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채영주-
dc.creator채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610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2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1023-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olite expressions used in business and usual life situation, and to investigate features of Korean polite expressions for business talks. In addition, by comparing polite expressions used by native Korean and foreign Chinese students, a guidance for educating Chinese students was provided.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for the survey were consisted of Korean business people (55) and Chinese students (110) who we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y and in education system. DCT method was used when collecting data for investigating polite expressions. This thesis was consisted of five chapters. In chapter I,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was provided; as well previous researches for Korean polite expressions were explored. In chapter Ⅱ, definition of polite expression, strategy for polite expression, relationship of Korean honorific rule with polite expression, and degree of politeness were presented. In chapter Ⅲ, guinea pigs and method for experimental survey, request situation for business conversation, and frame for analyzing "degree of politeness", "politeness strategies", and "reason expressions for politeness" were described. In chapter Ⅳ,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degree of politeness", "politeness strategies", and "reason expressions for polite"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respective request situations. In chapter Ⅴ, conclusion of this research was described.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analysis of "degree of polite", native Korean has more frequently used polite expressions in official conversation rather than in personal one; native Korean has used simple and less polite languages in personal conversation. When comparing foreign Chinese students with native Korean, Chinese students have used monotonous and less polite languages in official conversation; but two groups have shown similar degree of polite in personal conversation. Second, from analysis of "politeness strategies", native Korean has more frequently used "reason expression strategy" in official conversation, but they have frequently used "name call strategy" in personal conversation. When comparing two groups, Chinese students have rarely used "passivity linguistic expression", which was frequently used by Korean in official conversation. Difference of two groups in "politeness strategies" in personal conversation was negligible. Third, from analysis of "reason expression strategy", native Korean was used to indirectly express reasons in official conversation, while in personal conversation, they frequently use languages that have meaning of reasons. When comparing two groups, Chinese students were used to directly express reasons in official conversation, while two groups did not show noticeable difference in personal conversation. Based on analysis of experimental survey data, there was difference in polite expression when Korean business people use it in official and personal conversation. When comparing native Korean with foreign Chinese students, there was noticeable difference in polite expressions, especially for business conversation. Based on the results, necessity of education for polite expressions in business conversations to Chinese students was suggested. By comparing polite expressions used by native Korean and foreign Chinese students, polite expressions that Chinese students have to keep in mind when doing business conversation with Korean were provided.;본 논문에서는 한국 직장인이 비즈니스 대화에서 사용하는 공손 표현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공손 표현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비즈니스 대화에서 사용하는 공손 표현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가 사용하는 공손 표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에게 일상생활과 구별되는 비즈니스 대화에서의 공손 표현을 가르치도록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실험 참여자는 한국 직장에 근무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과 국내 대학의 언어 교육 기관 또는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 학습자 집단 각각 55명, 총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 방법은 DCT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공손 표현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공손 표현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서, 본 논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공손 의 정의와 공손 표현 전략, 한국어의 경어법과 공손 표현의 관계, 공손 의 정도 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실험 대상과 실험 방법을 기술하였고, 본 실험을 위한 비즈니스 대화의 요청 상황 개요를 설정하였으며, 공손 의 정도, 공손 전략, 이유 제시 표현의 분석을 위한 분석의 틀을 각각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로 공손 의 정도, 공손 전략, 이유 제시 표현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공손 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는 공적 대화에서 사적 대화보다 공손 의 정도가 높은 표현을 자주 사용하였고, 사적 대화 에서는 공적 대화에 비해 단조롭고 공손 의 정도가 낮은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두 집단의 비교에서는 공적 대화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사용한 공손 표현이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공손 의 정도가 낮았고 표현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했다. 사적 대화에서는 두 집단이 사용한 공손 표현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공손 전략을 비교한 결과는 한국어 모어 화자는 공적 대화에서 이유 제시를 자주 사용하였고, 호칭 부르기는 사적 대화에서 자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비교에서는 공적 대화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자주 사용한 화자, 청자 피하기1(피동)을 중국인 학습자는 거의 사용하지 않아서 대조를 보였다. 사적 대화에서의 공손 전략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이유 제시 표현의 비교 결과는 한국어 모어 화자는 공적 대화에서 간접적으로 이유를 제시하는 표현을 자주 사용하였고, 사적 대화에서는 이유의 의미를 가진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비교에서는 공적 대화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직접적으로 이유를 제시하는 표현을 사용하여서 차이를 보였지만, 사적 대화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가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직장인이 사용하는 공손 표현이 비즈니스 대화와 일상생활 대화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실제 조사를 통해 밝히고, 중국인 학습자의 공손 표현과 한국인의 공손 표현을 비교, 분석하여 두 집단이 사용하는 공손 표현이 특히 비즈니스 대화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에게 공손 표현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일상생활과 다른 비즈니스 대화에서의 공손 표현을 가르쳐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공손 표현을 비교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가 비즈니스 대화를 위해 주의를 기울여 학습해야 할 공손 표현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이 의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선행 연구 검토 4 1. 한국어 공손 표현과 다른 언어권의 공손 표현 비교 연구 4 2. 한국어 공손의 정도성에 관한 연구 6 II. 이론적 배경 8 A. 공손의 정의와 공손 표현 전략 8 B. 한국어에서의 공손 표현 13 1. 한국어의 경어법과 공손 표현 13 2. 한국어 공손 표현의 의미와 공손의 정도성 14 III. 연구 방법 18 A. 예비 실험 18 1. 실험 대상 18 2. 실험 방법 19 3. 실험 결과 및 본실험에의 적용 20 B. 본실험 21 1. 실험 대상 21 2. 실험 방법 22 3. 분석의 틀 25 IV. 연구 결과 분석 30 A. 공손의 정도 분석 30 1. 전체 상황에서 집단 간 공손의 정도 비교 30 2. 공적 대화와 사적 대화의 공손의 정도 비교 32 B. 상황별 공손 표현 전략 분석 38 1. 전체 상황에서 집단 간 공손 표현 전략 비교 38 2. 공적 대화와 사적 대화의 공손 표현 전략 비교 39 3. 다른 요인에 의한 공손 표현 전략 비교 42 C. 이유 제시 전략에 사용된 표현 비교 46 1. 전체 상황에서 이유 제시 표현의 집단 간 비교 46 2. 공적 대화와 사적 대화의 이유 제시 표현 비교 48 D. 부담도와 공손도 52 1. 부담도 52 2. 공손도 54 V. 결론 56 참고문헌 59 부록1. 공손 표현 사용 양상 조사:한국어 62 부록2. 공손 표현 사용 양상 조사:중국어 69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57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요청 대화에 나타난 공손 표현 사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Polite Expressions in Request Conversation-
dc.creator.othernameChae, Young-Joo-
dc.format.pagei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