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한나래-
dc.creator한나래-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9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98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In the period of Gangdo (江都時期, 1232~1270), there were,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several important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invasions of Mongolians,’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Ganghwa-do,’ ‘the resistances against Mongolians,’ ‘the collapse of military officials in power,’ and ‘the returning to the capital of Gae-gyeong again.’ In history, the studies of such era, begu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call it ‘the period of Goryeo’s resistances against Mongolia’with stress on the history of war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erm Gangdo (江都) is based on a record of『高麗史』that after the loyal family transferred the capital to Ganghwa people called Ganghwa-do Gangdo (江都).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production, supply and sales of potteries were maintained under the administration of Gangdo government, it is feasible to validate the use of the term ‘the period of Gangdo.’ That is, it seems likely to indicate a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a central market of potteries was transferred from Gaegyeong to Ganghwa-do. Historically significant events such as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Ganghwa took place in this period; in historical studies this period was considered as a transitional moment to the latter period of Goryeo. In the history of potteries there were likely to be some controversial debat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yet in fact it is difficult to find out specific materials about them. Thus, as a linking period between the middle and the latter, ‘the period of Gangdo’ seems quite important so that it is worth studying Goryeo porcelain in it. Above all, I have looked into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porecleain in the Gangdo period. According to documents such as 『Goryeosa(高麗史)』, Goryeo dynasty, after transferring its capital to Ganghwa-do, began managing the taxation system, which occupied a considerable portion of its total tax revenues, to receive tax from its subjects; in this sense,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as part of the taxation, porcelains were paid as a tribute. The places where they as public impostors were produced were presumed to be Gangjin and Buan; from 1236 Buan becam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Mongolia, and in 1255 Mongolia extensively attacked the shorelines of Jeolla-do by which it is assumed that Kanggin also was being attacked to some degree. So there is some possibility to insist that the supply of the porcelain through marine transportation was interrupted until 1260 when Goryeo negotiated with Mongolia forpeace. After that, it is quite natural to assume that there was some amount of efforts to resume the supply of the porcelain; yet, the 6 invasions in total of Mongolia, and the discontinuance more than 5 years of the porcelain might have brought out the enfeeblement of control of the ruling and some changes in the circumstances for production of the porcelain. Although there are no records that directly comment on this matter, there are some that help assume so. According to documents of the twelfth century, it is possible to speculate that there were indications of collapse of the taxation by discordance in the will of the people, owing to the overweight public services in the places of being in charge of producing and accepting local specialties such as porcelain. In the period of Gangdo there were some documents that indicate, since the Choe(崔) family squeezed out all rice out of common people, it is needless to say that people had difficulties in paying taxes. When it comes to a tributary payment of porcelain, it seems likely to have been almost in the same place. The collapse of So was accelerated in the distinctive circumstances corrupted by the invasions of Mongolia,and which possibly impacted on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potteries. Next, I have investigated the modal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porcelains in historical sites assumed to have been market places for potteries. In the period of Gangdo, though there were various constructions such as palaces, Buddhist temples, citadels, etc. in Ganghwa-do, most of them were destroyed in the process of returning of the capital to Gaegyeong or not long after that; thus, until recently there are not more than 30 celadon potteries. But the places where Goryeo porcelains are excavated look externally like historical sites relating to a royal family and the quality of the porcelains unearthed there is considered higher than the average. In order to supplement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to more clearly take a look at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Goryeo porcelains, I analyzed them along with the unearthed articles in the areas of production such as