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1960~1970년대 소설의 ‘고향’ 이미지 연구

Title
1960~1970년대 소설의 ‘고향’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ometown Images in the works of 1960s and 1970s' Novels
Authors
박찬효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현숙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ometown images appeared in the Korean literature from 1960s~1970s, and to investigate in which way our hometown continues to change in terms of its meaning. The desire of characters is shown in the works and even the desire of writers who created those characters is able to be figured out by way of eyeing the images of "hometown" shown in the works. In addition, the images of "hometown" described in the novels in the 1960s to 70s are analyzed and clarified within the framework of correlation between war experience and industrialization. It is revealed that both terms of 'care' and 'motherhood' which come to our mind when we think about our hometown were magnified or got more deeply involved since the 1970s. Section II depicts the hometown images based on war experience-related novels written by Kim Seung-Ok, Kim Won-IL, Lee Cheong-Jun, and some works by Lee Ho-Cheol and Choi In-Hun. It is examined that a hometown is an object of our desire but, it is also an unachievable ‘illusion’ which we can see by focusing on the trends of growing number of people leaving hometown due to the trauma of war. From the Korean War, boys were shocked with the trauma of war. And they suffered from the flashback, in other words, repeated past representation due to the trauma. During the period, leaving a hometown was not being expelled from their hometown but, a free will of those who wanted to leave their hometown. The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 is a major cause to drive them to leave their hometown but, at the same time the poverty and the premodern way of thinking is a potential factor as well. So the city can be regarded as the 2nd hometown because even though it is not considered as a resting place but, people cannot return to their hometown to stay there. The nature and physical strength inherent in our hometown is a substitute for our hometown. More importantly, in most cases, people make an illusion of making people recognize hometown as a substitute, and they know that it is just an imagination. So, a hometown regeneration lasts temporarily but, an illusion does not conceal a true story of a hometown but, instead reveal it. In addition, as people did not consider themselves as an insider of a hometown, it was difficult to feel a bond of sympathy between those who came from the same place. However, although those who left their places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 ‘hit song’ that they'd heard in their childhood did not indicate a hometown, the concept of "we am from the same town" is cracking in itself but, people tend to follow it. It's because it is the one and only object from which characters are finding their own identity. What we can learn from these hometown images is that those who left their hometown are thinking that they don't have their hometown. As they think that their hometown does not exist, the hometown image is bound to be fragmented as a substitute. Those who left their hometown take a walk or tour around cities but, they are difficult to start over their new life. They find some signs to remind them of hometown images throughout the entire cities. And they do not recognize the loss of their hometown even if it is just an illusion. The ambivalent feelings of affection and hate to hometown is a driving force to make them leave or return to hometown repeatedly. Of course, it results in an escape or a death(i,e. suicide). In work-groups shown in Section