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악화 관련 인자 분석

Title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악화 관련 인자 분석
Other Titles
Multi-factor analysis in predicting decline of IADL in Alzheimer's disease
Authors
양혜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지향
Abstract
치매는 뇌의 기능적 이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지 기능의 악화와 이로 인한 일상생활의 장애를 보이는 퇴행성 질환으로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이며 초기부터 기억력의 장애를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기억과 관련된 구조물인 내측두엽의 위축이 치매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며 질병의 초기부터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인지기능 장애와 함께 부양자들이 느끼는 실제적인 부담의 증가는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악화에 따른 보호자 의존도 증가와 관련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악화와 관련된 인자를 밝히고 질병의 진행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 치매를 진단받은 환자에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변화를 추적 관찰하여 수행능력 악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 치매의 진행에 대한 예측 및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의 목표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5년 이후 이대목동병원 치매센터에 내원하여 진단 당시 뇌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고 현재까지 외래추적 관찰되며, 2회 이상의 신경인지검사를 시행한 32명의 환자들로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3.3±8.8세,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10:22,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2±0.9년 이었다. 일차 검사시의 각 항목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단시의 일상생활 수행능력(IADL)을 반영하는 것은 전반적인 병의 임상정도인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CDR 총점(sum of box), 언어적 기억력, 행동심리증상(CGA-NPI) 및 좌측 내측두엽 위축과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차 검사와 추적 관찰 전후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는 일차 검사시의 치매임상평가척도(CDR)가 낮을 수록, 시공간 능력과 전두엽 기능의 저하정도, 우울감이 심할 수록, 그리고 발병연령이 낮고 교육기간이 짧을 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악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반해 진단 당시 시행한 뇌자기공명영상 검사상 관찰된 내측두엽 위축은 일차 검사시의 기억력, 일상생활 수행능력악화와 치매임상평가척도에는 영향을 미치나 이후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악화와 연관성은 없었다. 본 연구의 장점은 임상적 알츠하이머병환자를 종적으로 관찰하여 일상생활 기능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사회인구역학적, 인지기능학적, 이상행동학적 및 해부학적으로 한국에서는 최초로 조사했다는 점으로 환자들이 첫 병원 내원 당시의 치매임상평가척도와 행동심리증상점수 등이 향후 악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대상자 수가 적다는 점과 추적 관찰한 기간이 비교적 짧다는 점이 있으므로 추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적 관찰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Background Alzheimer’s disease (AD) is an acquired impairment in memory and other cognitive abilities produced by brain dysfunction, that is sufficiently severe to interfere with daily functioning. Memory impairment is the clinical hallmark of early stage AD. The medial temporal lobe is important for memory integrity, and medial temporal structures are the earliest and most extensively involved brain areas. In addition to intellectual impairment, executive functioning a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patients with dementia. In actually, the burden on caregiver of patients with dementia is correlated with patients’ dep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neuropsychologic factors and ADL decline, to find out which factors would be significant in predicting ADL decline rate, at initial evaluation and to evaluate effects of medial temporal lobe atrophy on ADL decline. Methods Thirty two subjects who met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probable AD were recruited from the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All participants were received standar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t baseline and two or more follow-up, and we analyzed the data retrospectively. Each subject underwent MRI examination of the brain at the time of the baseline clinical assessment. We evaluated the clinical dementia state of patients in terms of cognitive function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nd the AD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DL decline rate; less than 1 point/year as non-progressed (nP) group and more than 1 point/year as progressed (P) group.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for AD was 73.3±8.8 year-old, mean duration for follow-up was 2.2±0.9 years, and average change of S-IADL was 6.1±4.6 points. Factors correlated with S-IADL at baseline wer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memory, left temporal lobe atrophy, and neuropsychiatric inventory-total score. In other hand, subjects in the nP group showed low SNSB-D score, especially frontal lobe and visuo-spatial function at baseline (p=0.02) than P group. And low educational period, younger age, depression, and lower initial K-MMSE (Korean-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score were risk factors for rapid ADL decline,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Medial temporal lobe atrophy (MTA) was more severe in patients with low ADL function and memory impairment. But, there was no impact of baseline MTA to ADL function in NP group and P group.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DL functional decline and baseline MTA bu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TA and memory impairment, ADL function at baseline. In addition, decline of ADL function was correlated with low educational period, clinical disease progression and memory impair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