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무용창작작품 레미니슨스 에 나타난 한국미 특성 연구

Title
무용창작작품 레미니슨스 에 나타난 한국미 특성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aesthetics in creative ballet Reminiscence
Authors
김하예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기억이라는 소재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 가능한 인간 고유의 것이라는 보편적인 성격을 지닌다. 반면, 한국적인 것에 대하여 탐색 하는 일은 자국의 특수한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다시 말해, “기억”과 “한국적인” 요소를 통해 보편성과 특수성을 드러낼 수 있음을 뜻한다. 본 논문은 ‘한국적 발레’의 일환으로서 창작된 무용창작작품 <레미니슨스>에 관한 연구이다. 작품 <레미니슨스>는 보편적으로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잠재적 기억(reminiscence)’의 속성을 이미지화 하는데 있어 조선 후기라는 한 시기의 미감을 선택하여 자국의 특수성을 부여하여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적’의 의미를 살펴 본 후, 역사 속에서 상층문화와 하층문화가 처음으로 조화를 이루며 융화되었던 시기이자 현재까지 ‘한국적’인 이미지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 시기라 사료되는 조선후기를 기점으로 잡아 한국 예술미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에 도출된 ‘한국 예술미의 특성’ 중 ‘즉흥성’, ‘역동성’, ‘선의 미’, ‘여백의 미’를 작품분석기준으로 두어 발레창작작품 <레미니슨스>에 대한 이동경로 및 움직임, 음악, 의상 및 소품사용의 측면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내었다. 첫째, 이동경로 및 움직임을 살펴본 결과 엇박을 이용한 움직임과 S자형, 나선형의 동작형태에서 '선의 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손이나 발끝으로 한 점을 찍고 호흡을 통해 선으로 연결시키는 동작들은 점과 선의 조화미를 나타낸 우리 음악, 우리 춤, 붓글씨의 특징과 부합한다. 뿐만 아니라 맺고 푸는 호흡, 동작의 진행과정을 보여주는 움직임은 자연적인 곡선미를 나타낸다. 순간의 악센트를 주어 나타나는 움직임은 그와 대비되어 즉흥적 요소로 작용하고, 아코디언 라이브 연주에 따른 반응 동작에서는 즉흥성이 부각됨을 발견할 수 있다. 약동하는 힘으로 설명되었던 '역동성'은 최대치의 도약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작은 도약들과 바운스 적 움직임에서 나타난다. 역동성은 수축과 이완을 통한 상하의 대비, 높낮이의 급격한 변화, 갑작스러운 정지 동작 등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들은 한국 미의 특징으로 자주 언급되는 흥과도 연결된다. 또한 하수 앞쪽으로 제한된 공간 사용은 무용수의 이동 경로와 연주자의 등장을 무대의 한 곳으로 집중시킨다. 그럼으로써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게 하여 구성적 측면에서의 ‘여백의 미’를 표현하였다. 둘째, 음악에서는 일레트로닉이 결합된 거문고 산조 독주곡과 아코디언 라이브 연주를 통해 여음을 통한 선의 미와 즉흥성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특히 즉흥성은 변주와 평상적인 흐름에 대한 파격인 엇 박의 사용을 통해 드러난다. 셋째, 의상 및 소품 사용의 측면에서는 곡선미와 여백의 미가 나타난다. 소품으로도 이용된 조선 후기 한복의 이미지를 살린 의상에서 선의 연장을 통한 곡선미가 드러난다. 또한 소품으로 이용된 의자는 모든 움직임과 음악사용의 초점이 맞춰진 부분으로, 한 곳으로 시선을 집중시킴으로써 무대의 나머지 공간을 통해 여백의 미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무용창작작품 <레미니슨스>는 이동경로 및 움직임, 음악과 의상, 소품의 이용 등을 통해 보편적인 소재인 ‘기억’을 표현하는데 한국 예술의 미적 특수성을 적용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레미니슨스>를 통해 ‘한국적 발레’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방법을 모색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Memory is a material which has a universal characteristic can be used in the world as an object which belongs to the human beings. Meanwhile, the objective of the exploration about Korean items is to show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both the memory and the Korean items have universal and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about the creative dance work of whose purpose is to express the attribute of the ‘potential memory (reminiscence)’ which is universally given to every human being by providing the special feature of one’s own country. The work is an approach towards the stylized ‘Korean creative ballet’ of today. Among countless Korean items, the aesthetic sens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chosen to express the attribute of memory in images. For such a purpose, the meaning of ‘being Korean’ is observed through the documentary research. The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period when the upper and the lower cultures were harmoniz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and the period that provides people with the true ‘Korean’ images, is regarded as the baseline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 beauty in Korea. Also, among such characteristics, ‘Improvisation’, ‘Dynamism’, ‘Beauty of Line’ and ‘Beauty of Space’ are regarded as the bases for the analysis of the work. With such bases, the creative ballet work of is analyzed in terms of the moving path, the movements, the usage of music, and the usage of clothes and accessories. Through the movements according to the moving path of the dancers,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developing part of the work, the movements of connecting the points marked by the hands or the ends of the toe-shoes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most of the works with the lines through breathing are coincided with the unique beauty of curves in Korea for the marking of points and the connection with lines. It is possible to find ‘the beauty of lines’ through the usage of the S-shaped and the spiral movements shown in the Korean dances. Together with this, through repeated contraction and relaxation shown in the movements which show small and bouncing developments instead of the maximum developments, such things as the comparative movements between up and down, the rapid changes of the heigh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action and relaxation in sudden stopping movements and the ‘dynamism’ which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moving force are expressed. Also, the ‘improvisation’, which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beats that are slightly varied from the normal flow shown in the original Korean music and movements, is shown in the terms of the music used in the work. In particular, improvisation can be found in the movements which use accents and beats that are slightly varied from the original music, the sanjo solos for geomungo combined with electronic features, and the responding musical movements through the live accordion performance. Lastly, it is possible to find the ‘beauty of space’ in terms of the structure, by concentrating all the musicians in one place without decentralizing people’s attention in regard to the movement of limiting the usage of space in the front side and the usage of clothes and accessor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work is expressed by reflect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universal art of Korea such as an ‘impromptu attribute’, a ‘transitional attribute’, a ‘restructuring attribute’ and a ‘continuous attribute’ of the potential memory. Such a creative work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expression of the identity of Korea and the suggestion of the approach towards such an expression, as a part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approach towards the creative development of ballet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