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김송이-
dc.creator김송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07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2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0755-
dc.description.abstractModernism in the 1930s that emerged in the historic confusion looked for new forms and experimental techniques differentiated from realism, which put forward the criticism of political realities. Avoiding Japanese imperialism that suppressed the freedom of creation, Korean modernism in the 1930s covered up contents related to social and political issues under the duality of narration. This was a method that reflected the writer's ideology while keeping it unnoticeable in the text. Contents latent in a work through the layered structure of duality are not lost but their meanings are recovered through the formative technique chosen by the writer. Linguistic and technical experiments observed in modernist works were attempts to convey despair at resistance consciousness against the realities in those days.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indirect reality criticism that modernism novels in the 1930s attempted through dual semantic structure in the narration of contents using the works of Lee Sang, Park Tae won and Choi Myeong ik, and then discusses form as a technique for implementing duality and a method of recovering meanings hidden by the writer. Implementing in literary works duality, which can be interpreted equivocally rather than exposing assertive resistance consciousness in the narration of contents, was a method for modernists to express resistance indirectly in the situation of the 1930s when Japanese imperialism promoted the assimilation policies in a full scale. In his narrations, Lee Sang carried his dual consciousness of reality through a love relationship, which is the only human relation that the subject forms. The relation between the hero and the women is failure and deception. Realizing that the love relationship, which has been the only channel of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s in fact based on falsehood suggests that the realistic logic represented by the women is also nothing but falsehood, and this divides the character's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 desire. However, the deceptive relationship in Lee Sang's novels is itself an intended device, and the subject who seems to be deceived and despair, in fact, chooses to be deceived voluntarily. The mutual deception also indicates that the real world is also maintained by the dominant order of deceiving and betraying. The deceiving women make the hero disappointed with the absence of trust, but the fact that he becomes able to make a rational and conscious judgment in the outing that the hero ventures as impelled by the women is another indication of duality that modernity represented by the women has. Park Taewon develops his narrations from a view of a stroller who wanders around a city and, in the process, he depicts danger and poverty hidden behind the outward splendor of a modern city. The modern and urban life in the 1930s makes the subject experience the dilemma of attraction and disillusion. Chosun people who were fascinated with the modern look built by Japanese imperialism realize that it is a product of colonizer Japanese imperialism and they cannot help being modern others as long as they are under the system. Furthermore, the duality of narrations in Park Taewon's novels is revealed also by the character's desire for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 hero in Park Taewon's novel fails or refuse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others as an extension of his rejection of vulgar daily life. However, inside the man is a disguised desire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e figure's two-sided attitude as such arises because although others rejected by the subject show a vulgar attitude they are still Chosun people who are colonial modern others like the hero and therefore the hero cannot shake off the sense of homogeneity and compassion completely. In Choi Myeong-ik's novels, the tempting aspect, need and expectation of modernism as in the works of Lee Sang and Park Taewon are all removed, and modernity appears only as background for intellectuals to live decadently with losing their faith. To Choi Myeong-ik, duality is less a response accepting modernization than ambivalence in the inner conflicts of intellectuals looking at the realities flooded with urban and Western values. In Choi Myeong-ik's narrations, the realities are not healthy but combinations of pathological elements. Revealing abnormalities or morbidities in his narrations is the writer's attempt to metaphorize