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명래-
dc.contributor.author황혜원-
dc.creator황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7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임상에서 발생한 임플란트 고정 체 파 절 예를 수집하여 환자의 성별과 나이, 임플란트 가 식 립 된 구강 내 위치, 임플란트 보철 물이 구강 내에서 작용한 하중 기간, 임플란트 의 직경, 임플란트 보철 형태, 고정 체(fixture)파 절 부위, 임플란트 의 종류 및 지대주간의 연결 유형 등을 조사하여 임플란트 파 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를 유추해보고 그 요인들과 처치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1990년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20년 동안 이화여대 목동병원 치과진료부에 내원하여 임플란트 유지 보철 수복으로 기능하고 있던 환자 약 6000명 중에서,골 내에 식 립 된 임플란트 고정 체 가 파 절 되어 내원한 환자 중 14명의 18개의 임플란트 파 절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환자의 진료기록부와 치과방사선사진을 근거로 하여 환자의 성별, 나이 등의 인적 사항과 임플란트 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으며 이 정보들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 파 절이 일어난 18예 중 13예(72%)가 남자에서 일어났고, 여자에서는 5예(28%)이었다. 임플란트 파 절의 55.5% (10예)는 50-59세에서 발견되었고, 40-49세가 4예(22.2%), 60-69세가 3예(13.6%), 70세 이상에서는 1 예가 있었다. 2. 임플란트 고정 체가 파 절 된 18 례 중 상 악과 하 악은 각 9개로 차이가 없었고, 대구 치 부위에서 10예(55.5%), 소 구 치 부위에서 7예(38.9%)가 발견되었고 전치 부에서는 단 1예 이었다. 3. 임플란트 보철이 수복된 후 초기 2년에 3개의 고정 체(fixture)파 절이 있었고, 2년 이후 5년 사이에 3개(16.7%), 5년 이후 9년 까지 에서 9개(50%)이었고, 10년 이후에서도 3개(16.7%)의 파 절이 발생함으로써, 66.7%가 5년 후에 발생하였다. 4. 고정 체(fixture)의 직경 별로 3.75mm가 10개(55.5%), 4.0-4.1mm이 6개(33.3%)이었고, 4.5mm는 2개로 조사되었다. 5. 보철의 유형에 따라서는 2-3개의 계속 가공 치 관을 가진 고정 체가 89%(16 고정 체)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단일치관(single crown)을 가진 고정 체는 2예로 조사되었다. 6. 고정 체 파 절 부위는 상부1/3에서 파 절 된 것이 15예(83.3%)였고, 중간1/3에서 파 절 된 것이 3예(16.7%)이었으나 근 첨부 1/3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다. 7. 파 절 된 고정 체(fixture)의 임플란트 종류는 Screw/Core-vent(Zimmer, U.S.A) 7개와 Osseotite(Biomet, U.S.A) 6개로 가장 많았고, Bränemark MKII(Novel Biocare, Sweden) 3개, SSII(Osstem, Korea) 1개, Ankylos(Friadent, Germany) 1개였으며, 지 대 주 연결유형별로 외부연결 형이 11개(61.1%), 내부연결 형이 7개 이었다. 그러므로 파 절 된 고정 체에서 보여지는 작은 직경, 임플란트 자체의 취약한 구조 및 안정적이지 못한 상부 보철을 지양하는 것이 임플란트 고정 체 파 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일 수 있다고 요약된다.;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llected implant fractures cases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leading to failures. The subjects, 18 cases of 14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re followed up with panoramic views and medical records for 20 years since 1990. Patient's age, sex, fixture diameter, region of implant placement, type of prostheses, type of abutment connections, and fracture site were examined by radiograp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18 fixture fractures, 13 fracures (72%) were occurred in man, rather only 28% in woman. 2. The fixtures were fractured most frequently in 5th decade (10 cases, 55.5% ), while 4 (22.2%) of them were in 4th decade and 3 fixture-fractures (16.6%) were in the 6th decade. 3. Of the fixture fractures, 16 implants (88.9%) were found in 2nd premolar and molar region, only two cases were in anterior. 4. Of the fixture-fractures, 12 (66.7%) implants were fractured after 5 years; 9 between 5-10 years, and 3 after 10 years, but only 3 cases were found within 2 years after loading. 5. Of the fractures, 10 fixtures (55.5%) were occurred in 3.75mmD fixtures, and 6 (33.3%) fixtures were 4.0-4.1mmD(n=5), only 2 fixtures were 4.5mmD. 6. Of the fractures, 16 fixtures (88.9%) were occurred in 2-3 unit splinted fixed prostheses, while ony 2 fractures were found in single unit restoration. 7. Of all fixture-fractures, 15 fixtures (83.3%) disclosed fracture of cervical(top) 1/3, 3 (16.7%) in middle 1/3, and never in apical 1/3. 8. Of 18 fractured implants, 7 (38.9%) were the Screw/Core-vent system(Zimmer, U.S.A), 6 (33.3%) were of 3i Osseotite (Biocare, U.S.A), 3 (16.7%) of Bränemark MKII (Novel Biocare, Sweden), 1 of the Ankylos (Friadent, Germany), 1 of the SSII (Osstem, Korea). 9. By the abutments, external connection systemn showed more frequent fractures as 61.1% than in the internal connection type. Conclusively, the implant fixtures were fractured more frequently in man, and at the age of 5th decade, in narrow diameter fixtures, at the cervial 1/3 of the splinted fixed bridges, after 5 yea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연구 방법 4 Ⅲ. 연구 결과 6 1. 환자의 성별과 나이 6 2. 임플란트가 식립된 구강내 위치 6 3. 임플란트 보철물이 구강내에서 작용한 하중 기간 7 4. 임플란트의 직경 8 5. 임플란트 보철 형태 8 6. 임플란트 고정체(fixture)파절 부위 9 7. 임플란트의 종류 및 지대주간의 연결유형 9 Ⅳ. 총괄 및 고찰 10 Ⅴ. 결론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96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보철수복 후의 임플란트고정체 파절에 관한 임상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linical Study on the Fracture of Implant Fixtures in Function-
dc.creator.othernameHwang, Hye-Won-
dc.format.pageviii, 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