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0 Download: 0

한국어 정표화행 연구

Title
한국어 정표화행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xpressive in Korean Language : Type Classification and Performative Form in Expressive
Authors
이혜용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suggest Expressive category, which is seen complexly by classifying a type of Expressive, and was to consider felicity condition and linguistically performative form in order to be successfully per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act in sub types. Thus, the aim was to grasp the position that the individually speech types possess within the whole system of Expressive, and commonality and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As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for classifying Expressive, Chapter Ⅱ arranged a concept of Expressive. It established Expressive category by trying to distinguishing from Assertives and EVALUATIVE, which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to Expressive, pointed out what is uncertain in Searle(1969)'s definition of Expressive, which is being generally popular, and defined Expressive specifically. Especially unlike what a speaker-oriented research was performed in the traditional Speech act theory, this study applied the basic position as saying that speech type needs to be classified by considering a hearer to the classification of category in speech type and to the definition of Expressive. Also, the conceptualization of Expressive needs to be judged on the basis of the aspect of realization that is shown in real conversation, thereby having surveyed the archetypal performative form in Expressive together. Chapter Ⅲ established the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Expressive, and completed and suggested Expressive in Korean language. Phrase A critically examined the standard of Norrick(1978) and Searle & Vanderveken(1985), Marten-Cleef(1992), who classified Expressive type, from the discussion of Searle(1976), who suggested the standard for speech-type classification. Phrase B modified and supplemented problems that were indicated in a prior research, and then proposed the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Expressive, which considered the communication-based characteristics. As for the standard for the primary classification of Expressive, it suggested 'position within move sequence', which had not been considered conventionally. According to this standard, the Expressive was classified into ‘initiative Expressive’ and ‘reactive Expressive'. And, as the standard for secondary classification, ‘communication purpose’ was suggested. Communication purpose implies what is expected from a hearer by which a speaker utters. According to this standard, Expressive was divided into [+sympathy] and [-sympathy]. And then, [+sympathy] was divided into ‘both-party empathy formation’ and ‘hearer's sympathy.’ [-Sympathy] was divided into ‘hearer's hostility.’ And, according again to speaker's recognition on situation, it was divided into 'positive emotion on situation' and 'negative emotion on situation'. In addition, it classified Expressive in totally 25 pieces by giving semantically․situationally specific conditions to every individual speech type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speaker's emotion on situation', ‘role of participants in situation', and ‘content and tense in situation'. Chapter Ⅳ and Chapter Ⅴ divided into initiative Expressive and reactive Expressive, applied the standard for classification that was established in Chapter Ⅲ, and then described speech act characteristics in individual speech types. And, it grasped the specifically semantic․situational conditions in order to be performed the individual speech type, by suggesting felicity condition so that each speech type can be performed successfully within communication. It could examine commonality and difference in sub types of Expressive at a glance. Also, it systematically examined by dividing the performative form of individual speech types into the Archetypal performative form in Expressive that was proposed by Marten-Cleef(1991), based on the materials on Korean-language conversation. As Chapter Ⅵ is the conclusion, it summarized the above discussions, and mentioned 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on the research tasks that fail to be addressed in this study.;본고는 정표화행의 유형을 분류하여 복잡하게 보이는 정표화행 범주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개별 유형들의 행위적 특징과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한 적정 조건, 그리고 언어적 수행 형식을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리하여 개별 화행 유형들이 정표화행 전체 체계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서로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정표화행의 분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Ⅱ장에서 정표화행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정표화행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단언화행, 평가화행 범주와 구분해 봄으로써 정표화행 범주를 정립하였고,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Searle(1969)의 정표화행 정의에서 불명확한 점을 지적하고 구체적으로 정표화행의 정의를 내려보았다. 특히 전통적인 화행 론 에서 화자 중심적 연구가 행해진 것과는 달리 본고에서는 청자를 고려하여 화행을 분류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화행의 범주 구분 및 정표화행의 정의에 적용하였다. 또한 정표화행의 개념화는 실제 대화에서 나타나는 실현 양상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하므로 정표화행의 원형적 수행 형식을 함께 개관하였다. Ⅲ장에서는 정표화행 분류를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한국어 정표화행의 유형 목록을 완성하여 제시하였다. A절에서는 화행 분류의 기준을 제시한 Searle(1976)의 논의부터 정표화행의 유형을 분류한 Norrick(1978)과 Searle & Vanderveken(1985), Marten-Cleef(1992)의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B절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하여 의사소통적 특성을 고려한 정표화행의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정표화행의 1차적 분류 기준으로 기존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대화이동 연속체 내에서의 위치’를 제시하였고, 이 기준에 의해 정표화행을 ‘시작 정표화행’과 ‘반응 정표화행’ 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2차 분류 기준으로 ‘의사소통 목적’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 목적이란 화자가 발화를 함으로써 청자에게 기대하는 바를 뜻하는 것으로, 이 기준에 의하여 정표화행은 [+공감유발]과 [-공감유발]로 구분한 후, [+공감유발]은 ‘양자 공감형성 형’과 ‘청자 공감유발 형’ 으로 구분하고, [-공감유발]은 ‘청자 반감유발 형’ 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다시 사태에 대한 화자의 인식에 따라 ‘사태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사태에 대한 부정적 감정’ 으로 구분하였고, 그 외에 ‘사태에 대한 화자의 감정’, ‘사태에 대한 참여자들이 역할’, ‘사태의 내용과 시제’ 등의 기준에 따라 개별 화행마다 의미․상황적인 구체적 조건들을 부여함으로써 총 25개의 정표화행을 구분하였다. Ⅳ장과 Ⅴ장에서는 시작 정표화행, 반응 정표화행으로 장을 나누고, Ⅲ장에서 설정한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개별 화행 유형들의 행위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화행이 의사소통 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한 적정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개별 화행이 수행되기 위한 구체적인 의미․상황적 조건을 파악해 보았다. 이로써 정표화행 하위 유형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일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Marten-Cleef(1991)가 제시한 정표화행의 원형적 수행 형식의 틀을 토대로 한국어 대화 자료에 나온 개별 정표화행 유형들의 수행 형식을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Ⅵ장은 결론으로서 이상의 논의들을 요약하고 이 논문의 의의 및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연구 과제들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