the realities in his days that were suffering malformed modernization. Despite the writer's resolute negative eye to the realities in his works, Choi Myeong-ik's novels bear duality because the hero reflects on himself through the mirrors of the modern decadent realities and others who adjust themselves to the realities and lead a common life. Through this process, furthermore, the character maintains pride and fastidiousness as an intellectual. Ironically, the sick realities provide a possibility that the intellectual may recover his health of ideology and will. The duality of contents as presented above is an indirect way of giving shape to the writer's consciousness without exposing linear politics on the surface of literature while avoiding fascist control. The attempt of this method is resistance that pretends compliance. Formative and technical attempts that reveal duality not only describe the negative features of the realities that the writer wants to disclose effectively in literature but also play the role of recovering political meanings hidden behind the texts. In his works, Lee Sang professes rationality outwardly by unfolding the world view of irony, but gives shape to modern duality full of 'disharmony' inwardly. Irony is an expression of contradictions in the realities but is not limited to the enumeration of contradictory emotions or unrealistic events or skepticism about the realities because the hero represented by 'I' in the novel is identical with or very close to the writer 'Lee Sang.' The projection of the writer's image on the character of his work implies that 'ironies' in the work are the expressions of the writer's distrust in and resistance to the realities. Park Tae-won introduced non-chronological structure in his writings in order to disclose the fragmentality and destroy the logic of identity. Techniques such as montage, collage and spatialization of time give the effects of cracking the concept of time that leads modernism and transcribing the traces of the realities in the narration as they are. The enumeration of fragmentary pieces of reality in the text is an attempt to depict the realities on those days that were fragmented with having lost human relations and traditional values of society. Furthermore, Park Tae-won shows the process that the fragmentary traces of reality in his novel are transformed into literature by suggesting the writing method of 'modernology.' This implies that reality may not remain as destroyed pieces but the pieces may be gathered and become another product of resistance consciousness. In order to reveal the colonial realities and the consciousness of ideal intellectuals indirectly, Choi Myeong-ik introduced various symbolic devices in his works. Symbols in the novels reflect negative perception of the colonial realities and wariness against intellectuals' adaptation to the realities. The message that Choi Myeong-ik wants to tell here is that intellectuals should keep their pride and fastidiousness, and it is underlaid with the writer's consciousness that literature enables resistance against the oppressive realities. Modernism literature was the product of a new agony in the literary circle during the 1930s, that is, 'how' to avoid oppression on creative activities and deliver contents. It was an effort to get away from conventional linear suggestion of contents and convey what the writer wants to tell intentionally to the readers without exposing it on the surface of text. What is more, the modernist style respected literature not as a political instrument but as an art with autonomy and, at the same time, projected the realities in the aesthetic structure. Through this, it expanded the meaning of literature while maintaining its uniqueness. After all, modernism in the 1930s was an intelligent resistance strategy for spreading messages through a new and fresh form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 value of literature itself. Accordingly, the linguistic experiment and formative attempt of modernism was not simply 'a technique for technique' but a search for so-called 'aesthetic resistance', that is, giving shape to resistance to the social realities in those days not through the content but through the form.;1930년대는 일제에 의한 조선의 식민화와 근대화가 진행되는 역사적 혼란 속에, 문단에서도 카프(KAPF)의 해체와 리얼리즘 문학의 침체, 구인회의 결성과 모더니즘의 성장이라는 복합적인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1930년대 모더니즘은 정치적 현실비판을 표면에 내세운 리얼리즘과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형식과 실험적 기법들을 모색하였다. 모더니즘의 형식을 지향하는 특성은 오랫동안 시대적, 현실적 의식이 결여되어 있다고 평가 받으며 리얼리즘의 반 대항 으로 설정되게 한 요인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리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그 발전 과정에서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리얼리즘 문학은 공통적으로 동일한 식민지 근대의 현실을 바탕으로, 서로 영향을 주며 각자의 관점을 조정해 나갔다. 