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덕우-
dc.contributor.author문지원-
dc.creator문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2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299-
dc.description.abstract1899년에 작곡되고 1903년에 출판된 아르놀트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 1874-1951)의 <네 개의 가곡 Op. 2>는 그의 초기작으로서, 시기적으로 브람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조성음악 시기와 무 조성의 표현주의 시기 사이에 작곡된 성악 작품이다. Op. 2에 속한 네 곡 가운데 첫 세 곡은 당대에 영향력 있던 독일 시인 리햐르트 데멜(Richard Dehmel, 1863-1920)의 시집 『여인과 세계』(Weib und Welt, 1896)에서 시를 가져와 썼으며, 마지막 곡은 요하네스 슐라프(Johannes Schlaf, 1862-1941)의 시를 가사로 하여 작곡되었다. 제 1곡인 “기대”(Erwartung)는 시인 데멜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나타난 곡으로서 시인이 표현하고자 했던 시각적인 색채 효과가 쇤베르크에 의해 ‘색채 화음’(color chord)으로 전환되었다. 이 화음은 기존의 3화음 체계로는 명확한 분석이 어려운 모호한 화음이며, 하나의 모티브와 같이 곡 전체를 통해 수직적으로 혹은 수평적으로 변형 반복된다. 또한 강한 종지 감을 발생시키는 도미넌트 화음은 곡 중간에서 계속 회피되다가 피아노 후주에 접어들 때 단 한 번 등장하는데 이러한 화성 사용은 곡에 긴장감을 지속시킨다. 이 곡의 성악 선율은 보다 유연한 형태를 가지며 동시에 피아노의 미묘한 화성들과 함께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다. 제 2곡 “당신의 금 빗을 내게 주오”(Schenk mir deinen goldenen Kamm)는 모티브 중심적인 주제의 변주와 함께 반음계적 화성이 뚜렷하게 사용된 곡이다. 이 곡의 주제를 구성하는 두 개의 모티브는 다양한 변형으로 발전해 나가는 동시에 동형진행을 통해 구조적인 짜임새를 꾀하기도 한다. 이와 함께 변화 음이 많아 모호해 보이는 화음들이 반음계적 진행으로 매끄럽게 연결되기도 하고, 특정 음정관계를 통한 화음의 근 음 진행으로 화음 간에 결속력을 다지기도 한다. 또한 화음의 근 음 진행을 통해 Ⅴ-Ⅰ의 종지, 혹은 Ⅰ-Ⅱ-Ⅴ-Ⅰ의 종지 감이 부여되는데, 그러나 이때 토닉으로의 직접적인 해결보다는 종지 형이 길게 연장되거나 다른 화음들의 개입으로 인하여 직접적인 해결이 회피된다. 제 3곡 “승화”(Erhebung)는 성악파트가 여러 성부 가운데 하나의 성부를 담당하는 다 성부 적 짜임새를 갖는 곡이다. 이에 피아노는 단순히 성악을 밑 받 침하는 반주로서의 역할보다는 성악과 동등한 지위에서 모두 4성부로 이루어진 텍스츄어를 연주한다. 이 곡 또한 제 2곡과 마찬가지로 모티브 중심적인 발전 형태를 보여주는데, 한층 더 섬세해진 모티브의 변형을 통해 주제는 더욱 다양하게 변주될 수 있었다. 이 곡에서도 도미넌트를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토닉을 향한 진행은 도미넌트가 아닌 다른 모호한 화음들을 통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프레이즈의 연장, 확대의 수단으로 반음계적 진행이 중요하게 사용되고, 특히 베이스의 반음계적 진행은 그 위의 모호한 화음들을 긴밀하게 연결시켜 준다. 제 4곡인 “숲 속의 태양”(Waldsonne)은 출판 직전 Op. 2의 마지막 곡으로 예정되어 있던 다른 곡을 대신하여 삽입되었기 때문에, 앞 세 곡과 시 내용상의 연계성에도 불구하고 그 음악적인 측면은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이 곡은 선율이 아름답기는 하지만, 쇤베르크에게는 다소 진부해 보이는 낭만주의적 조성음악에 집중하고 있다. Op. 2는 비록 조성음악과 무 조 성의 표현주의 음악 사이에 놓여있지만 과도기적이라기보다는 화성에 대한 개념들이 변화해 가는 모습을 확실하게 드러내며, 기존과는 다른 보다 발전적이고 새로운 요소들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전통에서 혁신을 향한 첫 발을 내딛는 시기의 작품 Op. 2는 쇤베르크 초기 가곡들의 중요도와 그 가치를 새롭게 재조명 해 준다.;Arnold Schoenberg's lied Op. 2, composed in 1899 and published in 1903, is considered as his early songs. This work of voice is completed between the periods of tonality music, when he was heavily influenced by Brahms, and of Expressionism of atonality. Among four songs in Op. 2, for the first three songs, Schoenberg used verses from the comtemporary and influential Richard Dehmel's Weib und Welt, and for the last one he used Johanees Schlaf's poems. It is easy to find Dehmel's direct influence on the first song, Erwartung. In the first song, the poet's effects of visual colors are transformed into color chord by the composer. This chord is an ambiguous chord, for it is hard to analyze this chord clearly within the standard of triad system. Also, this chord serves as a motive which transforms, modifies and repeat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roughout the song. Furthermore, the dominant chord, which brings strong cadence, is avoided in the middle of