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거문고 연주자의 음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거문고 연주자의 음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about the substance of musical experiences through professional musicians' playing 'Geomun-go' a Korean six-stringed zither
Authors
심헌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거문고 연주자의 음악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문고가 하나의 전통악기로써 가지고 있는 치료적 힘과 그 기능을 발견하기 위하여 거문고 연주자가 거문고 연주를 통해 느끼는 정서와 감정 등 전반적인 음악 경험에 대해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그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전통악기인 거문고 연주 경험에서 어떠한 치료적 의미가 있는지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여러 전통악기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별히 선율을 만들 수 있으면서도 타악기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거문고를 연주하는 전문 연주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거문고 연주 경력이 10년 이상인 대상자 8명중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택하였다. 참여자들의 나이는 26세에서 47세까지 평균 30.3세, 연주 경력은 처음 악기를 접한 시기를 시작으로 10년부터 30년까지 평균 16.3년 이었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1:1 심층 면담을 위해 전공지도교수 1인의 도움을 받아 심층면담의 질문내용을 여러 차례 수정 보완하였으며, 6명의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Giorgi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의해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거문고 연주자의 음악 경험에 관하여 다음 3가지의 구조 영역에서 총 11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첫째, 거문고를 전공으로 선택하게 된 동기의 구조에서는 (1) 악기 소리와 음색 등에 의한 자극으로 자기 스스로의 선택 (2) 타인의 권유로 자연스럽게 거문고 악기를 선택하게 된 경우로 총 2가지의 동기 구조를 가진다. 둘째, 거문고 연주를 통한 개인 내적 음악경험에서는 (1) 거문고의 음색에 의한 긍정적 경험, (2) 거문고의 연주기법에서의 긍정적 경험, (3) 거문고 연주할 때 몰입의 경험, (4) 거문고 연주를 통한 정서적 정화의 경험, (5) 거문고 연주를 통한 음악적 호흡 경험, (6) 무대 연주를 통한 정서적 만족감 경험, (7) 거문고 연주를 통한 사회적 교류 경험을 한 것으로 총 7가지 개인 내적 음악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 밖의 거문고 연주를 통한 경험의 구조로 (1) 거문고 연주를 통해 융통성을 배웠으며, (2) 전반적인 음악에 대한 지적인 욕구를 가지는 등 거문고 연주를 통한 그 밖의 경험으로 총 2가지의 경험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거문고’라는 우리나라 전통악기 연주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다양한 음악경험이 인간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였으며, 특히 거문고의 음색이나 연주기법에서 느낄 수 있었던 편안함, 차분함, 통쾌함, 애절함 등과 연주를 통한 몰입의 경험, 부정적 감정과 정서의 정화, 거문고 연주를 통한 음악 경험이 궁극적으로 개인의 삶의 질과 자아의 성장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치료적 기능으로써의 논거를 뒷받침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과거 한국 전통악기가 한국인의 정서와 어울릴 것이라는 일반 통념을 배제하고 거문고 연주자들이 직접 느끼고 체험한 현상에 대해 집중 조명하여 얻은 결과로써 심리 치료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bstance of musical experiences through professional musicians’ playing Geomun-go a Korean six-stringed zither. 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overall musical experience such as emotion and feeling which can be felt by playing the Geomun-go to find the healing power and its function as a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moreover, I tried to review what kind of therapeutic meaning from the experience of playing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Geomun-go. For this purpose, I took some professional musicians of Geomun-go characteristic of especially producing various melodies to be principal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nd 6 out of the 8 who have been playing it more than 10 years, revealed their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The age of participants, ranging from 26 to 47, is 30.3 years old on average, and their record of playing is 16.3 years on average, ranging from 10 to 30 with the starting point as when they met Geomun-go for the first time. To prepare for a list of questions to be given each of them in the time of an in-depth interview, one of academic advisers helped me modify and complement it several times; and to analyze the data from those 6-time interviews, I follow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ical approaches of Giorgi. The result of analyses of the data revealed that it is possible to draw out of musical experiences of the Geomun-go musicians the following 3 structural arenas and 11 constituents as sub-arenas of the 3; (1) In ‘the reason why they chose Geomun-go as a professional field’, there are: (a) one’s own decision mesmerized by its sounds, (b) from recommendation from other such as an teacher or one of parents. (2) In a question of 'what they experience internally through playing Geomungo' there are: (a) diverse emotional feelings as clam, pathetic, cool, extremely delightful, cathartic, etc., (b) certain emotional feelings as placid, relaxed brought about by Geomungo’s unique tone, (c) ecstatic experiences such as a sense of identification of oneself with Geomun-go or pouring oneself totally into it, (d) cathartic experiences such as the relaxation and clearing-up of negative sentiments and feelings through concentration on playing Geomun-go with being recharged by it, (e) musical esthetical experiences such as a feeling of a musical equilibrium and of balance through breathing in accord with playing it, (f) sentimental support and satisfaction through plying on the stage, (g)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social connections with others. (3) In 'the additional musical experiences' there are: (a) to learn flexibility through playing Geomun-go and, (b) intelligible needs for music. As the result indicates, it is not impossible to insist that playing Geomun-go a Korean six-stringed musical instrument could provide musicians with various musical experiences positive to humane sentiments, and in particular that musical experiences taken play by Geomun-go’s tones and its performance techniques such as calmness, placidity, extreme delightfulness, mournfulness, and catharsis of negative feelings and sentiments, etc. could be useful for a musical therapeutic way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an individual live and its growth as quite a reasonable basis of an argument. As a last, this is the result of focusing on the phenomena that Geomun-go musicians experience firsthand when playing it with no regard to the past general opinion that the Korean goes well with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I think this new insight as very meaningful to the aspect of music psychotherapeutic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