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원용-
dc.contributor.author김미-
dc.creator김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4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33-
dc.description.abstractA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more and more information is being transferred in the form of visual representation. As it is proven in various studies that communication in visual form is more effective and learning can also be facilitated through this type of communication, the importance of message visualization has becoming increasingly prominent, and the ability to comprehend and apply the visual information has been receiving more and more attention. However, most of the studies on media literacy and visual literacy focus on the media attributes, and if not on the media study itself, they seem to focus on the discussion of analysis and assessment of visual information. Therefore, it was deemed necessary that a study focused on the individual’s ability to comprehend and utilize the visual informatio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 conducted, hence this study on design literacy. As for the analytical concept of design literacy, design sophistication was proposed, and factors that contribute to design sophistication were identified. Whether design sophistication could positively be used to measure the individual’s design literacy was also verifi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arts: the first being the result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e feasibility of design sophistication concept; the second being the result of comparisons on design sophistication factors which experts, quasi-experts and the non-experts constituted; the third being the determination for the final selections on design sophistication factors and their sub-variables; the fourth being the results of comparisons of the select design sophistication factors based on groups of experts, quasi-experts and non-experts. First, reference was made to prior studies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design literacy and sophistication in order to form a framework; constituents of visual information transfer, its theories, and procedures of processing the visual information were reviewed so as to apply the conceptual framework of other areas to the visual information field. Through this practice, a new literacy area as an ability to read visual information, so-called design literacy was defined; at the same time, design sophistication was defined as an analytical concept of design literacy, and the factors constituting the design sophistication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In categorizing the design sophistication factors based on consideration of literature review, the major factors were design salience, design knowledge and cognitive ability: the design salience categorized further into design interest and design purpose, design knowledge into understanding of formative factors, related background knowledge and design creativity, and cognitive ability into design comprehensibility, retentivity and visual sensitivity. Second, comparing the design sophistication factors derived from the survey among groups of experts, quasi-experts and non-experts, the design sophistication factors by experts and quasi-experts were found to be comprised of six factors: design knowledge, design salience, cognitive ability, artistic talent, background knowledge and physical variations. On the contrary to the results from experts and quasi-experts, non-experts were sorted into 7 factors from 21 elements associated with design sophistication which seemed far from valid. It is determined that those non-experts of low design sophistication, failed to produce a meaningful result since they lack understanding of design literacy. Nevertheless, it showed a very interesting result that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from expert groups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y tend to put more emphasis on artistic talent than experts and quasi-experts and that they consider irrelevant the extent of one’s design interest to design sophistication. Third, ruling out the responses from non-experts that are determined to be invalid, only the responses from experts and quasi-experts were considered in deducing the factors that constitute design sophisticatio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first factor, design knowledge, are design experience, design knowledge, design education, representation skills and prior experience. The second factor is design salience, the variables of which are trend sensitivity, visual sensitivity, curiosity, design interest and priority. The third is artistic talent whose variables are creativity, imagination and expressiveness. The fourth factor, cognitive ability, has variables that are observational ability, analytical ability, reasoning ability and understanding. The fifth factor is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its variables are common sense and knowledge