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진옥-
dc.contributor.author홍나래-
dc.creator홍나래-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63-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looks into the handing down tradition of fables that subject to adultery and the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conflict between human desire and societal norm and its cultural flow. In the introduction, the objective and the history of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and the validation of the studie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ers in the fables and how women were perceived were explained. Part II includes the range of the research subject materials. Even though 'adultery' is a prominent subject in literature, some of the reasons why there has not been efficient discussion about it is the societal norm that did not allow open talk about sex and because the definition and the range of adultery in the premodern materials can be too wide without the limitation. Therefore, certain level of limitation to the term 'adultery' and the range of research subject has been established in this thesis. Adultery is defined as 'a married woman having intercourse voluntarily with a man other than the husband' and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fables that dealt with adultery mainly and seriously' that were type fables and written mostly in Chosun(朝鮮) era. The fables have been sorted and studied i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how men accepted women's infidelity: punishment-type(懲治型), forgiveness-type(容恕型), and connivance-type(勸誘型). Part III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e three categories. punishment-type(懲治型) fables regarded adulteress's desire as selfish lust that did not develop into emotional security and trust or responsibility. It also believed that if such desire is not removed, one is likely to commit a crime. Especially in a society where there is zero tolerance to women's sexual deviance, since their pursuit of desire can only result in immorality and violence, adultery was perceived to be a crime that shook the fundamental order of the patriarchal society and destroy the just society. Therefore, in the punishment-type(懲治型) fables, guarding female desire was the most important value and determination to maintain the patriarchal order and by including the adultery incident in the wedding/entering the government process, youngsters were forced to learn the value and the moral of the community they are involved in. In the forgiveness-type(容恕型) fables, women are described to be the passive existence lead by men and when an adultery is investigated, both an adulterer and a husband's personality and societal status and the adultery circumstances are all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atriiarch's forgiveness not only recognizes female desire, but also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rder of men excluding women which, depending on the level of interest, plays a role in forgiveness. connivance-type(勸誘型) fables deal with the dilemma between desire and norm, but the pursued desire is defined more as a pursuit of individual's survival/happiness rather than sexual desire. Their desperate situations do earn some sympathy despite the immorality, but the argument about ethics continues in and out of text. Since sexuality and family matters brought up in the connivance-type(勸誘型) fables do not fit in the law of principles, respect for human life and the mutual trust between husband and wife have become the general standard for ethics. Each category was compared in literature based fable and orally handed down fable. Legendary literature(文獻說話) regard adultery from the autocratic point of view and the standard of judgement for the problem was based on the upper classes(士大夫) centric moral and loyalty. The distintion in the hierarchial status maintained a romantic distance with the narrative which enabled ethical dilemma to be interpreted