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근대 한국의 紀行寫生畵 연구

Title
근대 한국의 紀行寫生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odern Korean Travel Sketches : Based on Serial Illustrations of 'Dong-A Ilbo' in 1930s
Authors
박희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series of sketch-like newspaper illustrations which appear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acceptance of modern realistic landscape paintings. In this study the use of term Travel Sketch is limited to modern realistic landscape paintings and sketch-styled illustrations describing everyday scenes. Modern realistic landscapes were drawn actively with foundation of Joseon Art Exhibition in 1922. Deviating out of the past abstract landscape style, Modern realistic landscapes started to change into a kind of ink and wash painting, a sketching-landscape which represented ordinary and practical scenes, highlighting visual facts. Studies on improvement of modern ink and wash painting have been done steadily by Professor Hong, Seonpyo. The backgrounds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Travel Sketch were as follows : trend of travel and sightseeing and improv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means, especially train. As for art historical background, Joseon Art Exhibition in 1922 and landscape paintings introduced from Japa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Travel Sketch. The criterior and judges of Joseon Art Exhibition, style and topic of submitted works showed a close relation to Travel Sketch. Especially it is obvious that the Greater East Asia Policy of Japan had a lot to do with works of Joseon Art Exhibition, modern realistic landscapes, and modern 'Travel Sketc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sketch describing practical view had modern Travel Sketch drawn more actively. Typical examples of modern Travel Sketches are serial illustrations on the literary page of Dong-A Ilbo in 1930s. At that time Chosun Ilbo mainly carried articles inspiring historical ideology and racial consciousness. Contrastively, Dong-A Ilbo tended to deal with cultural articles such as travel essay, introduction of tourist attractions, and Travel Sketches analyzed in this study. Many artists including Lee, Sangbum, Hong, Duksoon, Lee, Insung, Song, Byeongdon, Lee, Madong traveled each place and wrote a series of illustrations with short impressions for Dong-A Ilbo. Most artists who wrote serials were Western-style ones and these artists contributed much to establishment of modern Korean landscape painting. Among them, in spite of that Lee, Sangbum was a Oriental painter, he serialized not a few Travel Sketch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odern Travel Sketches are analyzed, being focused on Lee, Sangbum who harmonized traditional Eastern drawing technique with Western one. Travel Sketches Lee, Sangbum published serially in Dong-A Ilbo had close relationships in terms of material, style, and composition with the works he submitted to Joseon Art Exhibition and illustrations of serial novel. Lee, Sangbum's sketches and illustr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modern realistic landscape. Modern Korean Travel Sketches have a close tie with Japanese Travel Sketch. In modern Japan, as the concept of Western-styled landscape was established, sketching culture which various views of ordinary lives were described realistically was in fashion. Many Japanese artists traveled a lot of parts of Korea and Japan and made actively travel sketchbooks of pictures and short travel essays. Material, style, and composition of these Japanese sketchbooks were similar to those of modern Korean travel sket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vel sketches needs to be examined more specifically in the future. Categorization of modern Korean Travel Sketches which was in fashion in 1930s revealed that sketching from nature came to take root as one of the modern cultures and aesthetic attitude of traveler and settler flown into Korea from Japan was reflected in Travel Sketches. Serial sketch-like illustration appeared actively in newspapers along with travel culture and travel sketch of Japan. Above all, sketch-styled illustrations were carried extensively on the literary page of Dong-A Ilbo in 1930s with the Greater East Asia Policy of Japan. Illustrations were mainly composed of sketch-formed practice pieces, so improvement of works and process of creative drawing could be easily understood. Sketch-formed