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3 Download: 0

미국 미술대학 입학실기전형에 있어서 포트폴리오 평가기준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미국 미술대학 입학실기전형에 있어서 포트폴리오 평가기준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The Portfolio Assessment Standard Research about : Concentrated on the East of USA
Authors
안숙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The research is significant to obtain implications about Korean art college admission entrance examination environment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ast coast art college’s admission system where many globally famous artists have studied and received educations. Indeed, professors’ perceptions about art college admission, its preparation education including portfolio preparation at high school, the roll of visual art class instructor, and the North American human centered art education were analyzed and explored. Diverse and mixed methodologie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Most collected information and data were via diverse secondary and primary method like internet and books. Secondary researches were taken by papers published in Korea and abroad. Primary and qualitative researches were in-depth interviews with Susan Gandy who is the director of Admission at University of Arts in Philadelphia, US. Furthermore, interviews from students who currently enroll in art colleges. Quantitative researches as surveys were taken from professors and admission examiners who currently work at colleges in the ea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First, it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hanges of Korean art college admission examination. Its issues and problems were explored via published papers. Second, theories and backgrounds that influenced the art college admission of the United States were explored. Also, their current art education trend, K-12 visual art curriculums, and preparations for art college admission were analyzed. Third, opinions, insights, in-depth interviews from the professors and admission examiners of North American art college admission were collected; thus, the gained insights would be valuable for Korean art college admission test and art educations. This research and surveys were about current professor’s interests about admission examination environments, admission procedures, and admission examinations. The survey participants are current professors who are teaching at art colleges. Three hundred surveys were sent and one hundred fifty responses were received. The survey period took one month from March tenth of 2010. It is not appropriate to compare directly between Korean and North American art college admission environments since their histories and cultural backgrounds, education budgets, education environments, and textbooks are different. Both are not identical status to compare. However, as researching for improvements about Korean art college admission environments, the research is revealed that US art college admission does not have the same problem as Koreans have. Highly competitive Korean art college admission entrances are consequence of the demand which is the upper social class entrance via entering the top colleges. It has caused not to choose quality students at all. On the other hand, it is not easy to discover high competition for art college admission entrance in US. Beyond question, many North American students study hard to enter good colleges. Indeed, everyone has fair opportunities to apply art colleges by from K to grade 12 visual art educations only. Most US professors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art college admission environments. They rather prefer researching about increasing visual art educator’s abilities than frequent changes of art college admission environments. Furthermore, time and budge, spent to prepare art college admission, are sufficient within school education. The art education is oriented to develop each student’s self-access growth at teacher’s discretions. Despite unconditionally penetrating other countries’ visual art educations into Korea, US do not accept to apply other’s good visual art education materials as long as the education circumstances do not fit. Besides, US art education provides sufficient time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visual art abilities instead of inquiring memorizing the education context only at the art college admission entrance examination which has limited time. US art college admissions also consider and seek each student’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well as trusting their art works than not just only expressions of art pieces.;21세기는 시각문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적절한 정보를 공유하며 활용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수용하며 연구하는 시대이다. 