II, the characters are ostensibly rejecting their hometown, but actually they are eagerly looking forward to be the same as their hometown. It should be noted that such routine, repeated process of returning home reached the culmination in the mid-to-late 1970s. The event of returning home occurred when hometowns, which was like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was recognized by people. The motherhood was not present in the works or was not described as a caring image. Then-mother showed an image of 'scary mother' who had threatened and controlled their son in his life, and the male himself showed an extreme rejection against their mother, even such as an act of killing his mother. The picture of a mother who lacks the sweet and generous motherhood paradoxically creates the effects of displaying hometown destruction and the death of his father as it is. As shown in the repeated and tortious homecoming and leaving due to the lack of hometown, the desperate desire of a mother is inevitable because they know the lack of motherhood. But, by accepting and loving the deficiency in the mid-to-late 1970s, they recognize them as an insider of their hometown. Such a transformation i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a mother. And male-characters are going forward to acquire their identity within their hometown. Section III describes the hometown images based on industrialization-associated novels of Lee Mun-Gu and Mun Sun-Tae, some works of Jeon Sang-Guk, O Seong-Chan, Hwang Seok-Young, and Choi Il-Nam. With the industrialization intensified and spread in the 1970s, cities are, unlike the work groups in Section II, confronted with hometown and represented as a place of disgust. When the hometown was urbanized, the characters inside the works think that they lost their final settlement. It is the very ‘local patriotism’ that is used to criticize an urbanization/industrialization and reveal the presence of hometown in opposition to the city. Over the 1970s, the past hometown images had begun to be romantic strategically. It's because as the hometown, a place of pain, transformed into the image of a resting place, leaving home appeared to switch into returning home as a whole. Thus, since 1970, Mother Nature of our hometown in the past replaces the harmony of the generous hearts of people, which is expressed in association with natural development or damaged image of human living space. The nature formed in terms of concept appears as a typical background of literary essays, and described as having primitive power to lead everything into ‘reconciliation.’ And the past is drawn as an integrated time rather than time cut off from the present. And through the way of evoking memories by using the elements of senses, hometown is structured as ‘nostalgia.’ It is a 'community order' that we've found from such a ‘past.’ But the romance of hometown is not embodying the actual hometown but, strategically structured product. It contains an intention to invoke the past as a nostalgia, criticize the obsolete hometown in the present, and build the current hometown based on ‘community.’ These aspects are noteworthy in terms that it results from an effort to explore an exit in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So noble hometown built in the above, can be said to have the sense of place such as every direction(everywhere) who Heidegger favored. The identity of a place based on the hometown is formed in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the divine, and perishable human beings. Awe of nature and human identity are closely related and it indicates that a place and an individual have become oneness. But as the present hometown is a place which is difficult for nature and human beings to