the song, but appears only once in piano postlude. This kind of chord usage retains tension in the song. The voice melody of this song has more flexible form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ubtle harmony of the piano. In the second song, Schenk mir deinen goldenen Kamm, it is clearly visible to see this song is composed by using motive-oriented variations as well as chromatic harmony. The two motives, which form the theme of the song, vary and develop greatly, and at the some time, through sequence, they seek for structural organization. Also, ambiguous chords due to accidentals are smoothly connected by chromatic scales, and especially cohesion of chords are strengthened by certain interval relationship through root progression of chords. This root progression creates V - I cadence, or I - II - V - I cadence; however, due to extension of cadence or interruption of other chords, the direct resolution through tonic is avoided. The third song, Erhebung, has a polyphonic texture, where voice part takes a line among different lines. Thus in this song the piano is not just playing a role of accompaniment, but it plays equivalently with the voices in the texture of four voices. Similar to the second song, this song also develops motive-oriented, but with more sensitive variations of motives, the theme develops much more variations. Avoidance of dominent can be observed strongly in this song also, and developing to tonic is mostly solved through ambiguous chords. Also, the extension of phrase and chromatic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expansion are used importantly, and especially chromatic developing of bass connects every ambiguous chords above. The fourth song, Waldsonne, is a last minute change in music before publishing Op. 2. Thus, it might shows contextual connection with the first three songs through poetry, but is shows great difference in music. This song has a beautiful melody, but Schoenberg focuses on Romantic tonal music which seems stale. Although Op. 2 is composed somewhat between the tonality music and the Expressionism of atonality, it does not sound transitional. It shows clearly that notions of harmony are changing and through these songs Schoenberg himself tries to find new and different elements in music. Thus, Op. 2, the piece of work which was the first step toward innovation from tradition, brings out the importance of early songs by Shoenberg as well as reinterprets the value of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쇤베르크의 초기 성악곡 3 (1) 쇤베르크 초기 생애 및 전반적인 작품 경향 3 (2) 초기 성악곡 9 III. 쇤베르크의 초기 가곡 Op.2작품분석 13 (1) Op. 2 No. 1 기대 (Erwartung) 16 (2) Op. 2 No. 2 당신의 금 빗을 내게 주오” (Schenk mir deinen goldenen Kamm) 33 (3) Op. 2 No. 3 승화 (Erhebung) 47 (4) Op. 2 No. 4 숲속의 태양”(Waldsonne) 57 IV. 결론 74 참고문헌 78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62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르놀트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의 <네 개의 가곡> (Vier Lieder, Op. 2) 재조명을 위한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성체계 위에 사용된 새로운 음악요소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alytical Research for the Reinterpretation on Arnold Schoenberg's Vier Lieder, Op. 2 : Emphasis on new musical elements used upon tonality-
dc.creator.othernameMoon, Ji-Won-
dc.format.pagev,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