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모바일 플라스틱용 크랙도료를 활용한 감성이미지 연구

Title
모바일 플라스틱용 크랙도료를 활용한 감성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nsitivity Image Using Crack Paint for Mobile Plastic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of leather texture between experts and consumers groups
Authors
이경화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흔히 감성의 시대라 일컬어지는 21세기를 맞아 감성적 요인이 더욱 더 부각되고 있다. 빠르게 발달하는 최첨단 기능과 디자인 속에서 소비자는 더욱 더 새로운 것을 찾게 되며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제품에 적용하는 것은 디자인 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다. 이제는 생활 필수품으로서 우리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가 되어버린 모 바 일 폰 은 무엇보다도 소비자의 만족도가 중요하다. 제품에 소비자의 감성 코드가 중요시되는 소비자 중심의 시대에 소비자 감성에 입각한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디자이너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감성은 개개인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보편성을 지니고 있으며 인간이 지닌 오감은 감각과 감성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감성에 근접한 디자인 개발을 위해 미국 조 안 팩 박사와 캘리포니아 대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수잔 슈 박사의 실험을 논거로 가죽 질감을 구현하는 디자인 시안의 개발에 있어 시각(색채)뿐만 아니라 촉각(질감)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번 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감성 디자인의 요소로서 모 바일 폰 용 특수도료(열경화성 SF 우레탄 마감 형 크 랙 타입)를 적용하여 시각과 촉각을 활용한 가죽질감의 구현과 이에 대한 전문가 집단과 소비자 집단의 평가비교이다. 연구의 과정으로 이론적 고찰에서 모 바일 폰에 주로 쓰이는 소재로서 플라스틱과 도료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고, 모 바일 폰 의 경향에 대해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도료 표현요소로서 하도 크 랙 입자의 시각적 차이가 표현하는 이미지와 상도의 SF도료의 촉감이 복합적으로 작용 때 나타내는 감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도(Middle coat)의 컬러를 통제하고 하도(Base coat)의 크 랙 입자 사이즈와 상도(Top coat)의 광 비율(Gloss rate)을 독립변인으로 조작하여 디자인 시안을 9개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디자인 시안을 통해 시각과 촉각이라는 두 감각이 상호 동시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가죽과 가장 유사하다고 인지되는 시안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전문가 집단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방법 중 개방형 심층면접 법(개별면접)을 시행하였고, SD기법을 활용한 양적 연구의 방법으로서 설문조사법을 소비자 집단 대상으로 시행하여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는 연구법을 상호 보완함과 동시에 두 집단간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설문의 작성을 위해 도료 사 컬러디자이너 및 컬러개발자를 대상으로 F.G.I면접 법을 시행하였으며 이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진 형용사 어휘는 ‘거칠다-매끄럽다’, ‘질기다-유연하다’, ‘무겁다-가볍다’, ‘딱딱하다-부드럽다’, ‘건조하다-촉촉하다’의 총 5쌍 이었다. 도출된 5쌍의 형용사 어휘 중 가죽을 표현하는 어휘로는 ‘매끄럽다’, ‘유연하다’, ‘가볍다’, ‘부드럽다’, ‘촉촉하다’가 선택되었으며 이에 대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한 항목들이 한 가지 개념을 가리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들은 보통 양수를 음수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죽의 속성을 표현하는 형용사들은 SD기법의 5점 척도(-2점~+2점)로 표현할 때 양수 방향에 위치시켜 설문을 시행하였고 이는 가죽 질감 구현에 대한 감성 이미지 평가 분석의 자료가 되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 모 바일 표면에 적용되는 특수도료로 하 도의 크 랙 입자 사이즈와 상도의 질감에 변화를 주어 가죽 질감을 구현하였을 때 전문가 집단과 소비자 집단이 인식하는 가죽질감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문가 집단과 소비자로서 일반인 집단을 상대로 두 집단이 생각하는 가죽 질감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비자의 경우에는 광택이 20%이고 입자가 가장 작은 것, 즉 Sample A-1을 가장 가죽에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문가 집단이 광택이 40%이고 입자가 중간 이상인 Sample B-2을 가장 가깝게 느낀다는 결과와 상충하는 것으로서 소비자들과 전문가들 사이에 가죽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문가 집단과 소비자 집단의 선호 경향이나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한하여 연구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와 전문가 집단 이외에의 사업자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 조사 하는 방법도 추후에 연구과제로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새로운 트렌드 가 등장하고 기술이 발달로 新 도료가 개발 될 것이므로 디자인의 개발과 향상을 위해 연구의 영역을 넓혀 디자인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In the 21th century which is commonly called as the time of sensitivity, sensitive elements increasingly stand out. In the midst of rapidly developing cutting edge functions and designs, consumers increasingly look for something new, and application of the elements that can stimulate consumers' sensitivity to products is the key element of design competitiveness. Now, for mobile phones which become, as daily necessity, inseparable relation with our life, more than anything else, consumers' satisfaction is important. In the consumer contered period which attach great importance of consumers' sensitivity code to products, designers' role is to develop design based on consumers' sensitivity. Although sensitivity i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s' experience, basically, it has universality, and five senses that human has play a role to stimulate feelings and sensitivity. This study focuses on, in order to develop designs close to sensitivity