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종-
dc.contributor.author신윤자-
dc.creator신윤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Vatech Korea)로 이공부위의 해부학적인 구조를 조사 평가한 것으로 이공부위에서의 임플란트를 식 립 시 유용한 해부학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로는 2007년 1월부터 2010년 4월까지 개인 클리닉 에 내원하여 하 악 이공부위를 양측 또는 편 측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한 분으로 79명의 환자에서 108개의 이공 CBCT영상을 조사자료로 하였다. 조사 내용은 axial wall이 치아의 교합평면과 평행하게 설정된 상태에서 인접치아의 치 축 에 평행한 관상단면상을 획득하여 아래항목을 계측하였다. 관상단면상에서 인접치아의 장 축에 평행하게 하 악 관 상방에 선을 긋고 이 선에 대해 이공상방에서 수선을 그어서 하 악 관 상방 점에서 수선과 평행선이 만나는 점까지의 길이를 계측하였다. 이 길이가 이공부위에서 임플란트 를 식 립 시 가용 골로 좀더 고려해 볼 수 있는 수직적 길이이다. 두 번째로 이 신경(mental nerve)이 이공(mental foramen)으로 개 구 시 상방으로 주행하는데 이때 관상단면상에서 인 접 치 장 축의 수선에 대한 이관(mental canal)의 각도를 계측하였다. 마지막으로 CT의 시상단면상과 관상단면상에서 치아에 따른 이공의 위치를 관찰하였다. 측정은 바텍 에서 제공하는 EzImplant 프로그램에 있는 디지털 자와 디지털 각도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공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하 악 제2소 구치 하 방이 58% , 제1소 구치와 제 2소 구치 사이가 24%, 제2소 구치와 제 1대 구치 사이가 15% 순으로 제2소 구치 하 방에 가장 많이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2) 하 악 관 상방에서의 이공의 높이는 (하 악 관 상방에서 이공 상방까지의 수직거리)는 평균이 3.7mm(1.4mm) 이며 최대 7.6mm 최소 1.1mm 였다. 남녀 전체에서 2~3mm가 27.8%, 3~4mm가 30.1%, 4~5mm가 21.1%로 대부분 2~5mm 사이였다.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3) 이관의 협 측 각도는 평균이 41.9° (10.1°)이며 최대 64.0° 최소 15.4°였다. 남녀 전체에서 30°~40°가 38.0%, 40°~50°가 29.3%, 50°이후가 22.2%로 대부분이 30°에서 50°이상임을 관찰 할 수 있었다.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하 악 관으로 부 터 이공의 수직 높이가 높을수록 이관의 협 측 각도 도 커짐을 관찰 할 수 있었다.;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mental foramen using cone beam computered tomography(CBCT). This study analyzed 108 CBCT images of 79 adults (34 male, 45 female) ranging in age from 20 to 76years. The location of the mental foramen was investigated in sagittal image and coronal image of CBCT (DCT-90-P IMPLAGRAPHY Dental CT system, Vatech, Seoul, Korea). Sagittal, coronal images were reconstructed from Dental and Block Images of CBCT. The vertical height between sup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and superior border of the mental foramen was calculated in coronal image of CBCT. Buccal angle of the mental canal was calculated in coronal image of CBCT. It was measured using digital caliper in Ezlmplant ( Vatech ,Seoul,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ocation of the mental foramen below the apex of the lower second premolar was the most common (58%). 2. The mean vertical height between sup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and superior border of the mental foramen was 3.7mm(±1.4). maximum height was 7.6mm. minimum height was 1.1mm. 3. The mean buccal angle of the mental canal was 41.9°(±10.1). maximum angle was 64.0°. minimum angle was 15.4°.-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4 A. 연구 대상 4 B. 연구 방법 5 C. 측정 항목 5 Ⅲ. 연구 결과 8 A. 이공이 나오는 위치 8 B. 이공의 수직적 높이 (하악관 상방에서 이공의 높이) 9 C. 이관의 협측 각도 11 D. 이공의 수직 높이와 협측각도와의 상관관계 13 Ⅳ. 고찰 14 Ⅴ. 결론 17 참고문헌 18 ABSTRACT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19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Cone beam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하악 이공의 형태계측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utational Morphometric Study of mental foramen using a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dc.creator.othernameShin, Yun-Ja-
dc.format.pageviii, 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