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 집단 응집력 비교

Title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 집단 응집력 비교
Authors
김희수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을 알아보고,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교사의 응집력이 어떻게 달라질 것이라는 가정 아래 교사들의 배경요인과 학교의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 보고, 각각의 요인별로 의사소통과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및 상호 영향력이 어떠한지 분석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세운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어떠한가? 1-1 교사 변인(성별, 경력)에 따른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어떠한가? 1-2 학교 변인(유형, 규모)에 따른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어떠한가? 2. 초등 교사가 지각한 교사들의 집단 응집력은 어떠한가? 2-1 교사 변인(성별, 경력)에 따른 교사집단의 집단 응집력은 어떠한가? 2-2 학교 변인(유형, 규모)에 따른 교사집단의 집단 응집력은 어떠한가? 3.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교사들의 집단 응집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사의 집단 응집성의 하위 요소를 확인하고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하여 설문지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문항 수정 후에 최종 설문지를 작성하여 서울시 소재의 학교의 24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오프라인 조사를 병행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과 응집력에 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집단 응집력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일원 배치 분산 분석(One-Way-ANOVA)을 이용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cheffe통계량으로 계산된 ANOVA 사후 검정을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집단 응집력은 ANOVA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지원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형 다음으로는 배려형, 감정형, 지휘형 순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 의사소통 유형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학교 설립 유형에서만 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진다고 보여졌다. 둘째, 초등 교사가 지각한 교사 집단 응집력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성별과 교사의 경력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즉, 남자교사가 여자 교사보다 집단 응집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10년 이상의 교사가 10년 이하의 교사에 비애 집단 응집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과 집단 응집력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지원형의 의사소통 유형의 교감이 감정형, 지휘형, 사려형의 의사소통 유형의 교감보다 높은 교사 집단 응집력을 이끌어 내고 있음이 보여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은 지원형, 배려형, 감정형, 지휘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관계의 조정자로서 교감은 좋은 경청자로서, 교사들에게 따뜻하게 대하며, 심사 숙고 하는 지원형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감이 의사를 결정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보다는 의견을 모으고, 결정을 얻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들이는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음을 시시하고 있다. 또한 사립초등학교의 경우에는 종교 등과 같은 정해진 학교의 설립 목표를 가지고 선별된 교사들은 이동이 적으며, 오랫동안 함께 생활해 오기에 조직을 통제하고, 인간관계에서도 공식적인 접근을 주로 하는 지휘형의 교감이 더 적게 인식되었다. 반면에 국공립 초등학교에서는 매해 교사가 교체되는 교환시기를 지속적으로 접하며, 더 다양한 교사군이 존재하기 때문에 학교의 일을 능률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공정함을 기해야 하며, 과업에 있어서도 신중하고, 단호한 태도를 지녀야 하기에 지휘형의 교감이 많이 인식된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교사의 집단 응집력은 교사변인(성별,경력)과 관련이 있었다. 이 두 변인은 응집력의 하위 요인인 상호 작용과 집단 소속감과도 유의미한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즉 남교사는 여교사 보다 더 높은 집단 응집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년 이상의 교사는 10년 이하의 교사보다 더 높은 교사 집단 응집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교사가 여교사 보다 집단을 더 매력적으로 느끼고 있으며, 10년 미만의 교사보다 10년 이상의 교사가 실제로 교사 사이에 친밀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남교사와 10년 이상의 교사가 교사 집단 내에서의 동류의식도 많이 느끼며, 마음의 안정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교감의 의사소통 유형과 교사집단의 응집력의 분석을 보면 교사 응집력의 모든 요인에서 ‘지원형’의 교감이 높은 교사응집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원형의 교감은 집단을 하나로 모으고, 조직 구성원들에게 조직을 더 매력적으로 느끼고, 집단에 남아 있기를 원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임이 드러났다. 이는 다른 조직에 비해 교육이라고 하는 무형의 과업을 수행하는 학교 조직에서 따뜻하게 표현하고, 주의 깊게 듣고, 심사 숙고하는 지원형의 교감의 특성들이 교사들의 집단 응집력을 높여 구성원들 스스로 지시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고 적극적으로 솔선 수범하여 업무를 추진할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자존심을 높이고 안정감을 갖게 해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즉 학교 조직에서의 교감은 교장의 하위 조직인 상위 하달의 의사소통의 중간 전달자의 역할 뿐 아니라, 인간관계의 조정자로서의 중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지원형의 의사소통에서 높은 집단 응집력이 나타남으로써 많은 학교에서 교사들이 학교 조직에 대해 애착을 가지고, 보다 강한 열망으로 주어진 목표 달성에 임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시대가 변화하고, 학교 조직 또한 다양한 형태도 변화하는 이 시점에서 교감 스스로 자신의 의사소통 유형에 대해 스스로 되돌아 보고, 자신의 소통의 성향을 지원형으로 이끌어 나감으로, 보다 건강하고 매력적인 조직으로 학교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본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활용하여 서울 시내의 초등학교의 교사들을 단순 무선 표집하여 연구를 실시 하였다. 오프라인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장점들을 활용하여 보다 폭넓은 연구 대상을 표집하여 우리나라 전체 초등학교에 대한 현상으로 연구를 발전 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후속 연구에서는 교감과 교사의 의사소통의 유형과 교장과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의 비교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여겨지다. 즉 각 대상간의 의사소통의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학교 조직에서의 역할을 찾아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유형의 강도를 측정하지는 못하였다. 의사소통의 강도를 측정함은 스스로를 과다구역으로 가지 않게 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기에 이러한 연구 도구를 개발하는 것 또한 학교 현장에서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좀 더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유형별로 학교를 다시 표집 하여 심층 면담 및 참여 관찰 등을 통한 서술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의 학교에서 일어 나고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 f vice principal and cohesiveness of teachers based on the hypothesis which communication type of vice principal might be related to teachers’ factor or vice-principal’s factor. These three key questions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1. How does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ceive about the vice-principal’s types of communication? 1-1 What type of communication method does vice-principal select based on teacher variables (gender, teaching experience)? 1-2 What type of communication method does vice-principal use based on school of the variables (type, size)? 2. How does elementary school teacher perceive about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2-1 How is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based on teacher’s variables (gender, teaching experience)? 2-2 How is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based on school’s variables (type, size)? 3. How does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change/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unication method by vice-principal? The survey of communication methods with vice-principal and cohesiveness was in progress to teacher on 241 schools at Seoul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the offline survey. Data analysis is for finding out relationship between cohesiveness of teachers’ group and communication method by vice-principal.