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종목-
dc.contributor.author이혜민-
dc.creator이혜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78-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자연과 공존하며 자연 질서 속의 한 부분을 이루며 살아왔다. 인간의 삶은 자연의 영향을 받고 인간의 미의식 내지 예술 활동도 자연의 환경 속에서 그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예로부터 자연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해왔고 자연이 주는 영향과 의미, 감정은 다양한 예술로 표현 되어 왔다. 본인 또한 자연에 대한 본질적 사유와 탐구를 통해 작품제작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자연 속 생명체는 계절과 시간에 따라 흐르며, 그 속에서의 크고 작은 미묘한 변화는 ‘살아있는’ 생명체의 몸짓으로서 신비감과 상상력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자연이 지닌 형체나 외형적 현상의 재현뿐이 아닌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본질을 담아 주관적 해석을 하고자하였으며, 본인의 내적 심상에 대한 서정적 표현을 지향하였다. 자연의 지각을 통해 느꼈던 순간을 시각화함과 동시에 보이는 것 너머의 세계까지 느끼고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유한한 세계를 넘어 물리적 시선으로서가 아닌 내면적 시선이 마주하는 어떤 추상적 본질에 닿고자하는 것이다. 본인은 자연의 섭리에 따르는 삶을 이상적 가치로 여기는 동양의 자연주의를 작품의 토대로 하여 구체적으로는 물리적 현상의 재현이 아닌 그 속에 담겨있는 어떠한 본질적 가치를 담고자 하였다. 드넓은 자연 안에 한 작은 인간으로 서 있다는 것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눈의 깊이를 더해 주며 작은 존재로서의 겸허를 갖게 한다. 자연의 무한한 공간 속에서 고요한 생명력의 세계와의 만남은 자신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내면의 통로로써 명상적 자기성찰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요한 가운데 변화하는 자연의 기운을 내면세계로 시각화하며 근원으로의 자연을 통찰함으로서, 자연과 인간, 물질과 정신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명상적 세계를 모색해보도록 하였다. 본론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동양의 전통적인 인식 체계 속의 자연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동양 사상의 자연에 대한 태도로서 첫 번째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였던 동양의 도가사상을 바탕으로 자연의 본질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다음으로는 동양회화예술의 기본 정신 속에 포함된 산수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산수화의 정신적인 면을 모색해 보았고, 산수화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했던 중국의 곽희가 논한 「임천고치」를 통하여 산수를 대하는 작가의 자세를 알아보았다. 동양특유의 산수자연에 대한 관조의 방법과 표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곽희의 산수화론에 담겨진 예술적 측면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의 두 번째 장에서는 정신적 본질과 실재에 대한 모색을 추구하며, 자연과 인간, 의식과 무의식에 관한 총체적 통찰인 명상과 관조에 대해 주목하였다. 예술에 나타나는 명상적인 요소를 연구해 봄으로써 심화된 내면세계의 표출을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불교의 명상으로 대변되는 선(禪)사상을 통해 비가시적인 세계를 이해하며 명상과 선(禪)적 사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문인화와 선(禪)사상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봄으로써 선종이 동양회화사에서 문인화 형성에 미친 영향과 밀접한 연관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대미술에 있어 선(禪)적사유가 드러나는 작품들을 연구해 보았다.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세계인 선(禪)사상에 대해 언어로 논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일 수 있지만, 예술이 무엇인지 정의하기는 쉽지 않으나 교감의 과정을 통해 소통할 수 있듯이 선(禪)또한 본질에 대한 깨달음으로 가는 과정 또는 노력으로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적 연구에 있어서는 첫째로 본인의 작업에서 나타나는 요소인 ‘점’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점의 의미를 비롯하여 표현적인 효과와 드러내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는 공간의 확장과 무한함을 표현하기 위한 기법으로 한지의 중첩과 구성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이를 통해 나타나는 조형성을 찾아보고 담담하고 조용한 화면의 공간표현을 연구해 봄으로써 본인 작품에 있어 조형적 요소와 공간에 대한 화면의 이미지들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점을 찍거나, 선을 긋는 작품제작에 있어 반복적 행위를 통하여 나타나는 효과와 그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며, 이에 대한 작업방식과 접근방식이 가까웠던 작가들의 작품에 대해서도 연구해 보았다. 아울러 절제된 색채로 표현한 본인의 작업의 특징과 작품제작에 있어 그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표현에 대한 의미와 의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에 대한 분석으로 본인작업의 내용적인 면과 그 표현에 있어 방법적인 제작과정 및 재료와 형태, 작업형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업에 관해 다시 한 번 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이러한 모색과정은 앞으로의 작품제작에 있어서도 인식과 표현의 폭을 넓히며, 내면적인 깊이를 표현 할 수 있는 작품의 이론적, 방법적인 토대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The ever changing nature and the life-breathing space is working together with the life of human beings. Within this atmosphere, humans feel a sense of comfort as well as becoming one with nature, and also looking into nature with awe. Therefore, many people experience diverse emotions in nature. The space of nature provides humans the opportunity to look and listen into their inner self, and allows them to put meaning into the small and large energies that are unseen. In addition, they experience a silent yet powerful wave. The space of nature where minds meet allows the law of the univer and primitive pureness to come in contact, which in result allows to see the world beyond materialism.