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형중-
dc.contributor.author박지선-
dc.creator박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2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여가행태 및 여가정체성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가족공동체 안에서의 진지한 여가가 갖는 의미를 해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가스포츠참여자 320명을 대상으로 ‘여가정체성’과 ‘가족기능’척도를 이용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295부 이며 자료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교차분석 및 차이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행태, 여가정체성, 가족기능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여가행태의 차이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지속적 참여 기간이 길게 나타났으며 대회에 참여하는 경향이 높았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여가정체성에서 부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가족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 대회참여 경향이 높고, 여가정체성이 부분적으로 높았다. 결혼 유무 및 가족구성에 따라서는 여가행태와 여가정체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족기능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여가행태에 따른 여가정체성과 가족기능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기간은 여가정체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참여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동일시와 존중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참여빈도는 월4회 이상인 경우 여가정체성이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참여기간과 빈도 모두 가족기능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회참여 유무에 따른 여가정체성과 가족기능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회에 참가하는 경우 여가정체성은 높았으나 가족기능에서는 부분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여가공간거리에 따라서는 여가정체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가족기능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여가행태 및 여가정체성과 가족기능의 관계를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가행태가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과 참여빈도 대회참가는 여가정체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빈도가 많고 기간이 길수록 동일시가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특히 대회 참여는 존중감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여가행태 및 여가정체성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회참여가 가족응집력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여가공간거리 정도가 가족응집력과 가족규율적응력에 부적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대회에 참여하고 여가공간거리가 멀수록 가족기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여가행태가 여가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그들의 여가행태와 여가정체성은 가족기능에 부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되었다. 이는 여가행태의 특정한 경향을 보이는 개인에게 있어서는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이 밝힌 가족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여가활동 요인이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음을 증명하며, 그들을 위한 가족적 여가활동의 개선안이 필요함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serious leisure within family by examining effects of leisure style and leisure identity on family fun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questionnaires using scales of 'leisure identity' and 'family function' were administered to 320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and total 295 papers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primary data analyses used in this study were cross tabulation,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ithin limitations,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major finding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leisure style, leisure identity and family fun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serious leisure.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of leisure style by sex distinct, men participated in serious leisure longer than women and their tendencies to join a competition were higher than women. Also, men had higher leisure identities than women in identific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family function between men and women. Among all age groups, people in 40's had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competition and their leisure identities were higher than other ages. In addition,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tyle and leisure identity according to marriage and family compos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Second, there was difference on subfactor in leisure identity and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leisure style of participants in serious leisure. Concretel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period according to leisure identity and especially, people with more than 10 years of participation period had the highest levels in identification and esteem. People, who participated in serious leisure over 4 times per month, had the highest leisure identities, but neither of participation period and frequenc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Leisure identity and family function by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had all significant differences, and people, who joined the competition, had higher leisure identities, but their family functions were relatively lower. Leisure identity by leisure space distance had no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Third, the results of relationship among leisure style, leisure identity and family function of participants in serious leisure are as following; In effects of leisure style on leisure identity, participation period and frequency and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leisure identity and as participation frequency was higher and its period was longer, identification of participants was improved.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stee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s of leisure style and leisure identity on family function.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family cohesion and leisure space dist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rule adaptability as well. Therefore, the researcher came to a conclusion that as participation period in competition and leisure space distance are longer, family function decreases. Through results above, effects of leisure style of participants in serious leisure were examined and it was identified that leisure style and leisure identity of participants had negative effects on family fun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are another factors having negative effects on family function, except for factors of leisure activity having positive effects on it, which previous studies have verified and they are able to be used as sources to suggest that improvements of family leisure activity are required for participants in serious leis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연구 모형 = 6 D. 용어의 정리 = 7 E. 연구의 제한점 = 9 Ⅱ. 이론적 배경 = 10 A. 진지한 여가 = 10 B. 여가정체성 = 13 C. 가족기능 = 16 Ⅲ. 연구방법 = 21 A. 조사 대상 = 21 B. 측정 도구 = 23 C. 조사 절차 및 자료 처리 = 2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8 A.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행태, 여가정체성 및 가족기능의 차이 = 28 B.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여가행태에 따른 여가정체성 및 가족기능의 차이 = 37 C. 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여가행태, 여가정체성, 가족기능의 관계 = 41 Ⅴ. 결론 및 제언 = 45 A. 결론 = 45 B. 제언 = 48 참고문헌 = 49 부록 = 54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60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진지한 여가참여자의 여가행태 및 여가정체성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Leisure Style and Leisure Identity on Family Function as perceived by Korean Participants in Serious Leisure-
dc.creator.othernamePark, Ji-Seon-
dc.format.pageⅳ,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과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