Gangjin and Buan, and areas nearby Ganghwado; and in particular Heyeumwonji that was revealed to be run from 1122 to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studies of roof tiles for noble families in that period, and the excavated articles in Beophwasaji administered after 1270 in Jeju. In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porcelain of the period of Gangdo, its style devised in the middle period of Goryeo was still representative, and such pattern out of more than half of its number continued up to the latter thirteenth century, and some of them did not have any pattern. Its techniques of pattern were similar to thoes of the 12 and 13 centuries; but the proportion of and materials for the techniques of inlaid work were expanding; instead the embossed carving in sculpture and the pattern of flowers piled on the surface of porcelain were declining. Although it is not clear, in the period of Gangdo there was a tendency in transition of the disappearance of an old pattern and the appearance of a new, the expansion of the proportion of a newly devised certain technique of design, the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etc.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porcelain, I have examined its chronological recording. Among scholars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time of the appearance of the certain-typed porcelain in the latter period of Goryeo. Especially, the period of Gangdo is being taken to be ‘the middle,’ ‘the latter,’ or the coexistence of both. ‘The Gangdo period’, from a view point of taking account of ‘the transfer of its capital,’ ‘the invasions of another country,’ could be possibly assumed to be a standard of dividing its period into several; but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Goryeo porcelain it is not easy to do so for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porcelain generally followed those of the former era. Even though there were evidently several tiny changes 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its new type, and in the use of its main techniques of patterns and in its pattern formation, it is not possible with such evidence to argue the possibility of dividing the Gangdo period into several, for such changes were almost similar to those distinct in the porcelains of the middle period of Goryeo. Lastly, I have inquired into the sites of product of porcelain in the Gangdo period such as Gangjin and Buan. In comparison of the porcelain types of the Kango period with 7 Yucheon-ri areas and the unearthed articles in the ninth and tenth porcelain places of Gangjin Youngun-ri, it is generally feasible to argue that the porcelain type of the Kagndo period is identified in both Gangjin and Buan as sites of product of the porcelain, and which indicates that the ‘Gangjin type’ popular in the areas, by taking Gangjin as its center, continued to be in popularity in the Gangdo period. Thus, it is possible that in both areas there might be a tributary payment of porcelain.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the excavated articles, the ‘O’ mark on the bottom of the porcelains, and the root of the invasion of Mongolia, Gangjin might be a site in a more proper condition for production of porcelain than Buan. Besides, a chronological recording process of a sedimentary layer of Youngun-ri on the basis of comparative materials of the porcelain types in the market places reveals that the first level of the tenth was preserved by the early twelfth when Heyeumwonji was constructed, and the second level of the tenth is assumed to be maintained from the early twelfth at least to the middle thirteenth century; in case of the Buan places the result of the chronological recording applied to it was almost similar to those of Heyeumwonji. The Gangdo period was socially a confused state, and, because of its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getting over the latter period of Goryeo, there are innumerable studies of histories of Goryeo’s rel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politics and social states in that period; but, interestingly enough, studies of the porcelain in this period are rare. In this paper, taking as a principal subject the excavated articles of porcelains in the historical sites of Ganghwa-do that are assumed to have been used in the Gangdo period, I have analyzed the matter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porcelain, places of its suppl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Gangdo period, etc. However, owing to the lack of the materials about the sites of product of the porcelain in the latter period of Goyreo and of the historical materials relevant to that time period, I can not figure out the tendency of the product of the porcelain and its supply in that period and after that. I expect that, through further materials such as the excavated porcelains in Kaesong,some information of the sites of product of porcelain of the latter period of Goyreo, this study could be supplemented.;‘강도시기(江都時期, 1232~1270)’에는 정치적으로 ‘몽고침입’, ‘강화천도’, ‘대 몽 항쟁’, ‘무신정권의 몰락’, ‘개경환도’라는 역사적 사건이 있었다. 