우리나라는 디자인과 예술분야 종사자들에 대한 미흡한 대우와 인재양성과 계발을 위한 교육제도의 문제점 개선이 필요한데 그 중에서도 대학입시전형에 대한 개선이 중요하게 거론된다. 미술대학 입시제도 개선이 필요한 이유는 사회적인 문제와 학교 미술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미술대학에 가기 위해 사설학원에 시간, 비용을 과다하게 공간적 제약까지 받으며 힘들게 미술대학에 진학하지만 사회적으로 낮은 취업률과 디자이너로서의 미흡한 대우 및 세계적 진출에 대한 어려운 상황들이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에 반해 미국 고등학생들은 자유로운 방식으로 정규 초•중등학교에서 대학 입학준비로 미술대학 진학을 하며 대학졸업 후 사회진출과 세계적인 성공을 본다면, 과연 우리의 미술대학 입시제도가 진정한 예술인이 될 인재를 잘 선발하고 있는지 우리나라 미술대학 입학전형제도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미술의 근간을 형성하며 많은 예술인을 배출하고 있는 미국 동부지역의 입학제도 및 이론적 배경을 조사 • 연구하였다. 미국 동부지역의 인간중심 미술교육과 입시제도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 채점기준, 미술대학입학 시 포트폴리오(Portfolio) 준비과정, 교사의 역할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 내용은 참고도서, 국내 선행논문, 국외 선행논문, 각 동부지역의 미국대학교의 교수들과 입학 심사자 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고 University of Art(UArts)의 교수인 Susan Gandy(Director of Admission)와의 인터뷰 그리고 현재 재학 중인 미국 대학생의 인터뷰를 통한 자료수집과 인터넷을 통한 문헌자료들로 연구하였다. 첫째, 우리의 미술대학 입학시험을 살펴보고 현재의 변화에 대해 파악하고,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선행논문 위주로 찾아보았다. 둘째, 미국 미술대학의 입학전형에 영향을 준 이론과 배경, 현대미술교육의 흐름파악 및 12학년까지의 미술교육과정과 미국미술대학 입학진학 시 준비과정 및 실행과정을 살펴본다. 셋째, 미국 동부지역 미술대학 교수들의 포트폴리오의 전형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살펴보고, 한국의 미술대학 입학실기시험과 미술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설문지내용은 미국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로 미술대학 입학실기시험에 대한 관심도, 실행과정, 평가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미국의 동부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교수들과 입학시험관들을 선정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260부를 회수하였으며, 통계처리를 위해 데이터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통계 분석에 의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에서 졸업한 대부분의 교수들은 초•중등학교에서 준비를 하였으며 대학부설과 정규수업시간에 준비한 포트폴리오로 대학을 진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진학 시 입시준비를 위한 학교 내의 준비교육과정이 충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교수들은 초•중등학교에 대한 미술교육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컸으며 대학입학준비 시 학생들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신뢰도 역시 매우 높음을 보여주었다. 사설학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96.1%가 대학진학을 위해 사설학원은 필요 없으며, 미국의 미술입학전형은 개선의 필요성이 없고, 평가기준은 25%정도 반영하여 선발하였다. 대학입학실기인 포트폴리오(Portfolio)는 채점 시 분석결과 ‘주제’ 영역에 있어서는 ‘유창 성’ '독창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개성을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면구성’ 영역에 있어서는 ‘원근’, '배치', ‘구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영역에 있어서는 ‘작업태도’, '작업마무리'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제', ‘표현기법’, '화면구성'순이었다. ‘완성도’를 가장 중요시하며, ‘비평적 사고’, ‘관찰력’, ‘명암과 입체감’, ‘원근감’, ‘창의력’, ‘성실도’, ‘형태’, '디자인', ‘표현력’, ‘아이디어’, ‘기능’, ‘성취 력’, ‘질감’ 순으로 중요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는 우리의 입시제도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결과는 아니지만, 미국의 입학제도 중 비평적 사고와 유창 성, 독창성 측면에는 주목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은 역사와 문화적 배경, 교육재정이나 교육여건, 교과서 등이 다르기 때문에 자체만으로는 둘의 비교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 우리가 안고 있는 문제들은 찾아 볼 수 없으며 개선방향의 예로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미술대학 입학전형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우리사회의 계층상승을 유도하는 수요과다로 입시경쟁을 부추기는데 반해 미국의 입학제도에서는 입시경쟁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초•중등학교 교육으로 미술대학 입학시험에 지원할 수 있었다. 미국 교수들의 입시제도의 인지도는 매우 만족하며 빈번한 변화보다는 교사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시간과 비용도 우리와는 다르게 초•중등학교의 교육으로 이루어지며 교사의 재량으로 학생들은 스스로 계발하고 노력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다른 나라의 미술교육이 성공적인 교육이라도 미국은 바로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 연구되고 있었다. 미국의 학생들은 시간적 한계와 암기식의 시험과는 다르게 스스로의 실력을 충분히 보여주고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미국대학의 교수들도 지원학생을 신뢰하며 작품의 표현력보다는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 개성을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1세기를 향한 한국 미술대학 입학전형제도가 나아갈 바를 조명하기 위해 우리와 다른 미국의 미술대학 입학전형에 대해 알아 본 연구로서, 서양의 방식을 무분별하게 따르자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일련의 조사과정을 통해 우리의 대학입학전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