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천성옥-
dc.creator천성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3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3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비정규, 비영리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 통합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대학 등의 정규 교육 기관 이외에도 한국어 교육이 일어나고 있는 현장은 국내를 비롯하여 해외에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목적과 대상에 맞는 교육을 실현하기란 그리 용이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로 제시하고 있는 비정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서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 교사, 시행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각의 요구를 분석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검증함과 동시에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각각의 수업에서 희망하는 수업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학습자 105명, 교사 32명, 그리고 시행 기관 담당자 8명에게서 수거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 서론에서는 비정규 한국어 교육 기관의 현황과 프로그램 다양화의 필요성, 그리고 문화 교육이 왜 필요한가에 대하여 다루었고 이에 따른 연구 문제를 진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문화 교육의 구성에 있어서 내용 선정에 대한 논의와 별도의 문화 체험 프로그램의 장점을 기술하였고 외국어 교육 과정의 설계 및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외국어 교육에서는 학습 목적과 동기가 학습 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학습자들의 요구분석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본 연구와 관련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Ⅲ장의 연구 방법에서는 요구 분석에 있어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는 설문조사법을 채택하였고 연구 대상은 연구자의 임의적 표 집이 가능한 편의적 표 집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예비 조사의 단계로 집단 면접과 개별 면담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와 각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업 또는 학습 목적에 따라 수업 희망 요소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카 이 제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은 핵심어로 분류하여 유사 의미를 묶어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기술하였는데 우선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의 학습 경험자에 대한 입학 절차와 수업 만족도에 있어서 42%의 ‘까다롭다’라는 의견과 63%의 수업 만족도를 보였고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절차나 조건에 대하여는 85%가 ‘만족한다’, 수업 만족도는 90% 이상의 응답률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물론 수강료가 없다는 비영리 프로그램의 1차적인 장점이 가장 크다고 하겠으나 수업 구성이나 시간대, 그리고 접근 성이 용이한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과 선호도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하겠다. 또한 문화 교육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당위성을 묻는 질문에서 38%가 문화 차이에 대한 충격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고 85%가 한국 문화를 알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여 언어와 문화 통합 교육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직업별 학습 목적의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직업에 상관없이 ‘한국 사람과 대화하기 위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가장 최우선적인 한국어 학습의 목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어 한국어와 문화 수업에서의 희망 요소와 수업 시간, 횟수, 그리고 별도의 문화 수업에 대한 수업 요소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한국어 수업에서는 ‘언어 요소’가, 별도의 문화 수업에서는 ‘한국 음식 문화’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교사의 요구분석 결과로 나타난 ‘한국어 교육에서 가장 필요한 문화 요소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전통 문화’ 보다 ‘음식 문화’가 더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학습자들은 ‘전통 문화’의 요구가 더 높았다. 또한 교육 과정의 운영이나 관리에 대한 교사와 시행자의 의견에서는 ‘교육 과정 운영과 관리에 교사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전체 교사 응답자의 67%를 차지하여 교사들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높은 관심도를 알 수 있었고 시행자 역시 ‘학습자와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 의견의 87%를 보이고 있어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서 학습자와 교사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출발점이 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사례를 연구 결과와 대비시켜 프로그램의 설계 방안의 모형으로 기술하였으며 Ⅵ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 점인 비정규, 비영리 프로그램에서의 요구분석만이 아닌 정규 교육 기관 학습자와의 두 집단 비교와 같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ntegrate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tudent needs in the non-formal and nonprofit education organizatio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huge including Korea and other foreign countries. Nevertheless, it is true that actualizing suitable education for purpose and target containing requests of learners is not easy. For this reason, survey of learners who are taking informal Korean language program, instructors, and program managers of relevant organizations has been implemented. Practical program planning and operating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from survey of 105 learners, 32 instructors and 8 program managers has been discussed to verif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programs and to investigate necessity and hope elements of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result.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in chapter Ⅰdescribes the study thesis while discussing present status of informal Korean language education organization, necessity of program diversification and the reason why culture education is needed. In Chapter Ⅱ, four matters are explained; 1) theoretical basis about overall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2) discussion about content selection in construction of cultural education, 3) the advantage of separated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4) the designs of specifics foreign language course and teaching methods.