in the humanities. The sixth factor is physical variations and its variables are sight and memory. Fourth, among the six factors that contribute to design sophistication, the results of five factors except physical variations were assessed in relation to the three grou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design knowledge, design salience and artistic talent which are of high accountability. In terms of cognitive abil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t and quasi-expert groups while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non-experts and also between quasi-experts and non-experts. The cause seems to be that the nature of cognitive ability is more of fundamental refinement related to processing and producing information rather than applying visual information only. With regard to the background knowledge to understand visual informa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xperts and non-experts and between quasi-experts and non-experts as to the common sense factor,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ts and quasi-exper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concluded in five main ideas. First of all, by proposing a study o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uggested as design literacy, it opened up new possibilities in media literacy and visual literacy field when current studies focus on analysis and assessment of media and visual design. Secondly, by suggesting the design sophistication as a conceptual means of analyzing design literacy, it formed a fundamental base on which theoretical framework for visual literacy studies can be built. Thirdly, the design sophisti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onceptual tool by anyone as a producer and user of visual information for materialization as well as systemization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Fourthly, by understanding the design sophistication factors, it is expected to take a role in changing the existing perceptions on visual information literacy. In fact, the factors constituting design sophistication were, in many parts, knowledge necessary for understanding a language or related knowledge and elements related to prior experiences. This overturns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recognizing visual objects is largely involved with aesthetic characteristics. Lastly, studying the dimensions of design sophistication will make it possible for both experts and non-experts who deal with visual information to understand each other. This study also confirms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 design between experts and non-exper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lay a vital role as a bridge between those experts who produce visual information and the general public who receive the information, making it possible for the experts to predict how the prospective receivers will view the visual information and for the general public to perceive the information as it is intended.;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정보가 시각 화 되어간다. 많은 연구에서 문자 언어만이 아닌, 시각적으로 표현된 메시지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이 학습을 촉진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에 따라 메시지 시각화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었으며 시각 정보를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주목 받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미디어 읽어내기나 시각적 읽어내기의 연구들은 매체의 속성을 위주로 한 연구들이거나 시각 정보 자체의 분석이나 평가에 관한 논의들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의, 시각 정보를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러한 연구 분야로 디자인 읽어내기(design literacy)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디자인 읽어내기의 분석개념으로 디자인 세련 도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차원화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차원화된 디자인 세련 도는 실제로 개인의 디자인 읽어내기 능력을 측정하는 데에 실증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 그 타당 도를 검증 받았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는 디자인 읽어내기 분석개념으로서 디자인 세련도 개념화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관한 결과이며, 둘째는 디자인 세련도 구성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중 전문가, 준 전문가, 일반인들이 구성한 디자인 세련도 측정요인들을 비교한 결과, 셋째는 최종적으로 구성된 디자인 세련도 구성요인과 각 요인의 하위 측정 변수, 넷째는 디자인 세련 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에 관한 평가 결과의 집단 별 - 전문가, 준 전문가, 일반인 - 비교이다. 첫째, 읽어내기 능력을 측정하는 것과 관련된 선행연구들과 세련도 관련 연구들로부터 세련 도를 구성할 틀을 참고하고, 타 분야의 개념적 틀을 시각 정보 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각 정보 구성 요인과 원리,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로써 시각 정보를 읽어내는 능력으로서의 새로운 읽어내기 분야, 즉 디자인 읽어내기 분야를 정의하였으며, 그 분석개념으로 디자인 세련 도를 정의하고 여러 선행 연구들로부터 디자인 세련도의 구성요인을 유목화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 세련 도는 디자인적 현저 성(design salience), 디자인적 지식(design knowledge), 인지적 능력(cognitive ability)으로 구성되었다. 