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백은영-
dc.creator백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8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890-
dc.description.abstract어머니는 자녀의 진로선택 및 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진로 관은 자녀의 진로 관에 결정적인 변인이다. 이러한 이유로 어머니의 진로 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어머니 진로 관에 대한 연구들은 한국 어머니의 진로 관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자녀의 바른 진로결정을 위해 학부모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도 어머니의 진로 관에 문제가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진로 관 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직업선택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3. 직업과 성 역할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4. 직업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5. 직업존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어떠한가? 연구방법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1개교씩 단순 무선 표 집 하여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어머니 326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학교 급에서 단순 무선 표 집 된 각 반 담임교사에게 본 연구의 의도를 설명하고, 설문지의 배부와 회수를 부탁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t검정, 비 모 수 통계 값(Kruskal Waiils 검정결과)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조사도구는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과 어머니의 진로 관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은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작성하고 진로교육 전문가에게 내용타당 도를 검증 받은 10문항이다. 어머니의 진로 관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은 곽병선 외 2인(1982)이 개발한 설문 중 학부모의 진로의식을 묻는 설문 30문항이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부분에서는 첫째,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인지 여부는 총 326명 중 '알고 있다'고 답한 어머니는 180명으로 55.2% 이다. 둘째,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태도에서는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해 알고 있는 어머니 180명 중 학부모 진로교육에 참석한 적이 있는 어머니는 93명으로 51.6% 이다. 참석 횟수는 특강 1회(34명, 36.6%)에서 2회(35명, 37.6%)에 참여한 어머니가 총 93명 중 74.2%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어머니가 특강을 1회에서 2회 정도 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석 여부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어머니들이 학부모 진로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학부모 진로교육을 통해 받은 도움을 다중응답을 통해 알아본 결과 1위를 차지한 것이 '자녀의 특성 이해' 였다. 어머니들의 관심이 '자녀의 특성 이해'라는 개인 정보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학부모 진로교육을 통한 기대에서 역시 '자녀의 특성 이해'(57.2%)와 '직업세계의 이해'(24.4%)가 대부분(81.6%)을 차지해 어머니들의 관심이 개인 정보와 직업 정보에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학부모 진로교육에 부정적인 이유는 '시간이 되지 않는다'(16명, 44.4%)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어머니의 진로 관 부분에서는 첫째, 직업선택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자기결정적 경향'을 나타내었고, 하위변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직업과 성 역할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개방적 경향'을 나타내었고, 하위변인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직업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결과지향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 어머니의 학력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직업존엄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는 '형식지향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 학부모 진로교육 참석 횟수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학부모의 진로 관을 조사․연구한 논문들은 학생 대상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 하에 기초 조사 자료로 학부모의 진로 관을 조사․연구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한국 교육의 문제해결 중심에 있는 어머니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는 현 시점에서 어머니의 건전한 진로 관 정립을 위한 학부모 진로교육의 방향과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기존의 연구들은 아버지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한국의 현실로 볼 때 어머니가 자녀의 진로에 상당한 영향력을 지녔기 때문에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기존 연구는 진로교육 경험의 유무나 참석 횟수 등을 다루지 않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경험 유무와 참석 횟수를 변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기존 진로교육의 효과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areer, of mothers whose children a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mothers’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like? 2. What attitude do mothers have toward career? 3. What attitude do mothers have toward career and sex roles? 4. What attitude do mothers have toward work values? 5. What attitude do mother have toward the dignity of occupation? Procedure and Method: The samples consisting of one elementary school,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were randomly selected from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26 mothers in total with elementary school 4thgrade and middle and high school 2nd grade students. The teachers of classes and only selected at respective school level, were asked for distributing and collecting of questionnaire, with some explanation on the intent of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As research tools, there are 10 question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o examine mothers’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nd 30 questions about parents’ career awareness excerpted from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Kwak Byung-Sun and other 2 researchers to investigate mothers’ attitude toward career.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mothers’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firstly, to the question if they are aware of parents’ career education, the 55.2%, or 180 of 326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it. Secondly, to the question about the attitude toward parents’ career education, the 51.6%, or 93 of 180 who were aware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nswer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It was shown that the 74.2% of 93 participants attended special lecture once or twice; 34 participants or 36.6% once and 35 participants or 37.6% twice. It indicated that most of mothers want to take parents’ career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experience in it. Thirdly, to the multiple choice question on the help of parents’ career education, the most number of respondents chose in the first place the answer ‘it helped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It showed that mothers’ interest is focused on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understanding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Fourthly, to the question on expectation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57.2% of respondents selected ‘understanding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24.4% selected ‘understanding of world of work’. It indicated that mothers have much interest in personal and vocational information. Fifthly, to the question why you don’t want to take parents’ career education, 44.4% or 16 respondents expressed that because they don’t have time. In the mothers’ attitude toward career, the respondents showed ‘achieved’ orientation,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Secondly, mothers’ attitude toward career and sex roles showed open-minded orientation,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Thirdly, mothers’ attitude toward value of work was result-oriented.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educational level. Fourthly, mothers' attitude toward dignity of vocation was form-orient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number of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Significance of Study: The many existing studies on parents’ attitudes toward career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get basic research data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imed at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ar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to contribute to parents’ healthy attitude toward career. As mothers have greater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career currently in Korea, it is also significant that research was conducted for mothers only whose children a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whereas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Another significant thing is that this study could indirectly examine the effect of existing career education, by setting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on, whereas existing studies have not covered such factors. In conclusion, at this time of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mothers’ role for solving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would be the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arents’ career education which will help to form mothers’ healthy attitude toward care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A. 학부모 진로교육 10 1. 학부모 진로교육의 필요성 10 2. 학부모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3 3.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22 B. 어머니의 진로관 25 1. 진로관의 개념과 의미 26 2. 어머니 진로관의 특성 28 3. 어머니 진로관과 자녀의 진로선택 36 Ⅲ. 연구방법 39 A. 조사대상 및 절차 39 B. 조사도구 39 C. 설문지 내용 및 분석방법 40 Ⅳ. 연구결과 48 A. 조사대상의 분석 결과 48 B. 어머니의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결과 49 C. 어머니의 진로관 분석 57 Ⅴ. 결론 79 A. 요약 및 논의 79 B. 연구의 한계 84 C. 제언 85 참고문헌 88 부록 94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56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학부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진로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wareness of parents’ career educa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areer, of mothers whose children a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Baik, Eun-Young-
dc.format.pagex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