the importance of not only sight (colors) but also touch (texture) in developing design draft realizing leather texture with the experiments as basis of argument, which was performed by Dr. Joan Pack in the U.S. and Dr. Susan Sue of University of California in Los Angeles. What this study pursues is realization of leather texture using sight and touch by applying special paint (crack type of thermosetting SF finished with urethane) for mobile phones as an element of sensitive design and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wo groups in responding to the realization. For the process of this study,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t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lastic and paint as main materials that are used in mobile phones and analyzed the trend of mobile phones. The color of middle coat was controlled in order to evaluate sensitivity which appear when image expressing visual differences of base coat crack particle as an element of paint expression and touching feeling of SF paint of top coast complexly work, and nine design draft proposals were produced by taking the size of crack particles in base coat and gloss type of top coat as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evaluate proposals recognized as the thing that is the most similar to leather when two senses including sight and touch simultaneously affect through the produced draft proposal,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methods. Firstly, for the participants of an expert group, among the methods of qualitative studies, open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by performing the surveying method using SDmethod, which is a quantitative method, to consumers group, the two methods complemented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each other and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differences as well. For creation of questionnaires for a qualitative surveying method, this study conducted F.G.I interviews including color designers and color developers of paint companies, and five pairs of adjectives foun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s include rough and smooth, tough and flexible, heavy and light, hard and soft, and dry and moist. The selected vocabulary expressing leather among the five pairs of adjectives drawn from the interviews include smooth, flexible, light, soft and moist, and it was found that the items measur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credibility indicate one concept. People usually tend to think positive numbers more positively than negative numbers, so in the questionnaire, the adjectives expressing property of leather were placed on the side of positive numbers when the five point scale of SD method (point -2~point +2) is used and this became the data of analyzing sensitive image evaluation on realization of leather tex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leather texture was realized by changing the size of crack particles in base coat and texture of top coat as special paint applying to the surface of mobile phon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texture of leather between expert and consumer groups. The differences in perceiving the texture of leather were compared between the expert group and general group as consumers, and it appeared that they felt that Sample A-1 is the closest one to leather, which has the smallest particles with 20% gloss, when the results are synthesized, in the case of consumers. This is at odds with the finding that the expert group felt that Sample B-2 with 40% gloss and medium sized particles is the closest one, which demonstrate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recognizing leather between consumers and experts. This study was limited to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preference or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 and consumer group. Therefore, beside consumer and expert groups, the further studies should also include operators group. In addition, since there will be development of new paint because of appearance of new trend and advancement of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design, we should develop design by expanding the areas of studies. As there is no proposal of standard that was analyzed by consumers' sensitivity as a yardstick according to changes of current trend and materials of mobile phones, this study plays a role as the proposal for the standard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in the study that is to totally improve design competitiveness to seek for colors and tex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