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심청가 진계면조에 관한 연구

Title
심청가 진계면조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about Jin-gyemyeonjo of Simcheong-ga : on the basis of Jinyang rhythm in Seopyeonje, Gangsanje, Dongchoje
Authors
권하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이 논문은 심청 가 가운데 현재 왕성하게 전승되고 있는 <서편제>․<강산 제>․<동초 제> 세 유파의 진양 계면조 노래 9대목을 대상으로 삼아 사설의 특징과 음악적 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로 삼은 대목은 <서편제>•<강산 제>•<동 초 제> 심청 가 가운데 진양 장단 진 계 면 조 노래 ‘곽 씨 부인 유언’•‘주 과 포 혜’•‘배는 고파’•‘후원(後園)기도’•‘눈 어둔 백발(白髮)부친’•‘타루 비(墮淚碑)’•‘추월 만 정(秋月滿庭)’•‘심 봉사 탄식’•‘심 황후 탄식’ 등 아홉 대목이다. Ⅱ장에서는 먼저 심청 가의 전승계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심청 가는 박 유전에서 이날 치로 전승되어 한애순•장 월 중선에 이르는 <서편제>와 정 재 근으로 이어져 정권 진으로 이어진 <강 산제>가 있으며, 동 초 김연수에 의하여 새롭게 창안되어 오정 숙으로 전승된 <동 초 제>가 있다. 본고는 장 월 중선•정 권진•오정숙이 부른 <서편제>․<강 산 제>․<동 초 제> 세 유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므로 먼저 이 세 명창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서편제>•<강산 제>•<동 초 제> 유파의 사설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설분석을 통해 <서편제>•<강산 제>•<동 초 제>의 심청 가 사설이 가진 특징과 차이점, 공통점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서편제>•<강산 제> 심청 가는 박 유전 소 릿 제의 심청 가를 기초로 하고 있기에, 사설 부분은 이 두 유파의 상호 일치 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동 초 제> 심청 가는 동 초 김연수 명창이 여러 소 릿 제를 넣어서 새롭게 짠 소리이기에 사설이 많이 부연된 특징이 있으나, 공통되는 사설의 경우 상호 일치 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동 초 제> 사설은 <서편제>•<강산 제>의 내용에 더욱더 세세한 내용의 사설을 추가 시켜 분량이 확대되어 나타나고 있다. <서편제>→<강산 제>→<동 초 제>로 진행되면서 사설의 짜임에 있어서 첨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먼저 진양 진 계 면 조 아홉 대목의 선율분석을 한 다음, 유파 별 음악적 특징을 비교하여 유파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대목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모아 다음과 같은 유파 별 음악적 특징이 있음을 밝혔다. 각 유파 별 선율진행을 살펴본 결과, <서편제>와 <동 초 제>의 경우 진 계 면 조는 거의 예외 없이 순차하행진행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다음으로 순차상행진행이 보인다. 그리고 2가지 이상의 선율진행은 교차되어 출현한다. 그런데 <강 산 제>의 경우는 ① 특정 음들의 동음반복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② 순차상행진행, ③ 상•하 도약진행, ④ 2가지 이상의 선율진행이 교차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강산 제> 진 계 면 구사전략은 남자의 진중한 무게를 갖춘 성 음으로 실현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각 유파 별로 타 루 치는 방식을 비교한 결과, <서편제>의 경우 첫 음 상청에서 강하게 내질러 타 루를 심하게 치면서 농 현을 세심하게 하면서 하향 진행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강 산 제>의 경우 동편제 농 현처럼 강하고 무겁게 낸다. 미는 음으로 크게 농 현 하며, 세심하게 타 루치는 부분은 거의 없다. 슬픔을 자제하고 마음속에 간직 함으로서 오히려 더욱 깊은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는 미의식을 보여준다. <동 초 제>의 경우 <서편제>와 비슷하게 격정적인 타 루를 치면서 농 현을 세심하게 한다. 선율의 사이사이에 퇴 성과 꺾는 음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극도로 슬픈 정서를 표현해내는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장단의 부침 새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슬픈 느낌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보여준다고 비교하였다. <동초제>는 <서편제>와 같이 각 노래의 맨 끝 장단 종지 음이 ‘곽 씨 부인 유언’ 대목부터 ‘심 황후 탄식’ 대목까지 모두 g음으로 끝을 맺는다. 이 음은 계면조 본청의 미는 음으로 두 음절을 동음으로 이어 내서 슬픔을 지속시키는 효과를 준다. 