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visualize the atmosphere of nature and inner self in order to see through nature itself. The paper researches this essential meaning as well as looking into the traditional awareness of Eastern cultures through the meaning of nature. Traditionally, the Eastern culture put great emphasis on the harmony and balance between man and nature. Man was considered a part of nature, and by looking into nature, they were able to see and recognize their real self. Of these cultures, the view of nature in Taoism was researched. The attitude towards becoming one with nature was seen, and the inner emotional contact was naturally displayed in such works which results in broadening the range of expression. Also, by looking into the real meaning of landscape, it could be concluded that landscape was not simply a work of art, but a high quality level art that defines the contemplative emotions within. The methods of observing and looking at landscape art was also examined. Of Gwakhee's <ImChunGoChee>, [SansooHoon] and [Hwahee] were some works that displayed and emphasized not only the methods of treating nature, but also the meditation through examining nature itself. These real experiences and change of nature allowed the author to realize and self-reflect upon oneself. Also, the unseen world was looked into interest as well as finding elements of meditation in the world of art. To look at such meanings of meditation, the virtue principle in the Buddhist meditation program was examined, and it was difficult to explain logically about the world of virtues in literary words. However, this idea and thought led to the recognition that it was not intuition that leads humans, but enlightenment that leads one to broaden their sense and attitude. Also,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focused on the inner logic and reason rather that outside display, which is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Eastern philosophy and religion. Of these, the influence of SunJong was examined in particular. The virtue principle was in relation with the literary artist's style in that both were focused on the inner self rather than the outside. In addition, through the works of Wolfgang Life and Richard Long, the virtuous elements were also found. These authors were also focused on the inner emotions, and displayed these through peculiar modeling language. I also realized that such expressions must be used with complex and diverse yet unique methods in order to look at a more intensified inner self and emotion. In the process of work imagery, the experience and source of life through nature was expressed in little dots, and these do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and expressing emotions. Also, during the process of work, a lot of repetitive measures have been used, which was in result a process of becoming closer with one's primitive self. Through these repetitive steps, the inner self was displayed and combined with plans which resulted in a more deep and serious direction. However, I believe that such process needs more diversity when doing experiments. On screen, diverse researches must be held in order to express a more powerful change in space. Through these theories and methods of research, the conscience of an individual will deepen, resulting in active methods of expression as well as creative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본론 3 A. 동양사상의 자연에 대한 태도 3 1. 도교의 자연관 4 2. 동양 산수화의 정신 7 3.「임천고치」에 나타나는 관조적 자연관 9 B. 예술에 나타난 명상적 요소 13 1. 명상과 선(禪)적 사유방식 14 2. 문인화와 선(禪) 16 3. 현대미술에 나타난 선(禪)사상 20 C. 조형언어와 표현방법 27 1. 근원적 의미로서의 점 27 2. 한지의 중첩을 통한 공간표현 30 3. 반복행위를 통한 명상 30 4. 절제된 색채 33 D. 작품분석 35 Ⅲ. 결론 54 참고문헌 57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160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명상을 통한 서정적 자연풍경-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yrical Landscape of Nature through Meditation-
dc.creator.othernameLee, Hye Min-
dc.format.pagev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