in a romantic way. This made self-copiousness to remain positive. Oral folktale(口碑說話) were more interested in practical issues of married couples and the standard of judgement for problems were moral and agreement of the community. The ethical dilemma was solved by the universal standard of moral which has continued to this day. In part IV, the discussion intensely focussed on the views on women in the fables with adultery contents. punishment-type(懲治型) and forgiveness-type(容恕型) which made up 70.4% of this research subject resolved issues with sexual desire in mind. The view point of reprimanding female desire was reinforced by the upper classes(士大夫) while chastity was made ideology and loyalty became an important value. However, in the world of fables, forgiveness rather than reprimand was perceived to be a more effective and active method to bring the community together by resolving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that can occur in human society. Such interest on female sexual desire has been divided by men and argued in narrative only, and women stroryteller's considered sexual desire to be merely a part of marital relationship and barely showed any interest in the forgiveness-type(容恕型). Men perceived adultery to be a threat to maintain their authority and order in patriarchal dominance and women were interested in problems that occur in a horizontal marital relationship while practicing chastity obligation. Women in the fables exist to obey the patriarchal desire and control but also shows human desire and distress through incidents of adultery. The power of labour and production allowed their body to be perceived as positive and active. The identity of being productive challenged the patriarchal authority face-to-face and the chastity obligation in a round about way. Moreover, it lead more practical and progressive issues, such as women's right to their own children, to discussion. Fables showed a mature and positive marital relationship by describing the conflicts aroused by adultery and resolving the process. Despite the fact that each married couple has different social status, faces different crisis, and has different personality, when a couple makes a mutual effort to be considerate of each other and tries to resolve issues together with respect, they were able to overcome their own limitation and change fate in a positive way. This positive achievement of couples is not just temporary nor individualized, but it also shows the awareness of people that they valued marital relationship which connects the family prosperity more than anything. In part V, the cultural meaning of fables with adultery contents was studied. The previous versions of fables with adultery contents, as can be found in 『三國遺事』, have been accumulated and passed down in our consciousness. As it gets into the later part of Chosun(朝鮮) era, the number of conservatively written fables with adultery contents based on reinforced chastity of females increased, however, orally handed down fables enable to gain balance by constantly justifying human nature and desire. Even the current law and system is evolving towards gender equality, women's sexual desire is still very much discriminated against in today's society. It can be said that the constant questioning and self-reflecting view on the absolute moral in the patriarchal society shown in fables are the precedent for the movement to resist the patriarchal system and search for self-identity as a woman through adultery in today's literature.;이 논문은 간통 소재 설화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해 간통 소재 설화의 유형을 분류하여 전승양상을 살피고, 인간의 욕망과 사회 규범에 대한 설화 향유 층의 인식 양상을 분석한 후 그 문화사적인 의의를 조명하였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사를 검토하면서 연구 방향과 의의를 설명했고, Ⅱ장에서는 용어의 개념과 연구대상 자료의 범위를 정하였다. 전근대 자료에서 보이는 간통의 정의가 광범위하고 자료 또한 방대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논의를 위해서 일정한 한계를 설정해야 했다. 따라서 본고는 당대의 법률적 ㆍ 사회적 정의를 근거 삼아 간통의 개념을 ‘혼인관계에 있는 여성이 남편 외의 이성과 자발적으로 성 관계한 경우’로 정의했다. 