각 유파 별로 노래 시작 부분 내두름의 음 구조와 마지막 종지 음의 특징으로 각 대목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편제>와 <동 초 제>가 내두름과 종지 음이 선율구성상 서로 상통하는 진 계 면 조의 슬픔을 강조하는 정서를 공유하고 있으며, <강산 제>의 경우 내두름과 종지 음이 다양하게 구사되면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절제된 슬픔을 노래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각 유파 별로 가사와 선율의 관계를 보면, <서편제>의 경우, 1음 당 1음절로 구성되고 있고, 종지부분은 뻗어주는 음절의 경우 1음절에 2-3음까지 연결되는 형태를 보인다. <강산 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뻗으며 연결되어 진행되는 선율 외에는 거의 대부분이 1음 당 1음절로 구성되어 나타나고 있다. <동 초 제> 역시 1음절에 1음에서부터 3음까지 다양하게 부쳐서 정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분석해 본다면 <동 초 제>에 와서 장단의 부침 새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는 전략을 구사하였고 사설 놓은 기교를 통하여 변화된 판소리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효과를 갖게 된다. <서편제>•<강산 제>•<동 초 제>는 세 유파 모두 출현 음이 a, b, d, g, b♭, c, f의 7개 구성 음이 나타난다. 이 음은 다시 주요4음(b♭, d, g, a)으로 축약되며 진 계 면 조 구성 음인 d, g, b♭음으로 귀착된다. <서편제>•<강 산 제>•<동 초 제> 유파에서 ‘곽 씨 부인 유언’•‘주 과 포 혜’•‘배는 고파’•‘후원(後園)기도’•‘눈 어 둔 백발(白髮)부친’•‘타 루 비(墮淚碑)’•‘추월 만 정(秋月滿庭)’•‘심 봉사 탄식’•‘심 황후 탄식’ 등 아홉 대목의 선율운용의 형태를 살펴본 결과, 모두 진 계 면 선율진행형으로 나타난다. 이로 보아 슬픈 소리를 연출하는 진 계 면의 음악어법은 모든 경우에도 예외 없이 같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서편제>•<강 산 제>•<동 초 제> 세 유파의 장단운용 형태를 서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곽 씨 부인 유언’•‘주 과 포 혜’•‘배는 고파’•‘후원(後園)기도’•‘눈 어둔 백발(白髮)부친’•‘타루 비(墮淚碑)’•‘추월 만 정(秋月滿庭)’•‘심 봉사 탄식’•‘심 황후 탄식’ 등 아홉 대목의 장단분석을 통하여 유파 별 장단운용의 형태를 살펴본 결과, <서편제>와 <강산 제>는 진양 24박이라는 틀 거리를 철저하게 지키지 않고 노랫말과 선율의 진행에 따라 ‘내고→달고→맺고→푸는’ 형식에 규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동 초 제>의 경우, 모든 진양 진 계 면 조의 대목이 ‘내고→달고→맺고→푸는’ 형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장단 운용에서 <서편제>와 <강산 제>에 비하여 <동 초 제>는 엄격한 논리와 규칙으로 선율과 사설과 장단을 24박 안에 묶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 and the musical structure of nine songs that are from the traditions of , , and . The specific numbers that the paper concentrated on are all in Jinyang rhythm Jin Gyemyeon-jo, 'Last Words of Lady Gwak,' 'Joogwapohye,' 'Still Hungry,' 'Prayer in the Back of the Court,' 'Blind Old Father,' The Tablet of Tears,' 'The Autumn Moon Filling the Court,' 'Lament of Blind Sim,' and 'Lament of Queen Sim, comprising total of nine numbers. The second part reviews the narrative tradition of Simcheongga. Simcheongga's differing traditions are largely devided into ,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Park Yu-jeon, Lee Nal-chi to Han Ae-sun and Jangwoljungseon, , that comes from Jeong Jae-geun to Jung Gwon-jin, and , a newly created tradition by Dongcho Kim Yeon-soo and followed by his protege, Oh Jeong-sook. This paper concentrated on the three progenitors of each traditions, as it intends to direct its effort on the three traditions, , and . The third part compares and contrasts the verbal narrative of , , and . In analyzing the characterisitcs of , , and , the differences and the similarities of the three traditions are revealed. Narrative style of Simcheongjeon of both and are based on Park Yu-cheon's Simcheongga, and therefore a lot of text are identical. has a lot of addition in that narrative text, as Dongcho Kim Yeon-soo has incorporated many different versions of Simcheong-jeon. adds more details to the text of and , thus resulting in lengthier text. , , and each has case of more detailed text being added. The fourth part analyzes the nine numbers previously mentioned, and concentrated on the differences of the style in the musical aspects.