디자인적 현저성은 다시, 디자인적 관심과 목적성으로, 디자인적 지식은 조형요소에 대한 이해, 관련 배경 지식, 디자인 제작 능력으로, 인지적 능력은 이해력, 기억력, 시각적 예민함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전문가와 준 전문가, 일반인 집단의 응답 결과에서 도출된 디자인 세련도 구성요인들을 비교한 결과, 전문가와 준 전문가는 디자인 세련 도를, 디자인적 지식(design knowledge), 디자인적 현저 성(design salience), 인지적 능력(cognitive ability), 예술적 재능(artistic talent),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신체적 특징(variation)의 6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인 대상 응답 결과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한 결과는, 전문가와 준 전문가의 응답을 분석한 것과는 달리, 디자인 세련 도와 관련된 21개의 구성요인이 7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결과는 타당하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었다. 디자인 세련도가 낮은 그룹에 속하는 일반인들의 경우, 디자인 읽어내기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여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전문가와 준 전문가보다 예술적 재능을 중요하게 여긴다든지, 디자인적 현저성과 같이 디자인을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나 관심은 디자인 세련 도에 크게 관여하고 있지 않다고 여기는 등, 전문가 집단과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타당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일반인들의 응답을 제외한 나머지, 전문가와 준 전문가의 응답만을 채택하여 디자인 세련도 구성 원리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요인인 디자인적 지식(design knowledge)의 관련 변수는 1) 디자인 경험, 2) 디자인 지식, 3) 디자인 교육, 4) 제작능력, 5) 선행 경험이다. 두 번째 요인은 디자인적 현저 성(design salience)이며 관련 변수는 1) 유행 민감도, 2) 시각 예민도, 3) 디자인적 관심, 4) 호기심, 5) 우선순위이다. 세 번째 요인은 예술적 재능(artistic talent)이며 관련 변수는 1) 상상력, 2) 창의력, 3) 표현력이다. 네 번째 요인은 인지적 능력(cognitive ability)이며 관련 변수는 1) 분석력, 2) 관찰력, 3) 이해력, 4) 추리력이다. 다섯 번째 요인은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이며 관련 변수는 1) 인문학적 소양, 2) 일반 상식이다. 여섯 번째 요인은 신체적 특징(variation)이며 관련 변수는 1) 시력, 2) 기억력이다. 넷째, 디자인 세련 도를 구성하는 6가지 요인 중 신체적 특성을 제외한 5가지 항목의 평가 결과의 집단 별 비교 결과, 디자인 세련 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디자인적 지식, 디자인적 현저 성, 예술적 재능 항목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인지적 능력에서 전문가와 일반인, 준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전문가와 준 전문가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인지적인 능력은 시각 정보를 활용하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요인이라기보다는, 정보를 생산하고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좀 더 근본적인 소양이라는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배경지식과 관련하여 시각 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일반 상식은 전문가와 일반인, 준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전문가와 준 전문가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디자인 읽어내기로 정의된 시각 정보 활용 능력에 관한 연구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매체 연구와 시각 정보 디자인의 분석과 평가가 주를 이루었던 미디어 읽어내기와 시각적 읽어내기 분야에 새로운 연구 분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디자인 읽어내기의 분석개념으로 디자인 세련 도를 제안함으로써, 시각 언어 읽어내기 분야의 이론적인 틀을 구축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된 디자인 세련 도는 누구나 시각 정보의 생산자이며 수용자로서 시각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에 대해 구체화, 체계화할 수 있는 개념적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디자인 세련도 구성요인들에 대한 이해로, 시각 정보 읽어내기 능력에 관한 기존의 인식을 전환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디자인 세련 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상당 부분 언어를 이해하는 데에 요구되는 소양들이거나, 관련된 주변 지식, 그리고 선행경험들과 관련된 항목들이었다. 이것은 시각적인 대상물을 이해하는 것은 심미적인 특성과 상당 부분 관여되어 있을 것이라는 기존의 인식을 뒤엎는 결과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세련도의 차원을 앎으로써, 시각 정보를 다루는 전문가들과 비전문가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시각 정보 관련 전문가, 준 전문가, 일반인들에 의해 구성된 디자인 세련도의 측정요인을 통하여 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의 디자인에 대한 시각이 어떤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디자인 세련 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시각 정보를 다루는 전문가와 비전문가들이 어떠한 세부요인들에 대해 차이를 보이는 것인지 알 수 있게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B. 논문의 구성 3 Ⅱ. 디자인 읽어내기(design literacy)의 구조 5 A. 읽어내기(literacy) 개념의 진화 5 1.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에 따른 읽어내기 개념의 변화 5 2. 미디어 읽어내기(media literacy)의 연구 10 3. 시각적 읽어내기(visual literacy)의 연구 17 B. 디자인 읽어내기(design literacy)의 필요성 25 1. 디자인 읽어내기의 정의와 필요성 25 2. 디자인 읽어내기 분석개념으로서의 디자인 세련도(design sophistication) 29 Ⅲ. 디자인 세련도(design sophistication)의 개념과 차원화 30 A. 시각 정보의 구성 원리로서의 조형 원리 30 1. 시각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요소 31 2. 구성요소간의 통사적 관계 32 3. 시각 요소의 구성 원리 34 B. 시각 정보 처리 이론의 고찰 37 C. 세련도(sophistication)의 개념과 차원화 39 1. 읽어내기(literacy) 측정에 대한 선행 연구 39 2. 디자인 세련도 개념 틀로서의 정치적 세련도(political sophistication) 45 D. 디자인 세련도(design sophistication)의 구성요소 48 Ⅳ.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51 A. 연구문제 51 B. 연구 절차 및 방법 52 1. 연구 절차 52 2. 연구 방법 53 3. 설문 조사 응답자 기본 통계 56 4. 예비 조사 결과 57 Ⅴ. 연구 결과 62 A. 연구 문제 1의 연구 결과 62 B. 연구 문제 2의 연구 결과 62 1. 조사 대상별 디자인 세련도 구성요인 62 2. 디자인 세련도의 구성요인 73 C. 연구 문제 3의 결과 76 1. 디자인적 지식에 대한 결과 77 2. 디자인적 현저성에 대한 결과 84 3. 예술적 재능에 관한 결과 92 4. 인지적 능력에 관한 결과 93 5. 배경지식에 관한 결과 99 Ⅵ. 결론 및 논의 101 A. 연구결과의 요약 101 B. 이론적 함의 및 연구의 한계 106 참고문헌 109 부록1. 전문가 심층 인터뷰 127 부록2. 디자인 읽어내기(design literacy)의 개념화를 위한 설문 131 Abstract 1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151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디자인 세련도(Design Sophistication) 개념구성을 위한 경험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디자인 읽어내기 이론 구축을 위하여-
dc.title.translatedInvestigation on the Concept of Design Sophistication toward Building the Theory of Design Literacy-
dc.creator.othernameKim, Mee-
dc.format.pagexvii, 14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