 상사나 동료 등의 지지를 받는 활동이라면, 종업원은 이를 진정 성이 있는 기업행위로 인식할 것이다. 즉 실제로도 도덕적이고자 하는 동기를 가진 조직의 행위로 지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귀인과정에 의하여 진정 성이라는 조직특성을 종업원이 지각하게 되는데, 이는 그러한 조직에 이로운 각종 행위나 태도, 예를 들면, 조직시민행동이나 조직동일시 등을 종업원으로부터 유발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귀인 결과, 진정 성이 결여된 조직이란 지각을 하게 되면 이는 조직에 대한 냉소주의나 반생산적 과업 활동 등과 같은 태도 및 행위를 발생시킬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출발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중요한 종속변수는 조직시민행동이다. 그러나 직무성과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조직시민행동과 더불어 반생산적 과업 활동도 직무성과를 구성하는 주요 변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생산적 과업 활동을 본 연구의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조직시민행동과 반생산적 과업 활동은 모두 종업원의 행위에 초점을 둔 변수들임으로, 종업원의 태도적 측면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진정 성 지각과 이론적으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조직동일시, 조직에 대한 냉소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몰입 등의 변수들도 본 연구의 종속변수에 포함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종업원의 시민행동 및 몰입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기 위하여 시나리오를 이용한 비그넷 연구를 실시하였다. 비그넷 연구에서는 관심을 가지는 변수들간의 독립성을 가정하기 때문에 각 변수의 고유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론연구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정당성 지각에 따라 이들의 몰입관련 변수나 시민행동 관련 변수들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연구의 결과가 현실의 다른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DJSI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Korea 2009에 편입된 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서베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기업차원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종업원의 정당성 지각을 매개로 종업원의 시민행동이나 몰입관련 변수들과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 중에서 외재적 정당성과 내재적 정당성이 모두 높은 완전하게 결합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유형 (tightly coupled CSR: TC CSR)에서 종업원의 태도나 행위가 가장 긍정적일 것이라 보는 가설과 외재적 정당성이 종업원의 적절성 정당성을 매개로 하여 몰입 관련 변수들 및 시민행동 관련 변수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시나리오를 이용한 비그넷 연구에 의하면, TC CSR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 아니라 오히려 분리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유형 (loosely coupled CSR: LC CSR)을 수행하는 조직에서 종업원의 태도나 행위가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서베이 연구에 의하면 외부이해관계자들로부터 호의적인 평가를 받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오히려 종업원의 적절성 정당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종업원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그 자체보다 그와 같은 활동의 동기를 더욱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이는 기존 연구에서 밝혀내지 못한 측면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한 이해관계자인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정당성지각을 통하여 거시적 차원의 기업행동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미시적 차원의 종업원 태도나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는데,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밝힌 점 역시 본 연구의 의의 중 하나라 생각된다. 이뿐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실증하기 위하여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함께 실시하는 연구설계를 진행하여 본 연구의 주장에 대한 내적 타당성과 외적 타당성을 모두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는데, 이 또한 본 연구의 큰 의의라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이기 때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 변화는 살펴보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향후 종단연구를 통하여 현재의 과도기적 시점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종업원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로 종업원의 행위나 태도 변수만을 고려하고 있는데, 이들 변수들이 조직의 재무적 성과와도 실제로 연관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계가 도출될 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나 투자가 기업자원의 낭비나 비용이 아니라 조직의 재무성과와도 연관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임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Even if employees are one of the key stakeholders who practically put considerable efforts into making the organization’s goals achieved, however, most studies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ve paid scant attention to the effects of CSR on employees’ attitudes or behaviors. Instead, man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shareholders’ or customers’ perspective. Unlike other stakeholders, employees can gain access to internal information of the corporation. While other stakeholders generally access information about CSR through CSR reports or advertisements released by the firm, the employees are in the position of gaining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motive of CSR as well as about the effectiveness of it. Therefore, employees are affected not only by the effectiveness of CSR but also by the motives of CS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SR activities can affect employees’ commitment-related (commitment to CSR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itizenship-related variabl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cynicism about organization) and then to specify through what kind of mechanism CSR does affect employees’ citizenship and commitment-related variables. The main impetus for adapting CSR in many firms recently is to secure their external legitimacy. Firms try to build a good reputation by being attentive to issu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firm pays attention to external legitimacy but neglects the internal communication, however, then CSR could be interpreted by employees as a window-dressing corporate behavior. In contrast, if the firm acquires the internal legitimacy of CSR activities, then employees will interpret the firm’s CSR activities as based on the firm’s authentic behavior. When employees construct the internal legitimacy of CSR, they take into account opinions from their coworkers, subordinates, or supervisors and validate their own beliefs based on their support. Support becomes a normative pressure so that employees will have to follow regardless of their personal agreements. As the consequence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legitimacy, employees develop a sense of authenticity or appropriativeness of firms’ CSR activities. And the employees’ perceptions about the authenticity of the firm’s CSR activities will in turn influence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the organization, especially their citizenship and commitment-related variables, which are theoretically related to CSR constru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relationships, two research methods were used. One was a vignette study (study I) and the other was a survey study (study II). These studies report three findings of impact. First, employees’ perceptions of external legitimacy and internal legitimacy respectively increase significantly their citizenship and commitment-related variables.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ees’ perceptions about CSR activity and their citizenship and commitment-related variables are mediated by employees’ perception of CSR legitimacy. In this study, high external legitimacy is regarded as a meeting an expectation of the society to the firm’s role and as a sign of increased company reputation and enhanced manager’s ability to monitor and detect external environments. Dovetailing this assumption, this study expected that external legitimacy as well as internal legitimacy is equally important to employees’ perceptions of CSR legitimacy. The results of the study, however, do not support this argument. The effect of internal legitimacy is stronger than that of external legitimacy. Lastly, external legitimacy negatively affects the employees’ perceptions of CSR legitimacy and other variables, which is in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is may be due to the employees’ experience that many past change initiatives in the firms have been a mere display. This thesis gain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follows: this thesis focuses on the employees who have not been a subject of most previous CSR studies; this thesis reveals a mediating mechanism for connecting CSR activities to employees’ citizenship and commitment-related variables; this thesis used two research methods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vignette study and survey study. They provide both internal validity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findings. In spite of these significances, this thesis has some limitations: first, this thesis is a cross-sectional study. Longitudinal study would be beneficial. Second, this study assumes that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or behaviors toward the organization will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a firm’s financial performanc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inancial performances in the futur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