become oneness, it has lost the function as a resting place. Within such a new frame, regardless of fact that the current hometown is nowhere, it is possible to emphasize the roots of ancestors and to acquire identities. It is a basis for the appearance of heroic figures who are responsible for negative modernity by preventing the hometown from being nowhere. These people who are like guard for their hometown, did not chang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embodies the lack of modernity in the ruins of cities. And they are dealing with the current issues by using the power of community. But the problem is that noble hometown and heroic subjects are formed on the sacrifice of women. A mother devotes herself quietly, and does not want to get any price, and described as an entity of having the mercy of the earth, and her sacrifice is emphasized. Males are able to obtain their identities from such motherhood. Hometown is like mother, and the sickened hometown is like a spoiled motherhood. That's why the works consist of a narrative in order to cure ‘ruined woman’ into ‘innocent mother.' The ‘corruption of something pure and innocent and the loss of hometown’ is firmly transformed into ‘recovery of something fallen and reconstruction of hometown.' In this mechanism, a ‘motherhood’ is bound to be "becoming others" continuously. In the urgent challenges like reconstruction of hometown, males are also described as if they are sacrificing but, females are shown to have endured more repressive sacrifices. In the novels from 1960~70s, a ‘hometown’ is significant in acting as a place of searching for ways of overcoming the realities in connection to the experience of war and industrialization. In addition, In the late 1970s, the sensitivity to ‘nature’ and ‘motherhood’ is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that it leads to the ecological novels in association with environmental concerns.;본고의 연구 목적은 1960~1970년대 한국문학에 나타난 고향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고향이 어떠한 방식으로 의미화 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작품에 나타난 ‘고향’의 이미지를 응시함으로써 주체들의 욕망, 더 나아가 그러한 주체들을 구성한 작가들의 욕망까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1960~1970년대 소설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를 전쟁체험과 산업화라는 두 개의 영향 관계 안에서 구분하여 분석하고 그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전쟁체험과 관련이 있는 김승옥, 김원일, 이 청 준 소설과 이호철, 최인훈의 일부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고향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전쟁의 트라우마로 인한 이향자의 탈 향 추구 양상에 주목하면서 고향이 욕망의 대상이지만 결코 성취될 수 없는 ‘환영(幻影)’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6.25의 폭력적인 체험을 통해 소년들은 전쟁의 트라우마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정신적 외상으로 인한 플래쉬 백(flashback)이라는 ‘과거의 재생’ 현상을 경험한다. 이 시기 출향은 단순히 고향에서 밀려난 것이 아니라 탈 향의 욕망을 가진 인물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한 것이다. 전쟁과 분단은 탈 향을 추 동하는 중요한 원인이었으나 가난, 전근대성 등의 내부적 원인 역시 탈 향을 이끌어낸 잠재적 요인이다. 도시를 안식처로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향에 정주할 수 없음을 알기 때문에 도시는 제2의 고향이 된다. 이 장에서 고향이 지닌 힘이라 생각되는 자연 등은 재생 력 이 없는 고향을 대신하여 고향처럼 존재하는 대상들이다. 즉 고향과 동일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향의 대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대부분의 경우 인물들은 고향의 대체물을 ‘고향’이라 인식하는 환상을 주조하면서 그것이 단지 상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향의 재생 력 은 일시적으로만 지속되며 환상은 오히려 고향의 진실을 은폐하지 않고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신을 고향의 내부 인으로 위치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동향(同鄕)이라는 감수성도 생겨나기 어려웠다. 그러나 이향 주체는 어린 시절에 불렀던 ‘유행가’가 고향을 지시하지 못하며, ‘동향’ 등의 개념이 가진 균열된 지점을 인식함에도 그것을 추종하는 이중성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그것이 주인공들의 정체성을 담지 해 주는 유일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이향자 들이 스스로 고향을 ‘부재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향을 ‘없다’고 여기기 때문에 고향 이미지는 대체물을 통한 파편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밖에 없다. 