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습득 연구

Title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s :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about two types of causatives
Authors
김미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alizing method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with causative constructions in Korean and Japanese, and look at the comprehension and related learning behaviors depending on the production and structure of sentences with causative constructions, aiming at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 the aim of and need for this research are stated, and its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by reviewing the preceding researches on Korean education related to sentences with causative verb, and discovering its problems. In Chapter II, causatives in Korean and Japanese are compared by contemplating those in the aspects of realizing method and meaning. In Chapter III, the standard for selecting experimental participants who are subjects,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and the designing principles of questions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of causative constructions which were used in this research are stated, and the analyzing methods of collected data are explained. In Chapter IV,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sentences with causative verb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it has shown that the learners use short form causative at a high rate. With respect to understanding depending on types of causative,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have shown similar understanding behaviors. In the comparison of types of production of causative between high ranking learners and low ranking learners among the learners, there has been a difference in the use of long form causative and the rate of other response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bility of comprehension between the high ranking learners and low ranking learner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of causative constructions of the learners, they linked short form causative with direct causative, and linked long form causative with indirect causative i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y have a difficulty in producing long form causative in the aspect of production.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ly, it has discovered a difference in the use behaviors of indirect and direct interpretation focused o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short form and long form causative. Secondly, it has compared the production and meaning depending on types of causative on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irdly, it has presented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for discussion of teaching method of causative in the future by discov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their learning behaviors.;본고는 한국어와 일본어 사동문의 실현 방법과 의미적 특징을 살펴보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동문의 생산 여부와 사 동문 구조에 따른 이해와 관련된 습득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사동문과 관련된 한국어교육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통해 본고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사 동문을 실현 방법과 의미 측면에서 고찰하여 비교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실험 참여자 선정 기준과 연구 절차, 연구에 사용되는 사동문의 생산과 이해에 관련된 문항 설계 원리를 밝히고 수집한 자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 동문 생산과 관련해서 학습자가 높은 비율로 단 형사 동을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사 동문 유형에 따른 이해에 있어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비슷한 이해 양상을 보였다.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내의 상위권 학습자와 하위권 학습자의 사 동문 생산 유형 비교에서는 두 집단 간에 장형사동의 사용과 기타 응답 비율에서 차이가 있었다. 사 동문 유형에 따른 이해에 있어서 또한 상위권 학습자와 하위권 학습자 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사동 문 생산과 이해와의 관계를 통해 학습자가 이해 측면에서 단 형사 동과 직접사동, 장형사동과 간접사동을 연결시켰으나 생산의 측면에서는 장형사동을 생산하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단 형 사동과 장형사동의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간접과 직접 해석의 사용 양상의 차이를 밝혔다. 둘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사동 문 유형에 따른 생산과 이해를 비교하였다. 셋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생산과 이해의 관계 및 습득 양상을 밝혀 앞으로의 사동 교수방법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