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especially, learning goals and learning motivation are closely related with learning achievement. Therefore, the need analysis of learners must be preceded through related existing research. The method used for the research of Chapter Ⅲ is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most common method of needs analysis. The targets have been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which research random sampling is available. The questionnaire is based on the result of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terviews that is implemented as pre-investigation. Collected resources are analyzed in various ways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averag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factorial factors, and chi-squared test to refer the difference of learners hope elements depending on the job or learning purpose through SPSS program. Open questions were classified by key words and were bound by similar meanings. Chapter Ⅳ state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 First, 42% of learners from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ttached to the university expressed 'Difficult' in admission process 63% of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with it. Satisfaction about informal education programs procedures and conditions was 85%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This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rmal and informal programs. Surely, the fact that the non-profit program is free, the biggest advantage of it, could affect respondents, but it shows necessity of the variety class configuration or time zone, and easily accessible programs clearly. For the question about why cultural education is needed, 38%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experienced culture-shock, and 85% think that knowing Korean culture is helpful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It prove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in language and cultur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objectives according occupation. Regardless of occupation, 'to have conversation with Korean' was accounted for the majority. It means that improving conversation skill is the main purpose of studying Korean. There are different hope elements between Korean class and separated culture class; Language elements' for Korean class, 'Korean food culture' for separated culture class which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among the hope elements of each class. On the other hand, answers from instructors and learners concerning the question about the most needed cultural elements are different. Korean education instructors replied 'food culture', but learners expected 'traditional culture'. The opinion of 67% teachers and practitioners for operating or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is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is required for operating and management.' It shows high interest for operating education program of instructors. Practitioners as well, showed their opinion; feedbacks of learners and teachers have to be reflected in program design. Chapter Ⅴ states real example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starting points of this study as a model of program design plan comparing result of the study. In chapter Ⅵ, discussion about result of this study with Korean education program design and its implications are stated. And not only needs analysis in informal non-profit program which is limitations of this study, but such as comparing two groups of learners from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al organization were proposed follow-up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1. 비정규 한국어 교육 기관의 현황 3 2. 프로그램 다양화의 필요성 6 3. 문화 교육의 필요성 11 B. 연구문제 1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4 A. 언어와 문화 통합 교육 14 1. 문화 교육의 구성 19 B. 외국어 교육 과정의 정의와 설계 24 C. 요구분석 31 D. 선행 연구 검토 34 Ⅲ. 연구 방법 45 A. 연구 대상 45 B. 자료 수집 47 1. 예비 조사 47 가. 학습자 48 나. 시행자 51 다. 개별 면접 52 2. 본 조사 53 C. 측정 도구 개발 54 D. 질문지 제작 57 F. 자료 분석 방법 68 Ⅳ. 결과 및 논의 69 A.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9 1. 학습자 69 2. 교사 73 3. 시행자 76 B.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 분석 77 1.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 학습 경험과 만족도 77 2. 비정규 프로그램의 알게 된 경로와 만족도 79 3. 직업별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의 수강 이유 82 C. 문화 교육의 필요도 분석 85 D. 한국어 및 문화 수업 관련 요구도 분석 86 1. 한국어 수업 시간 선호도 86 2. 한국어 수업 시간에 배우고 싶은 요소 87 3. 문화 수업에서 배우고 싶은 요소 89 E. 변인에 따른 차이 분석 92 1. 직업별 학습 목적 분포도 92 2. 직업별 수업 시간과 횟수 선호도 95 3. 직업별 한국어 수업의 희망 요소의 차이도 98 4. 한국어 학습에 가장 도움이 되는 문화 요소와 수업 형태 100 5. 별도의 문화 수업 수강 여부 직업별 선호도 103 6. 직업별 한국 문화 수업의 희망 요소의 차이도 105 F. 교사 요구분석 106 G. 시행자 요구분석 112 H. 설문지 종합 분석 결과 116 Ⅴ.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121 A. 프로그램의 목적 121 1.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122 가. 수업의 특징 및 구성 123 (1) 고급 단계 특성화 수업의 예시 125 나. 프로그램의 호응도 127 다. 운영 및 관리 129 라. 교사 교육 130 2.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 131 가. 프로그램의 내용 131 나. 체험 프로그램의 예시 134 B. 프로그램의 홍보 및 평가 136 Ⅵ. 결론 및 제언 140 A. 연구 결과의 요약 140 B.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시사점 143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의 제언 144 참고문헌 146 부록 1 설문지 - 국문 152 부록 2 설문지 - 영문 163 부록 3 프로그램 설계 및 요구분석 관련 논문 비교표 170 부록 4-1 직업별 한국어 수업 희망 요소 평균 분석도 173 부록 4-2 직업별 문화 수업 희망 요소 평균 분석도 174 ABSTRACT 1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374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요구분석을 통한 한국어·문화 교육 통합 프로그램 설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비정규 비영리 한국어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ntegrate Korean and cultural education through a student needs analysis in thenon-forma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Cheon, Seong-Ok-
dc.format.pagexiii, 1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