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호-
dc.contributor.author허재은-
dc.creator허재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79-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Modern times, which is often called digital society, i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combination of several media due to new media and development of science. Along with this social swift, media art is forming the current of the times, based on the combin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Especially, regarding Interactive Art, interaction has become the major issue. Unlike the fine arts, Interactive media art shows various forms of art joined with science technology, and is perfec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s and the audienc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influences both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art, and therefore audience plays the role of creator who intervenes deeply inside the art, edits and rearranges the art work. This is what interaction is about: mutual understanding of audience and art work inside the media art. Therefore, interactive media art uses various interacting equipments to pull the audience deep into the structure of meaning of art works, thereby expanding the interaction.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ade various expressions possible, and the audience now can access media art more conveniently, becoming familiar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 works and the audience. Also, media art’s technology and ranges of exhibition and application of the art works are expanding, rearrang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udience, artists, and the art works. This study reflected on the making process and the consequence of Babble Babble, a piece of Interactive Installation art work, part of media art. Films that used laser grid system, such as Mission Impossible or Entrapment, interact with the audience, not with one way communication or complicated participation, but with mere movements of hands. This completes the art work as a whole piece. Direct interface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art work, working as a game which anybody can enjoy freely. This is not only a game, but also a thread that connects different generations of audience, through concept of ‘conversations’. Interesting responses of sounds and lights of each piece attracts audience, satisfying their visual and auditory senses with interacting feedbacks from the art work. This study described the details of the making process by dividing it into design part and composition of technology system part. Moreover, this study observes the installation progress and outcomes, and future directions based on it.;디지털시대라고 명명되는 현대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과학의 발전으로 상호 영향 속에서 여러 미디어가 융합하는 복합 매체적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따라 미디어 아트는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여 현대 예술의 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랙티브 아트를 중심으로 상호작용 성이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되었다. 순수 미술의 영역과는 달리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는 과학 기술과 예술이 접목된 다양한 예술의 형태를 선보이며 관람객과 의 소통으로써 작품이 완성된다. 관람객의 참여는 작품의 형식과 내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 결과 작품에 깊숙이 개입하여 작품을 편집, 재구성하는 창작자의 역할까지 하게 된다. 이것이 상호작용 성이고 미디어 아트 내에서 관람객이 작품과 소통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호작용적 미디어아트는 관람객을 작품의 의미 구조 속으로 개입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소통장치를 차용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호작용 성을 확대시켜 나간다. 발전된 디지털 기술로 인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졌고, 관람객들은 미디어아트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하면서 작품과 관람객 간 상호 작용에 보다 익숙해지게 되었다. 또한 미디어 아트는 기술을 비롯하여 작품의 전시, 활용의 영역이 다원화 되고 있으며, 관람객, 작품, 작가 간의 상호 소통관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아트의 한 분야인 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 작품 <Babble Babble>의 제작 과정 및 전시 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미션 임파서블”이나 “엔트랩먼트”와 같은 영화 속에서 보았던 레이저 그리드 시스템을 이용한 작품을 통해 관람객은 일방적이거나 복잡한 참여가 아닌 손의 움직임이라는 단순한 행위로 보다 쉽게 작품과 소통 가능하며 작품 또한 완성된다. 관람객과 작품 간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는 남녀노소 누구나 어려움 없이 즐길 수 있는 놀이로써 기능한다. 이는 모든 이가 즐길 수 있는 인터랙티브 작품인 한편, 관람객의 세대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대화’라는 컨셉 을 놀이로써 풀어낸다. 각 개체의 움직임에서 나타나는 리듬감이 느껴지는 재미있는 소리와 빛의 반응은 관람객에게 상호작용을 통한 놀이의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더불어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피드백으로 작품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작과정을 디자인과 기술적인 시스템 구성으로 나누고 그에 따른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또한 실제 전시회를 통하여 설치상황 및 전시결과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차후 발전방향에 대해 정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작품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구성 3 Ⅱ. 작품개념연구 4 A. 사례연구 4 B. 작품 의도 및 개요 7 C. 전개방향 8 Ⅲ. 작품제작 및 표현 10 A. 외관디자인 10 B. 시스템구성 13 C. 이벤트 29 Ⅳ. 작품전시 결과 31 A. 설치 및 전시 31 B. 작품의 발전방향 35 Ⅵ. 결론 37 참고문헌 38 ABSTRACT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781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인터랙티브 인스톨레이션 표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Babble Babble 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Expression of Interactive Installation : focusing on Babble Babble-
dc.creator.othernameHeo, Jae-Eun-
dc.format.pageix, 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