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07 Download: 0

대장암환자의 mFOLFOX6 regimen에서 용량 조절에 관한 연구

Title
대장암환자의 mFOLFOX6 regimen에서 용량 조절에 관한 연구
Authors
정은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병구
Abstract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은 한국에서 전체 암 발생의 3위인 암으로 그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장암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암화학요법은 FOLFOX regimen으로 국립 암 센터 에서는 부작용적인 측면이나, 환자의 편의 및 간호시간을 줄이는 이점 때문에 modified FOLFOX6 regimen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구성은 제 1일에 oxaliplatin 85 mg/ ㎡와 leucovorin 200 mg/ ㎡를 동시에 정주한 뒤 5-FU 400 mg/ ㎡를 bolus로 주사하고 5-FU 2,400 mg/ ㎡를 46시간 infusion하는 것으로 매 2주마다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변형된 regimen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는 부작용의 발현 및 이에 따른 용량 조절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장암 환자에게 mFOLFOX6 regimen을 사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용량 조절(dose modification)의 패턴 및 원인을 분석하고 용량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국립 암 센터 에서 대장암으로 진단받고mFOLFOX6 regimen으로 치료 받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후 향 적 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68명(97.2%)의 환자에게서 용량 조절이 발생하였고, 총 용량 조절 횟수(투여 일의 연기 및 용량 감량 포함)는 평균 2.90 ± 1.58회 였다. 용량 조절의 패턴은 투여 일을 1주 연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용량 조절의 원인으로는 호중 구 감소 증이 가장 많았다. 용량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연령, 체표면적, 혈액 검사 수치, 기저 질환, 병기, 전이, 전신활동도, 이전치료, 음주 력, 흡연 력 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온 결과는 연령의 경우 70대 환자군인 경우 50-60대 환자군 보다 총 용량 조절 횟수 및 용량 감량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5, 0.027). 혈액 검사 수치와의 관계에서는 alkaline phosphatase 수치가 높을수록 총 용량 조절 횟수 및 투여 일의 연기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35, 0.033). 그리고 고혈압의 병력을 가진 환자 군에서 총 용량 조절 횟수 및 용량 감량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46, 0.027). 병기의 경우 제 1기를 제외하고 병기가 높을수록 총 용량 조절 횟수 및 투여 일의 연기 횟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이 여부에 따른 결과는 전이가 있는 군에서 전이가 없는 군보다 총 용량 조절 및 투여 일의 연기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21, 0.015). 전신활동도의 경우는 전신활동도가 나쁠수록 총 용량 조절 횟수 및 용량 감량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9, 0.025). 그리고 이전에 방사선 요법을 시행한 환자에게서 총 용량 조절 횟수 및 용량 감량 횟수가 높게 나타났다 (P = 0.259, 0.005). 그 밖에 음주 력 이 있는 경우 용량 감량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 = 0.004), 흡연 력 이 있는 경우에는 총 용량 조절 횟수 및 투여 일의 연기, 용량 감량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0.002, 0.002). 본 연구를 통해 용량 조절의 원인이 치료 시작 전의 개개인의 차이에 의존해서 나타나고 미리 예상해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치료 기간 동안 용량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측인자들을 지속적으로 찾아 내어 실제 개개인에 맞는 치료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Colorectal cancer (CRC) is the third most cancer in Korea. The FOLFOX regimen is widely used chemotherapy in CRC, and modified (mFOLFOX6) regimen is frequently used in National Cancer Center in view of adverse events, patients’ convenience and the time for nursing. mFOLFOX6 regimen consisted of oxaliplatin 85 mg/㎡ and leucovorin 200 mg/m2 intravenous (IV) on day 1, followed by 5-FU 400 mg/㎡ IV and then 5-FU 2,400 mg/㎡ IV over 46 hours, administration every 2 weeks. Although the use of modification regimen, adverse events and dose modifications have frequently occurred in the clinical fie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 and pattern of dose modification of mFOLFOX6 regimen,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dose modification in CRC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7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RC and received mFOLFOX6 regimen between January 2009 and March 2010. Dose modification was presented in 68 patients (97.2%) and the average incidence (including delay of administration and dose reduction) was 2.90 ± 1.58. To modify the regimen the most frequent used way of dose modification was to delay chemotherapy schedule for a week, and the primary cause of dose modification was neutropenia. Factors that affected dose modifications include gender, age, body surface area (BSA), blood level, underlying disease, stage, metastasis, performance status (PS), previous disease and the history of drinking and smoking. As a result, dose modification and reduc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in age of 70’s than 50’s and 60’s (P = 0.015, 0.027, respectively). In the respect blood level test, high alkaline phosphatase level patients had more dose modification and delay of chemotherapy (P = 0.035, 0.033, respectively). Also, the dose was modified and reduced more frequently in the patients who had the case history of hypertension (P = 0.046, 0.027, respectively). In the relation to the stage, patients in advanced stage had more dose modification and delayed administration except for the first stage of CRC. The dose was modified and administration was delayed more frequently in metastatic cancer patients than nonmetastatic cancer patients (P = 0.021, 0.015,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dose modification and reduction increased with poorer PS (P = 0.019, 0.025, respectively). In the patients with radiotherapy previously, the dose was modified and reduced more frequently (P = 0.259, 0.005, respectively).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history of drinking and dose modification, the dose was reduced more frequently (P = 0.004). Also the dose was modified and administration was delayed more frequently in the patients who had the history of smoking (P = 0.001, 0.002, 0.002, respectively). From this study, the cause of dose modification occurred depend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uld be predictived previously.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firm predictive factors that could affect dose modification and to apply to individual treatment effe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