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 and shows predominantly the style of downward melodic sequence, and then appears upward melodic sequence, and more than two melodic system crosses each other later. However, shows 1. (predominantly) repeated usage of certain notes, and 2. upwardmelodic sequences, 3. upward - downward jumps, and then 4. more than two melodies crossing. Therefore, 's strategy in Jingyemyeon style is using low male voices. The technical style of the different traditions are also analyzed, to show that puts straight vocal strength in the first highest note, and then going downward with sensitive vibration. is strong and heavy in its technique, like Dongpyenje's tradition. Vibration is strong, and techniques are almost never delicate. It is a technical style to express deepest sorrow without expressing sorrow with vocal technique. also sports passionate vocal technique with delicate vibration, and various versions of slides are unsparingly used to express extreme sorrow. However, it is unique in its technical variety to express sorrow. , along with , the note at the very end of each numbers from 'Last Words of Lady Gwak' to 'Lament of Queen Sim' are all G. In fact, two measures are held in that note to prolong the sense of melancholy.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parts of the numvers in each tradtions are analyzed to conclude the following: and have a structure that connect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each number in expression a sense of sorrow, while uses variations in beginnings and the ends in each numbers, a method different from the other traditions in expressing similar sentiments. In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traditions, has one note for each phoneme, and only at the end uses two-three notes for a phoneme. is similar, as it retains one note-one phoneme structure, with only small exceptions. also primarily sports that structure, although at some point three notes are bound in one phoneme. It can be understood that Dongchoje used strategy to provide more variance in rhythms, and using various techiniques, has earned the reputation of changed P'ansori. , , and all uses seven notes, a, b, d, g, b♭, c, f. Of the seven, primarily used are four, b♭, d, g, a, and in this particular rhythm set in Jingyemyunjo, d, g, b♭. , , and 's 'Last Words of Lady Gwak,' 'Joogwapohye,' 'Still Hungry,' 'Prayer in the Back of the Court,' 'Blind Old Father,' The Tablet of Tears,' 'The Autumn Moon Filling the Court,' 'Lament of Blind Sim,' and 'Lament of Queen Sim are analysed to all have Jingyemyun melodic structire. This shows that Jingyemyun's musical grammar is predominantly used to express sorrow. In comparing musical structure of , and , a conclusion was drawon. 'Last Words of Lady Gwak,' 'Joogwapohye,' 'Still Hungry,' 'Prayer in the Back of the Court,' 'Blind Old Father,' The Tablet of Tears,' 'The Autumn Moon Filling the Court,' 'Lament of Blind Sim,' and 'Lament of Queen Sim' were analyzed to find out that and did not adhere to existing rule of twenty-four beat structure of Jinyangjo, but rather followed the lyrical and melodic structure, that is also free from the traditional 'Begin - Emphasize - Tie - Untie' structure. However, sported in all numbers with Jinyang Jingyemyunjo with 'Begin - Emphasize - Tie - Untie' structure. This shows that in rhythmic structure, , compared to and , followed strict rules and laws to bind the narratives and the music in twenty four bea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