모더니즘은 리얼리즘 문학처럼 작품 표면에 현실비판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새로운 표현기법을 통해 시대에 대한 첨예한 인식을 숨기고 우회적 저항을 시도한다. 이러한 우회적 현실비판을 위해 모더니즘은 내용과 형식의 결합에 천착하고 이를 통한 메시지 전달에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은 창작의 자유를 억압한 일제의 간섭을 피해 사회적, 정치적 제문제의 내용을 서사의 이중성 속에 숨긴다. 그리고 이중성의 겹의 구조를 빌어 작품 안에 잠재되어 있던 내용은, 그대로 침잠되지 않고 작가가 선택한 형식적 기법을 통해 그 의미가 복원된다. 본 연구는 이상, 박태원, 최명익의 작품을 통해 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이 내용적 서사 안에서 이중적 의미구조를 통해 우회적인 현실비판을 시도한 양상을 살펴보고, 이어 이러한 이중성을 구현하는 방식이자 작가가 숨겨둔 의미를 회복시키는 방법으로서의 형식을 고찰한다. 이상은 자신의 서사에서 주체가 형성하는 유일한 인간관계인 애정관계 속에 현실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담아냈다. 주인공 인물과 여성들과의 관계는 실패한 것이고 기만적인 것이다. 유일한 외부 소통의 통로였던 애정관계가 사실은 거짓을 기반으로 한 것임을 깨닫게 되는 것은, 상대 여인들이 표상하고 있는 현실논리 또한 거짓에 다름 아님을 시사하고, 인물의 현실 인식과 욕망을 분열시킨다. 그러나 이상 소설의 기만적 관계는 그 자체가 의도된 장치로, 속고 절망하는 것처럼 보이는 주체도 사실은 자발적으로 속아 넘어가기를 택한다. 이러한 상호 기만의 방식은 현실의 세계 또한 속이고 배신하는 지배적 질서에 의해 유지되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속이는 여성들은 주인공에게 신뢰의 부재에 대한 실망감을 안겨주지만, 이 여성들을 계기로 감행한 외출을 통해 주인공의 이성적이고 의식적인 판단이 가능해진다는 점은 이중적 해석이 가능한 또 하나의 부분이다. 박태원은 도시를 배회하는 산책자의 시선으로 서사를 전개하고, 그 과정에서 근대 도시의 외형적 화려함과 이면에 숨겨진 위험과 빈곤을 그려낸다. 일제에 의해 만들어진 근대의 모습에 매혹되었던 조선인들은, 매혹될수록 그것이 식민주체인 일제에 의해 생산된 것이라는 점과 또한 그러한 체계 안에서는 언제까지고 근대의 타자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또한 박태원 소설 속 서사의 이중성은 타인과의 소통에 대한 인물의 욕망에서도 드러났다. 박태원 소설의 주인공은 속물적 일상에 대한 거부의 연장으로, 타인과의 관계 맺기 역시 실패하거나 거부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인물의 내면에는 타인과 소통하고 싶은 욕망이 위장되어 있다. 이러한 인물의 양면적인 태도는 주체가 거부하게 되는 상대인물이 비록 속물적 태도를 보일지라도, 그 역시 주인공과 같은 식민지 근대의 타자인 조선민족이라는 점에서 비롯된 동질감과 연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명익의 소설에서는 이중성은 근대화를 받아들이는 반응이라기보다는, 도시적이고 서구적인 가치들이 이미 만연한 현실을 바라보는 지식인의 내적 갈등 안에서의 이중성이 드러난다. 최명익의 서사에서 현실은 건강하지 못하고, 병리적인 요소들의 조합이다. 작가가 서사에서 비정상이나 병리 성을 드러내는 것은 기형적인 근대화를 겪고 있던 당대 현실을 비유하고자 함이다. 작중 현실에 대해 작가가 견지하는 확고한 부정적 시선에도 불구하고 최명익의 작품이 이중성을 지니는 것은 주인공이 근대의 퇴폐적인 현실상과 그에 적응하여 시정인이 된 타인들을 거울로 삼아 자신을 반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인물은 지식인으로서의 자존심과 결벽성을 유지하게 된다. 병든 현실이 역으로 지식인 주인공이 이념적, 의지적 건강을 되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내용적 이중성은 단선적인 정치성을 문학 표면에 드러내지 않고, 파시즘적 통제를 피해 작가의 의식을 형상화하는 우회적 방식이었다. 이는 순응을 가장한 저항이라 할 수 있다. 이중성을 드러내는 방식으로서의 형식, 기법적 시도들은 작가가 그려내고자 하는 현실의 숨겨진 부정적 면모를 문학 안에 효과적으로 그려내는 것 외에도, 작가들이 텍스트 이면에 숨겨두었던 정치적 의미들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은 자신의 작품에서 아이러니의 세계 인식을 펼쳐, 겉으로 합리성을 표방하면서도 그 내면은 '부조화'로 가득 차 있는 근대의 이중성을 형상화했다. 아이러니가 현실의 모순에 대한 표현이면서도, 모순적 감정이나 비현실적 사건의 나열, 혹은 현실에 대한 회의의식만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소설에서 '나'로 나타나는 주인공이 작가 '이상'과 동일시되거나 매우 가깝기 때문이었다. 박태원은 현실의 파편 성을 드러내고 동일성의 논리를 파괴하기 위해 비연대기적 구성방식을 창작에 도입했다. 몽타주, 콜라주, 시간의 공간화 등의 기법은 텍스트 안에 현실의 부분적 조각들을 그대로 나열하는 것으로, 인간적 유대와 사회의 전통적 가치를 잃고 파편화된 당대의 현실을 묘사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박태원은 소설 속에 '고현학'의 창작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소설 속 현실의 파편적 자국들이 문학으로 치환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는 현실이 파괴된 조각으로만 머물지 않을 것이며, 그 조각이 모여 또 다른 저항의식의 산물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최명익은 식민지 현실과 이상적인 지식인의 의식을 우회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다양한 상징적 장치를 작품에 등장시켰다. 소설 속 상징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지식인들이 그러한 현실에 적응해가는 것에 대한 경계 의식을 반영한다. 모더니즘 문학은 1930년대 문단 상황에서 창작활동에 가해지는 억압을 피해,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새로운 고민의 결과였다. 이는 기존의 일차원적인 내용 제시로부터 벗어나, 작가가 의도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를 텍스트 표면에 드러내지 않고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또한 문학을 정치적 도구가 아닌 자율성을 가진 예술로 존중하되, 그 심미적 구조 안에 현실을 투영하는 모더니즘의 방식은 문학의 고유성을 지키면서도 그 의의를 확장시켰다. 결국 30년대의 모더니즘은 문학 자체의 심미적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새롭고 참신한 형식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지능적인 저항전략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모더니즘의 언어적 실험과 형식적 시도는 단순한 '기교를 위한 기교'는 아니었으며, 당대 사회적 현실에 대한 저항을 내용이 아닌 대신 형식을 통해 형상화하는 것 이른바 '미적 저항'을 모색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6 Ⅱ.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의 이론적 전개 16 A.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연관관계 16 B. 식민지 근대의 이중성과 모더니즘 25 Ⅲ. 사회적 내용을 통한 식민지 근대의 재현 32 A. 연애의 서사와 기만의 이중성 : 이상 32 B. 산책의 서사와 외출의 이중성 : 박태원 46 C. 질병의 서사와 건강의 이중성 : 최명익 61 Ⅳ. 형식적 기법을 통한 정치성의 은폐와 복원 78 A. 아이러니의 기법과 작가의 자기 노출 : 이상 78 B. 비연대기적 구성과 창작 과정의 제시 : 박태원 90 C. 상징적 장치의 사용과 문학의 저항성 암시 : 최명익 101 Ⅴ. 결론 114 참고문헌 118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42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30년대 모더니즘 소설의 이중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Dualism in 1930s Modernism Literature-
dc.creator.othernameKim, Song-Yi-
dc.format.pagevi,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