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영식-
dc.contributor.author정슬기-
dc.creator정슬기-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4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430-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에서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통해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가지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역사와 문화적 특징 등 도시의 모든 국면이 종합적으로 통합되어 언제 누가 보더라도 타 도시와는 다른 그 도시만의 특성을 도시정체성이라 설명할 수 있다. 도시의 정체성은 그 도시만의 차별화된 이미지 구축을 위한 창의적인 정책 및 전략개발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환경색채를 통한 도시 정체성의 확보는 그 도시만의 특성을 가장 효율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도쿄, 베를린, 암스테르담과 같은 도시는 도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여러 구성요소 중 환경색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타 도시와는 차별되는 그 도시만의 특성을 극대화시킨 사례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만의 정체성 확보를 위해 서울 색과 디자인서울거리 사업의 색채계획을 살펴보았다. 이 두 사업의 색채계획의 유기적 연관성을 통해 서울만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도시의 정체성과 환경색채에 대한 기본개념을 살펴보고, 연구의 대상인 디자인서울거리와 관련된 보행공간에 대해 정리해본다. 둘째, 색채를 통해 도시의 정체성을 살린 국내외 도시의 사례들을 통해 그 시사점을 살펴본다. 셋째, 연구의 중심 대상인 서울 색과 서울시 상위계획 및 색채관련 제도를 분석한 다음, 디자인서울거리의 현황과 색채계획에 대해 알아본다. 넷째, 앞의 이론과 분석을 토대로 디자인서울거리 세 곳을 선정, 현장의 색채를 분석하고 색을 추출하여 이를 ‘먼 셀 색 공간 분포도‘를 통해 두 사업의 색채 관계를 비교•분석하도록 한다. 다섯째, 앞서 살펴본 분석내용을 토대로 향 후 디자인서울거리의 색채계획이 서울 색과 어떻게 유기적인 통합 디자인을 가져 서울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을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 색채관련 가이드라인 및 제도의 개선 필요 ∙ 환경색채계획의 심의 및 평가 시스템의 강화 ∙ 유관기관 및 시민과의 협력 성 증대 ∙ 담당부서와 관계자 전문성을 강화 ∙ 디자인서울거리 조성계획안의 개정 ∙ 서울 색과의 통일성과 가지는 동시에 지역성 강화 서울시에서는 서울만의 정체성을 세우고 이를 확립하기 위해 서울 색과 권역 별 색채 가이드라인을 정립하였다. 또한 디자인서울거리 사업은 디자인서울의 4대 기본전략에 맞추어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서울거리의 환경색채계획이 서울 색과 그 방향을 같이 할 때, 디자인서울의 전략인 통합하는 디자인이 실현되고 서울만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In present society, it is important that a city necessitates its own identity based on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identity of a city can be defined as uniqueness and harmony due from its particular history and culture, which are certainly different than others. The unique color of a city comes only with strategic development and creative policies which are in purpose to have distinct image of the urban. Especially, an environmental color is the most easiest way to have the urban identity. Cities, such as Tokyo, Berlin, and Amsterdam, applies their identity in various ways, which an environmental color is maximized, and that makes difference from other places. This research has observed color plan of two enterprises, named “Seoul Color” and “Design Seoul Street”, in order to obtain Seoul’s uniqu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asure for Seoul’s particular identity though interrelated color plan of these two enterprises. The analysis is followed. Firstly, the study observes fundamental notions about identity, environmental color of the city, and pedestrian spaces which deals with “Design Seoul Street” in question. Secondly, with the color palette, it observes domestic and foreign cities’ examples, which gains its own identity, and sees the implications. Thirdly, after analyzing the main question about “Seoul Color” and the color strategy of Seoul, the research looks into the present “Design Seoul Street”. After choosing three “Design Seoul Stree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it analyses current color of the place, sampling the colors, and then, compares and analyses the relationship of colors of those enterprises through ‘Munsell color space distribution chart’. Finally, it suggests further color plan of “Design Seoul Street” versus “Seoul Color”, and questions how to reform Seoul’s identity, which requires, interrelated and united design. Through the observation, the research draws following improvement plan : - Need of guide line and system in relation to color improvement. - Reinforcement of review and evaluation system for environmental color plan. - An increase of cooperation with official and public - Consolidation of responsible office and experts - Revision of blueprint of “Design Seoul Street”. - An increase of local characteristic having coherent “Seoul Color” The city has started a guideline of color study and “Seoul Color” in order to set and to establish its own Seoul’s identity of Seoul. Also, “Design Seoul Street” business sets its directions on the base of four major primary strategies of designs in Seoul. If environmental color plan of “Design Seoul Street” follows the same directions with “Seoul Color”, consequently, design Seoul’s task, which has to do with coherent harmonic design, can be realized and then, obtains Seoul’s particular ident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도시의 정체성 4 B. 환경색채의 이론적 배경 6 1. 환경과 색채의 기능 6 2. 환경색채의 개념과 역할 12 3. 환경색채 조화의 중요성 13 C. 보행 공간에 관한 이론적 배경 17 1. 보행 공간의 개념 17 2. 보행 공간의 역할과 기능 19 3. 보행 공간의 특성과 구성요소 21 4. 보행 공간 조성 방향 24 D. 환경색채와 보행 공간의 관계성 26 Ⅲ. 사례 연구 27 A. 국외 27 1. 일본 도쿄 27 2. 독일 베를린 29 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31 B. 국내 33 1.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33 C. 시사점 36 Ⅳ. 서울색 및 디자인서울거리 분석 38 A. 서울색 분석 38 1. 사업의 개요 38 2. 서울색 현황 및 활용 43 3. 서울색 적용 방법 49 B. 서울시 상위계획 및 색채관련 제도 분석 54 C. 디자인서울거리 사업 분석 56 1. 추진목적 및 방향 56 2. 추진방법 58 3. 대상지 선정 및 추진과정 59 D. 디자인서울거리 환경 색채 현황 분석 60 1. 분석의 내용 및 방법 60 2. 금천구 시흥대로 62 3. 강남구 강남대로 72 4. 광진구 능동로 80 E. 디자인서울거리 환경색채 분석결과 89 1. 조성계획 및 과정 90 2. 가이드라인 및 관련 제도 91 3. 행정 절차 93 Ⅴ. 환경색채계획 개선 방안 95 A. 가이드라인 및 관련 제도의 개선 95 B. 심의 및 평가 시스템 강화 97 C. 협력성 증대 98 D. 담당부서의 전문성 강화 99 E. 조성계획안 개정 100 F. 통일성과 동시에 지역성 강화 101 Ⅵ. 결론 103 참고문헌 106 ABSTRA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252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도시의 정체성 확보를 위한 환경 색채 계획 개선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색과 디자인서울거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for the Identity of the City : Focused on Seoul Color and Design Seoul Street-
dc.creator.othernameJung, Seul-Ki-
dc.format.pagexi,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