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조선후기 당파별 추천도서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후기 당파별 추천도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mmended Books of Political Par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한송이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리상용
Abstract
This study looked into the rise of political parties in the late Joseon and their academic characteristics, then, analyzed the recommended books of the political leaders in each party by individual and topic. For this, the process of the rise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parties, the Noron, Soron, Namin and Bukin, through documentary reviews were investigated. After selecting the political leaders of each party, the study reviewed their collections of works to extract the parts where recommended books were mentioned. Lastly, based on the Four Category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Sago Jeonseo Chongmok(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the study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recommended books, then, evaluated the meanings from the characteristics implicated in the recommended books by each par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rise of political parties and their academic characteristics in the late Joseon. The rise of political parties was driven complicatedly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s of noblemen compared to the numbers of government positions, excessive social pursue of Neo-Confucianism, the problems in the authority over human resource for government positions, and the disturbance of caste system and landlord system. The Noron who was the ruling party in that era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in the social control through Neo-Confucianism, and other parties, Namin, Bukin and part of Soron, as well, didn't break away from Neo-Confucianism, however, they started to show their interests in other fields of studies. Second, examined the historical data and research documents, selected 4 representative political leaders from each party, then, extracted all of the articles where the recommended books were mentioned from their collections of works. The number of the recommended books extracted from the collections of works was 384 books in total and details are as follows; 123 books from Noron, 58 books from Soron, 167 books from Namin and 36 books from Bukin. Third, for the analysis of recommended books, categorized them into 4 categories of scripture,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Four Category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e Sago Jeonseo Chongmok(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Also, following numbers of books were removed to avoid overlapping between parties; 81 books from the Noron, 38 books from the Soron, 113 books from the Namin and 31 books from the Bukin. Fourth, based on the list made, looked into the topics of books from recommended books of each party, the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case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arties and political leaders, made the overall evaluations on the meanings of the characteristics. The recommended books of Noron didn't go far from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Neo-Confucian books, and especially, they put much weight on summarizing the enormous amount of Zhu-xi's works, and helping understanding his works. This shows the typical attitude of the conservative force in the late Joseon, in step with the Noron's attitude pursuing Zhu-xi, to maintain current social order by recognizing the ideas other than Neo-Confucianism as heresies. As for the recommended books of the Soron,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recommended books of the Noron except that they had books of Taogaryu and Nongaryu in the category of philosophy. It could be due to the similar academic background of the Soron and the Noron. The Soron's people were mostly shunned in the political society at that time. Although they had interests in other ideas other than Neo-Confucianism, they had same origin with the Noron; that is both of them were separated from the Seoin party. The Namin was the only party who recommended greater number of the Korean history books than Chinese history books, this is probab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broke away from the geographical outlook on the world centered at China and had an independent attitude on historical identity such as the new understanding of Dangun Joseon. Also, from the fact the their recommended books included the books of Byungaryu,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Bukin who emphasized the military force, and had great interests in national defense. Also, since they had great interests in other ideas rather than were absorbed in the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dominant ideology at that time, their recommended books included many books from Taogaryu, Jobgaryu and Bubgaryu other than Yugaryu. In comparison with the recommended books of other parties, the books of the Bukin cover various themes.