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e-way ANOVA and statistic calculated data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polled communication method is support. Next support communication method, care, emotion, command are in order. By the fact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rtive and sociable, “established the type of school”, “school scale”, “teachers’ sex”, “vice-principals’ experience” a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bility. Second, a cohesiveness group of teachers and teacher variables analyzed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depending on the type of group harmony and collective sense of belonging in the area with a private high school compared to public. In addition, based on teacher sex group interaction and group cohesion level of belonging in the area had found a meaningful difference,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e female teachers is showing signs of cohesion. Teacher’s career based on the level of interaction and group cohesion group had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e of belonging, a teacher of 10 years, more than 10 years, has been to represent a high level of cohesion. Third, collective analysis of the level of cohesion and vice-principal of the type of communication in all areas showed significant levels relationships. ‘Needs of the members’ factors in the support the most members appeared to 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needs were, in harmony with a group’ factors, the support can conclude that the high or something, emotion, consider, conduct between the type of communic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teraction’ factor in the support the emotion, conduct showed a higher than. Thes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the general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perceive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 of vice-principal, “support, “care”, “emotion”, “conduct” in that order. In addition, determining the type of communication and sociability of a dogmatic axis of each factor in re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gmatic differences between the sex factor, but the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 sociability of the case revealed the factor. This intimate relationship with another person by establishing a social control or express their feelings to the realm of sociabilit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organization can respond sensitively shows. Second, it is a cohesive group of teachers; ‘established school type’, ‘teacher gender’ and ‘teaching experience’ had a relationship.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than public school teachers around the appointment and training process, the configuration takes place in private elementary school several years or several decades formed the organization’s members is greatly enhanced in a concrete and unified collective sense of belonging can be seen to exit. In addition, female teachers than male teachers have higher cohesive as a group was showed, that many fewer female teachers than male teachers in the organization’s going to be any more active a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s desire to present the strength to know can be. Depending on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career was higher in the organization to recognize their role more properly, members’ characteristics to identify and work more as a member of the firm recognizes its members revealed the presence of. Third, vice-principal of a cohesive group of teachers to communicate with the type of analysis, look at all the factors of cohesion in teachers ‘support’ of the “principal” to exercise a high cohesion according to the teacher. This communication is conducted in schools in the area of vice-principal role as coordinator of the realm of human relationships that are showing the greater. Moreover, perceptions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type of communication method of vice-principal and a cohe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group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vice-principal of a cohesive group of teachers on the type of communication to give meaningful effect or a true vice-principal communication are all factors that make up the background was seen being dropped, vice-principal of communicating the vice-principal of a ‘career’, ‘professional instantly’ com in the form of matter that could see not unique. The cohesion of the teacher, teaching experience, and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because teachers have a cohesive higher the teacher’s career were highly cohesive. This group of teachers for a long stays better, to feel attractive, and teaching about the pride, affiliation, affection, mutual cooperation, that’s enough and that they could be further enhanced. That organization, in school, vice-principal of the principal communications relayed from surveillance of the lower middle of the parent organization, the role of communicator, but also as coordinator of human relations is at the heart. The type of communication method of vice-principal is a good audience, and sensitive and patience attributes in the type of communication that appears as a cohesive group of school, has a passion for the organization, stronger that the desire to achieve a given goal can be seen doing.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seems to require follow-up study. First, this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ith a simple wireless sampling study was conducted. In other words, more teachers in a variety of variables and analysis need to be targeted. Second, follow-up studies need to testify difference on the communication type of both between vice-principal and teachers and principal and teachers. Third, this study couldn’t score the degree of communication type. To study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communication type might be helpful for school field as restricting criteria by teachers themselves. Fourth, this study uses law of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More objective and diversified research done by each type of school in order to re-sampl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use of follow-up studies will be d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