본고의 연구대상은 간통이 서사의 중심 소재이면서 이를 진지하게 다룬 설화로서, 대개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유형화된 이야기들이다. 본고는 방대한 설화들을 효과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설화를 범주화하였다. 여성의 간통행위를 가장(사회)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징 치 형(懲治型), 용서 형(容恕型), 권유 형(勸誘型)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속한 하위유형들과 각 편 들을 검토하며 그 전승양상을 살폈다. Ⅲ장에서는 각 유형별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징 치 형 설화는 가부장 중심의 질서유지를 위해 여성욕망에 대한 경계를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설화 속 주인공들이 혼인과 出仕라는 사회 화 과정에서 간통사건을 겪으면서 공동체의 주요 가치와 윤리를 습득함을 보여주고 있다. 용서 형 설화에 나타난 가장의 관용은 여성의 욕망이나 정황에 대한 배려로 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여성이 배제된 남성 사이의 질서나 이해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었다. 이로써 개인은 혈연, 남녀, 가족, 사회적 신분질서 속에 위치하면서 그에 적절한 행위규범이 있음을 알게 된다. 권유 형 설화는 욕망과 규범의 딜레마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절박한 상황에 처한 개인은 주변의 권유나 묵인을 구실로 규범의 일탈을 정당화했지만, 공동체는 이와는 달리 생명 존중과 부부의 신뢰라는 관점에서 그 행위를 판단하였다. 각 유형마다 문헌설화와 구비설화를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문헌설화는 사대부 治者의 관점에서 간통의 문제를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그 판단기준은 사대부 중심의 규범과 의리였다. 신분질서에 따른 분별의식은 서사와 낭만적인 거리를 유지하였으므로, 도덕적 딜레마에서도 자아와 세계는 항상 긍정적일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구비설화는 부부와 혼인의 실질적인 문제로 간통에 관심을 가졌으며, 그 판단기준은 규범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의 용인 여부였다. 도덕적 딜레마의 문제는 생명, 부부존중에 대한 이해방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기준의 보편성에 대한 성찰이 설화전승과정에서 이어지고 있다. Ⅳ장에서는 간통 소재 설화의 여성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심화하였다. 먼저 간통 설화의 주요 관심사인 여성의 욕망에 대한 매체간, 남녀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여성의 욕망을 징 치 하는 시각은 정절이 이념화되고 의리가 중요한 가치로 부각되면서 사대부층을 중심으로 강화되었지만, 구비설화에서는 욕망을 인정하면서 이를 용서와 배려의 윤리 속에서 교화하는 것이 가부장질서를 견고하게 한다고 보았다. 여성화자의 경우 성적 욕망을 부부관계의 파탄으로 단순하게 인식하면서 용서 형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여성들이 성규범을 내면화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나아가 부부를 보다 수평적인 관계로 파악하고 이에 따른 성과 부부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고도 볼 수 있다. 여성들은 간통의 문제를 통해 가족관계 속에서 자신들이 타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이에 좌절하기도 하지만, 이를 능동적으로 내면화하면서 욕망을 우회적으로 성취하기도 하였다. 여성들은 자신의 생산력이 가장에 대한 의무라는 점을 내세워 정절의 본의를 되새기게 하고, 자식/태아에 대한 실질적인 권리를 제기하기도 한다. 설화는 간통이라는 갈등과 그 해결 과정을 통해 향유 층이 지향하는 성숙하고 긍정적인 부부상을 보여준다. 부부가 문제 상황을 함께 바라보고 서로 배려하면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가정은 개인의 한계를 뛰어넘어 운명까지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었다. 부부의 가치를 소중하고 힘 있는 관계로 생각한 향유 층의 의식 속에서 아내의 정절은 소유의 개념이 아니라 애정과 신뢰의 상징으로, 육체적인 가치보다 정신적인 가치로 해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Ⅴ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간통소재 설화의 문화사적인 의의를 살펴보았다. 간통 소재 설화는 󰡔삼국유사󰡕에서도 찾을 수 있듯이, 욕망과 규범, 성과 권력, 부부에 대한 문제의식은 가부장사회의 역사 속에서 다양한 계층의 시각과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면서 지속, 발전되어 온 것이다. 오늘날의 문학에서도 간통이 여성의 자아정체성을 문제 삼기 위한 소재로 빈번히 등장하는 것은, 아직도 가부장적 가족관계와 여성관은 우리 문화에 뿌리 깊게 남아있음을 보여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사 검토와 연구방법 5 Ⅱ. 간통 소재 설화의 유형과 전승양상 10 A. 간통 소재 설화의 범위 10 B. 간통 소재 설화의 유형 구분 19 C. 간통 소재 설화의 유형별 검토 25 1. 징치형 25 2. 용서형 59 3. 권유형 75 Ⅲ. 간통 소재 설화의 유형별 특징과 의미 91 A. 징치형 설화 91 1. 간통의 서사화 양상과 의미 91 2. ‘入門’에 대한 문헌과 구비의 관심 비교 98 3. ‘징치’에 깃든 윤리관 : 욕망에 대한 단호한 경계 105 B. 용서형 설화 111 1. 간통의 서사화 양상과 의미 111 2. 의리에 대한 문헌과 구비의 시각 비교 116 3. ‘용서’에 깃든 윤리관 : 정황에 대한 배려와 인간관계의 질서화 122 C. 권유형 설화 126 1. 간통의 서사화 양상과 의미 126 2. 서사와의 거리로 본 문헌과 구비의 차이 130 3. ‘권유’에 깃든 윤리관 : 생명의 존중과 부부의 신뢰 133 Ⅳ. 간통 소재 설화에 담긴 여성관 137 A. 여성의 욕망을 보는 두 가지 시선 137 1. 전승매체에 따른 시각 비교 : 징치와 용서 137 2. 화자의 성별에 따른 시각 비교 148 B. 여성의 존재적 정체성 155 C. 간통 소재 설화가 지향하는 아내상과 부부상 164 Ⅴ. 간통 소재 설화의 문화사적 의의 171 A. 간통 소재 설화의 문화사적 이해 171 B. 간통 소재 설화의 문학사적 의의 185 Ⅵ. 결론 189 참고문헌 193 ABSTRACT 2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72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간통 소재 설화의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n the adultery : themed fables of Korea-
dc.creator.othernameHong, Na-Rae-
dc.format.pagevi, 20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