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tended to absorb various ideas rather than building up their unique idea. The facts that they supported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se and the loyal troops and that they had interests in external norm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theory of benevolent politics based on the materialistic outlook on the world of energy oriented well explain why they emphasized the books of Byungaryu and Bubgaryu. From the fact the Bukin didn't just stuck on the righteousness and justification of Neo-Confucianism but showed various fields of study, the social background for that they recommended the books of Taogaryu and Soseolgaryu which was not seen in any books of other parties could be inferred. Fifth,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recommended books of the Noron and Soron, and the Namin and Bukin; this was because that the Noron and Soron were splitted from the Giho Confucian School and the Namin and Bukin, as well, were from the Youngnam Confucain School thus they had same origins.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observe that the four parties had slight differences over recommended books since as well as they had different political positions and backgrounds based on fundamental Neo-Confucian manners.;본 연구는 조선후기 당파의 형성과 학문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각 당파에 속한 주요 인물들의 문집에 나타난 추천도서를 인물 별, 주제별로 분석하여 당파 별 특징, 당파 간의 특징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해 조선후기 당파의 형성과정과 노론, 소론, 남인, 북인의 학문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각 당파 별 대표 인물을 선정하여 이들의 문집 전체의 내용을 검토한 후 추천도서에 관해 언급한 부분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四庫全書總目의 四部分類法에 의거하여 당파 별 추천도서를 분류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당파 별 추천도서에 나타나는 특징들이 의미하는 바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선후기 당파 별 추천도서에 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당파의 형성 과정과 학문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당파의 성립은 관직 수에 비한 양반 수의 급증, 지나친 도학 숭상 풍조, 관료 인사권 방식이 가지고 있던 문제, 신분제와 지주제의 동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났다. 집권당인 노론은 성리학을 통해 지배질서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소외된 남인, 북인, 일부 소론은 근본적으로 성리학을 벗어나지는 않았으나 다른 분야의 학문에도 차츰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둘째, 기존 사료와 연구문헌들을 참고하여 노론, 소론, 남인, 북인의 주요 인물을 4명씩 선정한 후 이들의 문집 전체 내용 중 추천도서에 대해 언급된 부분을 모두 추출하였다. 연구 대상 문집에서 추출한 추천도서의 종수는 노론이 123종, 소론이 58종, 남인이 167종, 북인이 36종으로 총 384종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천도서 분석을 위해 당파 별 추천도서를 四庫全書總目의 四部分類法에 따라 經部, 史部, 子部, 集部로 나누어 목록을 작성하였다. 당파 별로 중복 도서를 제거한 종수는 노론이 81종, 소론이 38종, 남인이 113종, 북인이 31종으로 나타났다. 넷째, 작성한 목록을 바탕으로 당파 별 추천도서에는 각각 어떤 주제의 책들이 있는지 살펴보았고, 당파 별 추천도서의 특징들을 통해 이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평가를 내려 보았다. 노론의 추천도서는 유교 경전과 성 리 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며, 특히 방대한 주자의 저술을 요약하고 이를 정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성격의 책을 중요하게 생각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론이 주자를 숭상했던 태도와 맞물려 성리학 이외의 사상은 이단으로 인식, 현 질서를 유지하려는 조선후기 보수 세력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소론의 추천도서는 子部의 道家類와 農家類 서적이 포함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주제별 분류상으로 볼 때 노론의 추천도서와 큰 차이는 없었다. 이는 소론이 주로 정치권에서 소외된 인사들이었으며, 노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리학 외의 다른 학문조류에 관심을 두고 있었지만, 노론과 함께 서인에서 갈라져 나온 당파로 같은 문인 계열에서 수학하면서 학문적 기반이 비슷하다는 배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남인의 추천도서는 역사 관련 서적에서 유일하게 중국의 역사책보다 우리나라의 역사책이 많았는데, 이는 남인이 중국 중심의 지리적 세계관을 극복하고 단군조선을 재인식하는 등의 주체적인 역사인식 태도를 가졌던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兵家類 서적이 포함된 것은 남인 중에 武의 중요성을 인식한 북인의 영향을 받은 인물들이 많았던 점, 이들이 국방과 영토수호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근본적으로 군사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던 점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이들은 권력의 중심에서 소외된 상황에서 당시 지배 이데올로기인 성리학에 심취하기보다는 다른 사상에도 관심을 기울였던 것이 儒家類 외 道家類, 雜家類, 法家類 등의 서적을 추천도서로 꼽은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북인의 추천도서는 다른 당파와 비교해 볼 때 종수에 비해 다양한 주제 분야에 퍼져 있는 편이었는데, 이는 대체로 북인이 일관된 학문 체계를 수립하기보다는 여러 사상을 잡박하게 소화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을 하나의 원인으로 생각해볼 수 있었다. 또 이들이 국방강화와 의병활동 전개에 적극적이었던 점과 氣중심의 唯氣論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仁政論에 주목하기보다는 외재규범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배경은 추천도서에 兵家類와 法家類 서적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북인이 성리학의 의리와 명분에만 집착하지 않고 다양한 학문분야에 관심을 기울였다는 사실에서 道家類와 다른 당파에서는 볼 수 없었던 小說家類 같은 서적을 추천했던 배경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노론과 소론 간, 그리고 남인과 북인 간 추천도서에는 어느 정도 비슷한 면이 있는 점이 발견되었는데, 그 이유는 노론과 소론은 주 연원이 畿湖學派에 속해있던 인물들이 많았고, 남인과 북인 또한 嶺南學派에 속해있던 인물들이 많아 각각 학파의 연원이 같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했다. 이상과 같이 四色黨派의 추천도서는 유교경전과 性理書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안에서 약간씩의 차이를 드러냈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당파들이 기본적인 성리학적 소양 위에서 정치적 입장과 배경이 달랐던 만큼 추천도서에도 조금씩 차이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