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순희-
dc.contributor.author이선아-
dc.creator이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94-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Biologic behavior of breast cancer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hormonal receptor and HER2 status. HER2 amplification in breast cancer has the important predictive and prognostic implication, and is known as poor prognostic factor with negativity of hormonal receptor, high nuclear and histologic grade, and high cell proliferation index. MYC oncogene has a significant role in tumor progression. cMYC has been reported as not only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but also inducing apoptosis in breast cancer. Although cMYC amplification has known as poor prognostic factor in breast cancer, recent data suggested that cMYC co-amplification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is one of promising biomarkers as predictive potential for response to chemotherapy. cMYC co-amplification indicates favorable therapeutic response of trastuzumab because cMYC accelerates apoptosis of cancer cell via blockade of antiapoptotic action of HER2-positive breast cancer by trastuzuamb. The aim of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including patient's outcome according the cMYC status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Methods: We collected 68 cases of HER2 positive breast cancer, and performe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using a LSI cMYC /CEN8/IgH probe on representative paraffin tissue sections. Tumors with a ratio of MYC:CEN8 signals of > 2 were considered cMYC amplified. The results of cMYC co-amplification were compared with TNM stage, ER, PR, p53, MIB-1 index, apoptotic index (AI), and patient's survival.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topoisomerase II alpha (TOP2A) was performed. Results: cMYC co-amplification was found in 29 cases of HER2 positive cancer (42.6%), and 39 cases (57.4%) were not. A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MYC co-amplification group (41.04 vs 29.93) (p=0.023). The other parameters such as tumor size, nuclear grade, histologic grade, nodal status, MIB-1 index, hormone receptor status, p53, overexpression of TOP2A, disease free survival, and relaps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MYC co-amplification. Conclusions: Frequency of cMYC co-amplification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is 42.6% and cMYC co-amplification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I of tumor cells.;유방암은 한국인의 여성암중 2번째로 그 발병빈도가 높은 암으로 종양생물학적인 특성이 다양하며 이에 따라 치료 방향 및 예후가 좌우된다. HER2(또는 ErbB2, c-erbB2, HER-2/neu) 의 과발현은 유방암에서 일반적으로 불량한 예후인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높은 조직등급과 핵등급, 높은 세포증식지수 등과 관련이 있다. cMYC 종양유전자는 여러 악성종양의 증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종양세포의 자멸사(apoptosis)를 유도 또는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유방암에서 cMYC 종양유전자는 세포의 증식과 자멸사에 관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유방암의 나쁜 예후인자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최근 HER2 양성 유방암에서 cMYC 의 동시 증폭이 있는 경우 반대로 화학요법에 의한 세포 자멸사를 촉진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HER2 양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단 클론 항체 표적 치료제인 trastuzumab(Herceptin^(□)) 에 대한 치료 예측인자로서의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는 cMYC 종양유전자의 동시 증폭(National Surgical Adjuvant Breast And Bowel Project (NSABP) B-31)여부를 형광제자리부합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으로 분석하여 HER2 양성 유방암에서 cMYC 종양유전자의 증폭의 빈도를 알아보고 증폭 유무에 따른 종양 세포증식 지수와 세포 자멸사 지수(apoptosis index, AI)를 비롯한 여러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Topoisomerase IIα(TOP2A)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통해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cMYC 종양유전자의 증폭 유무에 따른 예후관련 인자 및 치료예측인자와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침윤성 관암종으로 진단 되어 수술적 절제술을 받고 HER2 유전자 증폭이 형광제자리부합법 분석으로 확인된 68예의 유방암조직을 대상으로 하였다. cMYC 종양유전자의 형광제자리부합법에서의 증폭은 29예(42.6%)에서 있었다. cMYC 종양유전자의 증폭율은 2.0-2.9인 경우가 14예(20.6%), 3.0-3.9인 경우가 5예(7.4%), 4.0-4.9인 경우가 5예(7.4%), 5.0-5.9인 경우가 4예(5.8%), 그리고 6.0인 경우가 1예(1.5%) 있었다. 종양조직에서의 세포 자멸사 지수는 4~141로 평균은40.38 이었다. cMYC 종양유전자의 증폭이 없는 경우 평균 29.93, 증폭이 있는 경우는 평균 41.04로 차이를 보였으며 이 cMYC 종양유전자의 형광제자리 부합법에서의 증폭 유무와 유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반면 세포분열지수나 MIB-1 세포증식지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OP2 A 의 과발현은 cMYC 종양유전자의 증폭이 없는 경우 평균 36.61 이었고, 증폭이 있는 경우 평균 27.93 이었으나 이 두 그룹간 차이의 유의성은 없었다. cMYC 종양유전자의 증폭유무에 따른 병기, 핵등급, 조직등급, 호르몬 수용체 여부, 재발율 및 생존율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HER2 양성 유방암에서 cMYC 종양유전자의 동시증폭이 있는 경우 예후관련 여러 임상 및 병리학적 인자와의 관련성은 없지만 종양세포의 자멸사지수가 cMYC 종양유전자 증폭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은 점으로 미루어 향후 수술후화학 또는 방사선 요법에 대한 좋은 반응을 시사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대상과 방법 = 4 A. 대상 = 4 B. 연구 방법 = 4 C. 통계분석 = 8 III. 결과 = 10 A. 임상적 양상 및 병리조직적 소견 = 10 B. cMYC 종양유전자의 형광제자리부합법적 동시증폭과 임상병리적 특성과의 연관성 = 14 C. cMYC 종양유전자의 형광제자리부합법적 동시증폭과 세포자멸사 지수 및 MIB-1 증식지수와의 연관성 = 19 D. cMYC 종양유전자의 형광제자리부합법적 동시증폭과 TOP2A 발현과의 연관성 = 21 E. cMYC 종양유전자 형광제자리부합법적 동시증폭에 따른 재발 및 생존율 = 23 IV. 고찰 = 28 V. 결론 = 32 참고문헌 = 33 ABSTRACT =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9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HER2 양성 유방암에서 cMYC 종양유전자 동시증폭의 형광제자리부합법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ISH analysis of cMYC oncogene co-ampilification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dc.creator.othernameLee, Sun Ah-
dc.format.pageⅶ, 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