이향자는 산책과 구경을 통해 도시를 탐색하지만 새로운 삶을 도모하기 어렵다. 그래서 고향을 구축(驅逐) 했음에도 무의식적으로 도시 곳곳에서 고향을 연상시키는 흔적들을 발견한다. 또한 이 향자 들은 고향이 환영에 불과함을 알고 있으나 결코 고향의 상실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보인다. 고향에 대한 애정과 혐오라는 양가적 감정은 탈 향과 귀향을 반복적으로 순환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고향과 비 동일화를 견지하고 고향의 실체에 직면하지 않아야 죽음을 피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고통스런 고향 가기의 반복 과정을 통해 1970년대 중 후반 정도에 이르면 김원일, 이 청 준 의 작품에서 고향을 이해하고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양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시기 어머니는 작품에 잘 등장하지 않거나 묘사되더라도 보살핌의 이미지로 구현되지 못한다. 어머니는 아들의 삶을 위협하고 통 어 하는 ‘무서운 어머니’의 존재성을 가지며 남성자아는 이러한 어머니를 죽이려는 극단적인 거부의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따뜻한 모성이 결핍된 어머니의 모습은 역설적으로 고향의 파괴, 아버지의 죽음을 그대로 드러내는 효과를 창출한다. 고향이 없기 때문에 고통스럽게 탈 향이 전제된 귀향을 반복하듯이 모성이 결핍되었다고 여기기 때문에 간절하게 보살핌의 어머니를 희구한다. 그러나 1970년대 중 후반에 이르러 결핍된 공간까지 사랑함으로써 자신을 고향의 내부 인으로 인식하는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변모는 어머니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남성주체는 고향 안에서 정체성을 획득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Ⅲ장에서는 산업화와 관련된 이문구, 문순태의 소설과 전상국, 오성찬, 황석영, 최일남의 일부 작품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고향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1970년대 산업화가 심화 확산되면서 도시는 Ⅱ장의 작가 군과는 다르게 고향과 대립화되며 혐오스러운 장소로 형상화된다. 도시화가 고향에까지 확산되었을 때 작품 속 인물들은 최후의 정주 지를 잃어버렸다는 생각을 한다. 도시화․산업화를 비판하고 도시와 대립된 고향의 존재성을 드러내기 위해 강조되는 것이 바로 ‘향토’이다. 1970년대를 넘어서면서 과거의 고향 이미지가 전략적으로 낭만화 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고통의 장소였던 과거 고향이 도시와 대립된 안식처의 이미지로 변모하면서 탈 향이 귀향의 서사로 전환되는 양상이 전반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1970년대 이후 과거 고향의 대자연은 인심(人心)의 조화로움을 대변하는 것으로 형상화 된다. 인심의 문제를 자연의 개발 혹은 인간이 거주하는 공간이 훼손된 이미지와 결부시켜 표현하고 있다. 관념에 의해 구성된 자연은 미문(美文)의 정형적 풍경으로 나타나며, 모든 것을 ‘화해’로 이끄는 원시적 힘을 지닌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과거를 현재와 단절된 시간이 아닌 통합된 시간으로 이끌어내고 있다. 그리고 감각의 요소를 활용하여 기억을 불러내는 방식을 통해 ‘노스탤지어’의 고향이 구성된다. 이러한 ‘과거’ 속에서 찾아낸 가치는 공동체적 질서이다. 그런데 낭만적인 고향은 실제의 고향을 형상화한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구조화된 산물이다. 노스탤지어 로 과거를 불러냄으로써 퇴락한 현재의 고향을 비판하고 ‘공동체 성’을 바탕으로 현재의 고향을 재건하려는 의도가 있다. 이렇게 구축된 숭고한 고향은 하이데거가 지향한 ‘사방(四方)’ 공간과 같은 장소 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고향을 기반으로 한 장소의 정체성은 자연, 신적인 것, 죽을 자로서의 인간이 상호 관계를 맺으면서 형성된다. 자연에 대한 외경심과 인간의 정체성이 긴밀한 관계를 가지며 장소와 개인이 하나가 되는 경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현재의 고향은 자연과 인간이 합일을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안식처의 기능이 상실된 장소가 된다. 이러한 새로운 장(場) 안에서 현재의 고향이 무장소화(無場所化) 된 것에 상관없이 고향의 뿌리를 강조하고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향의 무장소화를 막고 부정적 근대성을 비판할 책임을 지닌 영웅 형 인물들이 등장할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는 것이다. 고향을 지키는 파수꾼의 존재성을 지닌 이들은 근대화의 흐름 속에서 변하지 않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도시의 폐허 속에서 현대성의 궁핍을 구체화한다. 그리고 공동체적 힘으로 현실 문제에 대응한다. 그러나 문제적인 점은 숭고한 고향과 영웅적 주체는 여성의 희생을 바탕으로 형성된다는 사실이다. 어머니는 말없이 헌신하고 어떤 대가를 바라지 않는 땅의 자비를 지닌 존재로 그려지며 희생 성이 강조된다. 남성은 이러한 모성적 어머니를 통해 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고향은 곧 어머니이고, 병든 고향은 변질된 모성으로 상징된다. 그래서 작품에서는 ‘타락한 어머니’를 ‘순결한 어머니’ 로 치유하기 위한 서사가 구성된다. ‘순결한 것의 타락과 고향의 상실’이 ‘타락한 것의 회복과 고향의 재건’ 으로 전환되는 서사를 견고하게 구조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메커니즘 안에서 ‘모성’은 끊임없이 타자화 될 수밖에 없다. 고향의 재건이라는 당면 과제 속에서 남성 역시 희생적으로 그려지고 있으나 그 속에서 여성은 더 억압적인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1960~1970년대 소설에서 ‘고향’은 전쟁 체험과 산업화의 현실 속에서 다르게 의미화 되고 있다. 이 시기 ‘고향’은 인간이 소망하는 근원적인 공간이자, 전쟁의 상흔을 치유할 수 있는 힘이 내재된 상상력의 장소이며, 인간 소외 현상 등을 발생시키는 도시화 등을 비판하고 해결을 모색하는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냈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