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한ㆍ일 초등미술 교과서의 색채교육 내용 비교연구

Title
한ㆍ일 초등미술 교과서의 색채교육 내용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research on the color education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colors chapter and paintings and prints chapter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rs
Authors
박은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경실
Abstract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우리나라는 국제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인재를 육성 하고자 하는 시대적 상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오늘날의 미술 교육 또한 교육으로서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로 발전되기 시작했다. 특히 아동들이 가장 먼저 관심을 갖는 것은 색으로, 색에 의해 미술에 대한 흥미가 좌우되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날 아동들은 다중매체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색을 접하게 됨으로 체계적이지 못한 영향을 받고 있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초등 색채 교육 또한 비체계적이거나 그 방향성을 잡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교육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색채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차이점을 비교 ㆍ 분석하여 양국의 색채교육내용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알아내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자는 아동 색채 교육의 이론적 의의와 아동의 색 감각 인지 발달 및 색채 표현 특성을 알아보고 현 초등 색채 교육의 현황을 조사 ㆍ 분석하였다. 한 ㆍ 일 초등 색채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국의 초등 미술 교육에서 현행 되어지고 있는 교육 체제를 알아보고 「색채」단원과 그와 연관된 「회화 및 판화」단원의 교육 내용, 색채 언어, 제시 이미지 및 아동작품의 사례 등의 차이점을 비교 ㆍ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초등 미술교육과정 목표를 살펴보면 한국은 '조형요소의 원리를 이해하고 표현법을 활성화 시키는 교육'을 지향하고 일본은 '재료를 기반으로 한 아동의 감각이나 경험에 의한 표현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한국 교과과정의 내용 체계에서는 색채를 1, 2학년에서만 한정적으로 다루고 있다. 반면 일본의 미술 교과과정 내용 체계는 전체학년에 걸쳐 색채교육을 중요시 다루고 있다는 특성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색채 단원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보면 주로 ‘개념적인 이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본은 ‘아동중심의 체험위주의 학습’으로 되어 있다. 「색채」단원과 「회화 및 판화」단원의 구성을 보면 한국 미술 교과서는 각 단원이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본 교과서는「색채」단원이 보조 단원 개념으로 설정되어 기타 단원의 내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색 사용에 대해 참조하여 반복하여 학습하도록 되어있다.셋째, 색채언어의 종류 및 횟수는 일본 교과서에서 더 많은 종류와 횟수로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원 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초등 미술 교과서는 색채 언어가 대부분「색채」단원에서 집중되어 있고 ,일본의 경우, 각 단원이 균등한 분포를 이루고 있다. 색채 언어의 분류 별로 사용 빈도는 한국은 ‘개념적 언어’가 많이 쓰였고 일본은 ‘체험적 언어’에 관한 언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양국의 교과서는 아동의 인지 발달특성에 따른 적합한 교과내용을 교육하고 있었으며, 양국 모두 각 교과 목표에 따른 제시 이미지와 내용 구성이 일관성 있게 구성 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회화 및 판화」단원에서 색채 교육이 교과 목표 대로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의 경우,「색채」단원 및 기타 「회화 및 판화」단원에서도 교과목표 및 제시 이미지, 실제 아동 작품 등이 일관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색채」단원에서 배운 교육내용의 다양한 응용 이미지 및 설명 등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가 가져야 할 색채 교육의 목표는 교과 과정의 색채 교육의 체계화가 잘 이루어져 상호 연관성을 원활하게 하며, 바람직한 색채 교육의 활성화를 시행하여 미래 색채 교육에 큰 발판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 이를 통해 아동의 색채 의식 발달에 큰 기여를 해야 할 것이다.;21st century Korea is in need of fostering autonomous and creative talents to cope with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ongoing. The art education is also developing in various cultural directions, in addition to its original education role. Color is the earliest item children get interested in and colors can decide the interest of children on art. Today’s children contact with colors a lot through multi-media and other various ways; however, they get rather unsystematic influence from them on colors. There is colo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but it is not systematic or it does not have clear direction. This research explored current color education status in the elementary schools of Korea and Japan. It focuses on finding out the difference in the color education contents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 status. Current color education status in the elementary school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way of exploring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children’s color education, development of children’s color-sense cogni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s color expression. The art education system practiced in the elementary schools of both countries was probed to learn the color education status of Korea and Japan. Also,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contents, color languages, suggested images and cases of children’s artworks, included in the 「colors」 chapter and 「paintings and prints」 chapter,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were explored first. The art education objective of Korea was aiming at the 'education to let children understand the principle of formative elements and enhance the expression techniques'. The art education objective of Japan was emphasizing the 'education to enhance the artistic expression by the sense or experience of the children based on material'. In Korean art curriculum system, colors were dealt in limited extent during the 1st and 2nd grade. On the other hand, in the art curriculum of Japan, color education was quite important for the whol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education content of Korean color chapter generally focused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while the Japanese color chapter focused on the 'heuristic learning of children'. Regarding the chapters configuration of 「color」 chapter and 「paintings and prints」 chapter, Korean textbooks were compiled in sequence, while Japanese textbooks have the 「color」 chapter as an auxiliary chapter, which is repeatedly referred and studied for color-use during the study of all other chapters. Third, Japanese textbooks had more kinds and more repetitions of color language than Korean textbooks. Most of color languages were concentrated in the 「color」 chapter in Korean textbooks, while Japanese textbooks had uniform distribution of color languages in every chapter. Regarding the use-frequency of color language by classification, Korean textbooks used more 'conceptual language', while Japanese textbooks used more 'heuristic language'. As last, textbooks of both countries had proper curriculum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gnition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children. Both of them had suggested images and contents-composition which meet the study objective. However, in Korean textbooks, color education was not enough to meet curriculum objective in the 「paintings and prints」 chapter. In Japanese textbooks, curriculum objective, suggested images and actual artworks of children showed consistent characteristic both in the 「color」 chapter and 「paintings and prints」 chapter. But it was required to supplement the various application images and explanation for the curriculum content learned in the 「color」 chapt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lo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should be systematic and have smooth inter-relation each other. The desirable color education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become the effective tool for the color education in the future, which would ! make a big contribution in the cognition development of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