역사학에서는 이 시기에 대한 연구가 일제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전쟁사적 측면에 주목하여 ‘대 몽 항쟁기’ 라고도 불리었다. ‘강도(江都)’라는 용어는 『高麗史』에 강화로 천도한 후 강화도를 ‘강도(江都)’라고 불렀던 기록에 근거하며, 도자의 제작 • 공급 • 소비가 강도정부 아래에서 유지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강도시기’라는 용어의 사용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즉 강도시기라는 개념은 도자의 중심 소비지가 개경에서 강화도로 전환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강화천도 등의 굵직한 역사적 사건이 있었으며 역사학에서는 후기로 넘어가는 기점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도 자사 에서는 중 ․ 후기의 전환기에 대한 이견으로 이 시기의 성격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기에서 후기로 나아가는 연결고리라고도 볼 수 있는 강도시기가 가지는 중요성은 크며, 이러한 측면에서 강도시기 고려청자의 연구가치가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강도시기의 자기제작과 공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高麗史』등 문헌기록으로 볼 때, 고려왕실은 강화도로 수도를 옮긴 후에도 세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던 수취제도를 관리하였고, 자기도 수취제도의 일환으로 공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공납자기를 제작한 요 장은 강진과 부안으로 추정되는데, 1236년부터 부안이 몽고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고 1255년에는 몽고군 이 전라도 해안가를 집중적으로 공략하여 강진요도 타격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몽고와의 화의가 맺어지는 1260년까지 조 운 로 를 통한 청자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몽고와 화의를 맺은 후에는 자기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몽고의 6차에 걸친 침략, 5년 이상의 공급중단은 요 장에 대한 지배층의 통제력 약화와 제작환경에 변화를 가져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한 직접적인 문헌은 없으나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기록이 남아있다. 자기 등 특산물을 생산․수납하는 所는 12세기 문헌기록을 통해 이 시기에도 과중한 공역부담으로 민의 이탈 등 붕괴의 조짐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강도시기에는 최씨 일문이 미곡을 착취하여 민이 조세를 제대로 낼 수 없었던 상황이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자기공납도 같은 양상이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12세기에 진행된 소의 붕괴는 몽고침입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가속화하여 자기제작 여건에 변화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강도시기 소비유적 출토 청자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강도시기에 강화도는 궁궐, 사찰, 성곽 등 여러 시설들이 조영 되었던 기록이 남아있으나 개경환도 과정 혹은 이후에 파괴되었으며, 현재까지 지표 및 발굴 등을 통해 청자가 수습된 유적은 30기 이내이다. 그러나 강화도에서 고려청자가 출토되는 곳은 왕실관련 유적이 주를 이루며 자기의 질 또한 대체로 상품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소략한 자료를 보완하고 청자의 시기적 특징을 보다 분명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강진․부안 등의 생산지 유적과 강화도 외 지역 출토품, 특히 문헌기록과 명문기와를 통해 1122년부터 13세기 전반까지 운영된 것으로 밝혀진 혜 음 원지와 1270년 이후 유적인 제주 법화사지 출토품 등을 함께 분석하였다. 강도시기에는 대체로 이전부터 사용되어 온 고려중기의 대표적인 양식들이 이어져 오면서 절반 이상의 유형은 13세기 후반에도 지속되고 있고, 일부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된다. 문양기법은 12~13세기 전반의 양상이 대체로 이어지고 있으나 상감기법의 비중 및 소재가 확대되고 조각양각, 퇴화 문이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즉 미묘하지만 강도시기에는 유형의 소멸과 등장, 특정 문양기법의 비중의 확대, 소재의 다양화 등 변화의 흐름이 관찰된다. 이러한 강도시기 청자의 특징을 근거로 고려청자의 편년을 검토하여 보았다. 학자 별로 고려후기 청자에 대한 시점은 다르게 인식되고 있으며, 강도시기는 학자에 따라 ‘중기’, ‘후기’, 혹은 ‘중기’와 ‘후기’가 공존하는 시기였다. ‘강도시기’는 ‘천도’, ‘외침’이라는 대사건이 발생한 시기라는 점에서 시기구분의 기준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으나 강도시기 청자의 도자사적 측면을 강조하면 이 시기에 청자는 이전 시기의 청자의 양상을 대체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몇 가지 기형의 생성과 소멸, 주 문양기법 사용 및 문양구성의 변화 등이 관찰되기는 하지만 시기를 구분할 만큼 큰 조형적인 변화가 관찰되지는 않았고 중기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강도시기 청자의 생산지와 강진 및 부안요의 운영시기를 검토하여 보았다. 강도시기 유형과 부안 유 천리7구역, 강진 용 운 리9, 10호 요지의 출토품을 비교하면 대체로 강도시기 유형은 강진 요와 부안요 두 군데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고 있어 고려 중기에 강진 요 장을 중심으로 유행한 ‘강진유형'이 강도시기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강진과 부안 두 군데에서 모두 공납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출토유형과 굽 안 바닥의 ‘ㅇ’표시, 몽고침입경로로 보았을 때, 강진이 부안보다 자기를 제작할 수 있는 여건이 유지되었을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도시기 소비지의 청자유형의 비교자료를 토대로 용 운 리 퇴적층의 편년을 시도해 보면, 10호 Ⅰ층은 적어도 혜 음 원지가 창건되는 12세기 전반까지는 유지되었고, 10호 Ⅱ층은 12세기 전반부터 시작되어 적어도 13세기 중반까지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부안요도 비슷한 시기에 운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도시기는 사회적으로 혼란기이며, 이후 고려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성격 때문에 대외교류사적, 정치, 사회사적으로 많은 연구가 되어 왔으나 이 시기 청자에 대한 연구는 희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강도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강화도 유적 출토 청자를 중심으로 강도시기 청자의 특징, 공급지, 강도시기의 성격 등의 문제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러나 후기청자의 생산지 자료와 이 당시 사료의 부족으로 보다 구체적인 당시의 자기제작 및 공급의 양상, 후기의 시점에 대한 부분은 밝히지 못하여 아쉬움이 남는다. 향후 개성출토 청자, 후기청자의 생산지 자료 등을 통해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현황과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과 방법 4 3. '강도시기'에 대한 연구사 및 시대적 배경 5 Ⅱ. 몽고침입에 따른 자기제작 · 공납구조의 변화 23 1. 강도시기 자기제작 및 공납구조의 변화 24 2. 강도시기 자기공납과 몽고침입과의 관계 37 Ⅲ. 강도시기 소비유적 출토 청자의 양식적 특징 및 생산지 문제 50 1. 강도시기 소비유적 50 2. 강도시기 소비유적 청자의 양식분석 73 3. 강도시기 소비유적 청자의 생산지 검토 118 Ⅳ. 강도시기 고려청자의 도자사적 의의 125 1. 강도시기 소비유적 출토 청자의 성격 125 2. 강도시기 출토품을 통해 본 강진 및 부안의 운영시기 133 3. 강도시기와 고려청자의 편년문제 136 4. 도자사적 관점에서 본 '강도시기'의 의미 146 Ⅴ. 결론 152 參考文獻 158 별표 178 ABSTRACT 1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323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강도시기(江都時期, 1232~1270) 고려청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Goryeo porcelain in the period of Kangdo (江都時期, 1232~1270)-
dc.creator.othernameHan, Na-Lae-
dc.format.pagexi, 1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