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헌영-
dc.contributor.author오원선-
dc.creator오원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5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554-
dc.description.abstract지난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화두로, 금융회사의 지배구조 관련 개혁 물결과 함께 은행 규제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금융위기의 발발로 인해 그 동안 크게 문제시 여겨지지 않았던 금융회사의 경영부실화 사태와 불건전한 지배구조,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문제 현실 등이 수면위로 대두하게 되었고, 이후 금융위기의 회복 단계에서도 정부의 구제금융을 받았던 금융회사들의 경영진 보수체계 문제가 크게 이슈화 되면서, 금융회사들이 지닌 문제점들은 점차 심각해지고 상황에 있다. 따라서 최근의 관련 이슈들에 대한 관심과 함께 금융회사들이 지닌 대내외적 문제에 대한 원인분석, 해결책마련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실제로, G20국제 금융회의 등에서는 각 국의 총수들과 금융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하여 금융회사의 건전성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 보다 구체적인 법적 규제적 방침을 마련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회사가 가진 여러 문제점 중에서도 충분한 논의를 통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한 가지의 문제로는 경영진 보수체계에 관한 문제가 있다. 특히, 금융기관의 경영자들이 높은 수준의 임금과 추가적인 성과급, 특별수당 등을 챙기면서 주주 공동의 몫을 사적인 이익추구를 위해 낭비해온 측면은 최근 들어 크게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이미 다수의 논문들에서, 금융회사의 경영진 인센티브 구조가 다른 산업 군에 비해 과도한 수준으로 성과에 연동되어 설계되어 있음을 항상 문제 삼아 왔으며, 사실상 이러한 문제의 상황은 국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닐 것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금융회사 경영진 보수에 관한 국내 자료를 토대로 한 향후의 관련 연구는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본다. 본고에서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보수체계와 관련된 기존의 국내외 연구자료들을 살펴보고 앞선 연구의 흐름과 함께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금융회사 경영진 보수체계 연구에 대한 정확한 흐름분석을 위하여 기존에 발행된 논문들의 내용을 살펴보고, 최근 국내외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금융규제 관련, 지배구조 관련 논점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또한, 이들을 토대로 향후 설계 가능한 연구의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현재까지의 보수체계 관련 국외의 문헌연구를 크게 다섯 파트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그 흐름을 정리하여 현재 진행 중인 연구의 상황적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공헌하는 바가 있다. 또한 보수체계 관련 국내연구가 가지는 한계점들을 명확히 제시하고, 이들 문제적 상황의 해결을 위한 관련 감시기관 또는 정책당국의 관심을 촉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has led to a wave of revolution and changes related to the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and to an increase of internal and external interests towards bank regulations. Suffering the financial crisis, the reality of indecent situations in financial firms, such as unsound managerial practices and managers’ moral hazard problems, which had so far never been matters of interest, has raised to the surface. Later, at the recovery stage from the financial crisis, such moral hazardous situations have become even more serious among the firms which received TARP by the governmental fund. In that point, not only the interests on the relevant issues but also the efforts on analyzing causes-and-result and finding solutions have become more necessary. In fact, international financial conferences, including G20 submit meetings, seem to display such efforts to harbor heads of governments and experts in the field to come up with new guidelines and regulations. And also, they are discussing the specific solutions to improve the soundness and transparency of the financial sector. Among the various problems that financial companies display, one of the most pressing ones that need to be solved through ample discussion involve the executive compensation system. Especially, the fact that managers have exploited highly-paid salaries, excessive bonuses, and extra allotments, has been raised as a serious matter. The waste of corporate funds based on managers’ private purposes might significantly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hareholders’ wealth. Many papers from the United States have already reported that the incentive structure of managers in financial companies is excessively designed to pay on performance, when compared to other non-financial companies. And it is likely that the problem might be the same here, in Korea. Thus, this study expect that the future researches on executive compensation system, implemented by Korean sample data will become quite meaningful. As a prerequisite step before a more detailed study,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previous research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Korea on executive compensation system of financial companies, and discussing possible outlines for future researches. For the sake of more accurate analysis on the executive compensation study,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ly published papers mainly focused on the United States’, and organized some main points of discussions on financial regula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get the picture from historical trends of compensation studies by dividing them into five main categories, and to clearly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in this research realm. Lastly, this paper will also contribute by suggesting clues for future researches. Further the importance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it can point out the limits of Korean researches on executive compensation, and can raise more interests from the monitoring institutions and policy authorities to solve the concerned matt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의의 2 1.3 연구의 목적 3 1.4 논문의 구성 4 2 해외(국외) 문헌의 분석 5 2.1 대리인이론 정립 초기의 보수체계 연구 문헌 8 2.2 금융회사의 기업성과와 경영진 보수체계 연구 문헌 10 2.3 금융회사의 위험수준과 경영진 보수체계 연구 문헌 13 2.4 금융회사에 대한 규제와 경영진 보수체계 연구 문헌 15 2.5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근의 보수체계 연구 문헌 19 3 국내 문헌의 분석 23 3.1 금융회사 경영진 보수체계에 대한 최근의 이슈 23 3.2 국내 경영진 보수체계 연구 문헌 25 3.3 국내 관련연구의 현황과 그 한계점 27 4 금융회사 경영진 보수와 기업변수 간 상관분석 연구 29 4.1 상관분석을 위한 연구의 설계 29 4.1.1 표본대상 및 표본기간 29 4.1.2 변수와 분석방법의 제시 31 4.2 실증분석의 결과 32 5 결론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 34 참고문헌 36 ABSTRACT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3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금융회사 경영진 보수체계에 관한 문헌 연구 및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ecutive Compensation System of Financial Companies :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dc.creator.othernameOh, Won-Sun-
dc.format.pagevii, 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