illustrations as previous steps before the completion of works were important ones showing the process of sketching to have real scenes more realist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mes from analyzing more concretely the process of change in modern Korean Travel Sketches using the materials of Serial Illustrations of 'Dong-A Ilbo' in 1930s. In fact, existing studies about modern realistic landscape painting may be overly weighed toward general things and artists themselves. Finall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ga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rtists and tendency of modern Korean culture through analysis of sketch-styled serial newspaper illustrations from 1910s to 1930s, and identified the transplanting route of modern art culture.;본 연구는 근대 寫景山水畵의 발달과 근대 풍경화 수용 과정에서 나타난 스케치 형식의 신문 연재 삽화를 분석한 것이다. 근대 '紀行寫生畵'라는 용어를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의 관념적인 眞景山水畵에서 벗어나 작가들이 ‘일상적인 풍경’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주제로 다룬 근대 사경산수화와 근대 풍경화에서 파생된 스케치 형식의 삽화에 한정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근대 기행사생화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 전에 근대 사경산수화에 관한 개념정리와 근대 풍경화의 유입 과정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근대 사경산수화는 1922년 조선미술전람회의 창설과 함께 작품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종전의 관념적인 산수화풍에서 벗어나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풍경을 시각적 사실성에 주목해 표현하면서, 수묵풍경화인 寫生的 산수화로 변모하기 시작한 것이다. 근대 수묵 풍경화의 개량에 관해서는 홍선표 교수가 일찍이 연구해 온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근대 사경산수화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근대 기행사생화의 발달 배경과 경향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근대 기행사생화가 발달하게 된 배경으로는 우선 사회 ․ 문화적으로 관광과 여행 문화의 유행, 이와 흐름을 같이 하는 철도의 발달을 들 수 있다. 미술사적 배경은 1922년 창설된 조선미술전람회와 일본에서 도입된 풍경화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미술전람회의 심사위원과 심사기준, 출품작의 주제나 화풍 등을 통해서 근대 기행사생화와의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제의 대동아 주의 정책이 조선미술전람회의 출품작 뿐 아니라 근대 사경산수화를 비롯해 근대 기행사생화에까지 녹아 든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근대 일본의 사생문화와 함께 일상적인 風光을 소재로 한 풍경화가 일본에서 도입되면서, 근대 기행사생화가 더욱 활발히 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대표적인 근대 기행사생화는 1930년대『동아 일보』학예면에 연재된 여러 작가들의 삽화가 있다.『동아 일보』는 중도 우익적 성격 때문인지, 당시『조선일보』가 학예면에 역사의식,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내용의 글과 프롤레타리아적 내용을 주로 다룬 것이 비해 기행문과 명승지 소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행스케치 등 문화적 성향이 강한 기사들을 주로 실었다. 이상범, 홍 득 순, 이인성, 송병돈, 이마 동을 비롯한 여러 작가들이 각 지역을 기행하고, 짧은 감상문과 함께『동아 일보』에 삽화를 연재하였다. 삽화를 연재한 작가들은 대부분 서양화가들인데, 이들은 근대 풍경화 정착에 기여한 인물들이다. 이상범은 동양화가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기행 스케치를 연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화가임에도 불구하고 사생과 기행을 즐기고, 서양화법과 전통화법을 작품에 조화롭게 반영한 이상범을 중심으로 근대 기행사생화의 특징과 영향관계에 관해 분석하였다. 이상범이 신문에 연재한 기행사생화는 그가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했던 작품들과 그의 연재소설 삽화 등 다른 작품들과의 소재, 화풍, 구도적인 면에서 유기적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러한 이상범의 스케치와 삽화는 근대 사경산수화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이상범 외에도 앞서 언급했던 서양화가들의 기행사생화도 함께 다루었다. 근대 기행사생화는 일본의 ‘기행사생’ 문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근대 일본에서 서양의 풍경화 개념이 정착되면서, 일상의 풍경들을 기행과 여행을 통해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사생문화가 유행했는데, 많은 일본인 화가들이 일본 및 조선의 각 지역을 기행하고, 그 감상을 기록한 기행문과 스케치를 함께 수록한 ‘기행사생화첩’을 활발히 제작하였다. 이러한 화첩에 실린 스케치의 소재와 구도, 화풍 등에서도 우리나라 근대 기행사생화와의 관련성이 나타나고 있어서 둘 사이의 영향관계에 관해서도 간략히 분석하였다. 이에 관한 연구는 추후 더욱 구체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1930년대에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근대 기행사생화를 유형별로 정리함으로써 ‘사생’과 ‘스케치’가 근대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아가고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사생’, ‘스케치’ 문화의 유행이 일본에서 유입된 ‘旅行者的 審美의 태도’ 그리고 ‘定住者的 審美의 태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근대 일본의 ‘여행문화’와 ‘기행사생개념’이 우리나라에 도입되면서 1930년대 우리나라 신문에 스케치 형 삽화가 활발히 연재되었다. 이러한 경향이 일제의 대동아 주의 정책과 함께 확산되는 과정에서 1930년대『동아 일보』학예면에 스케치 형식의 삽화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근대 사경산수화에 관한 연구가 개설적인 연구와 작가론적 연구에 치우쳐져 있던 것을 신문 삽화라는 소재를 통해 좀 더 구체화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삽화는 습작의 의미를 가진 스케치 형식이 많고, 이러한 점 때문에 작품의 변화와 창작의 과정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스케치 형식의 삽화는 근대 사경산수화 성립과정에서도 작품 완성 이전 단계로서, 실제 풍경 표현을 더욱 사실적으로 하기 위한 사생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스케치 형식의 신문연재 삽화 분석을 통해 1910년대에서 1930년대 일본과 한국 작가들 간의 교류관계와 그 속에 녹아있는 근대문화의 경향성을 함께 고찰하고, 근대 미술문화이식의 경로를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