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5 Download: 0

사법관계(私法關係)에서 평등권의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사법관계(私法關係)에서 평등권의 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qual Rights in Private Law : Focusing on Sexual discrimination Cases
Authors
이유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선욱
Abstract
It's prescribed in the Article 11, clause 1 of the Constitution that 'All people are equal under the law', and it prohibits discrimination from sex distinction, religion and social status. In addition, the Constitution prescribes against discrimination from sex distinction and nation's duty for realizing equality in the employment, marriage and family life of women, by the Article 32, clause 4 to prescribe women's labor protection and discrimination prohibition, Article 34, clause 1 to prescribe nation's duty for improving women's welfare and rights, and Article 36, clause 1 to prescribe nation's duty for ensuring that marriage and family life should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based on equality between genders. Since sexual discrimination acts, which infringe equal rights, have very various types, it's impossible to prescribe every type in the law. So, in the dispute cases of sex discrimination, it's important for the court to realize equal rights through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corresponding to the equal rights the Constitution guarantees. In the dispute cases of sexual discrimination among private individuals, a problem, discord of equal rights and personal autonomy rule, occurs. As the rule of personal autonomy premises persons involved equally, if personal autonomy rule is attained in the legal relation which imbalance of power exists, the principle ruling judiciary relation comes to be interest of the strong rather than the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So, the nation should correct the rule of personal autonomy for realizing equal rights, in case persons involved aren't in the equal position, and in case a juristic act among private men infringes equal rights unreasonably. In the dispute cases of sexual discrimination among private men, a provision of equ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isn't applied directly and it's done by the medium of the general clauses in the civil law including 'Good custom and other public order'(Article 103 of the civil law) and 'Illegal act'(Article 750). An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such general clauses, equ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may be embodied in the civil suits, so a judge should not depend on common notions of sex discrimination but mediate the meaning of equ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general clauses. In addition, as for the violation of equal rights among private men, it's required to clarify balancing test when equal rights and other basic human rights discord with each other with the standard to judge whether such violation is applicable to discrimination or not. The suits against sexual discrimination among private men may be divided into the case of discrimination by the customary law and the other of discord of equal rights and other basic human rights. As for discrimination by customary law, there are cases of women's membership qualification for Jongjungwon and of one presiding a religious service. In both cases, the Supreme Court declared void of effect of the customary law, however, there are limits that judging logic of unconstitutional on the customary law to infringe equ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isn't clear and in the solving the blank of the law from nullity of the customary law, it was based not on equ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but on the regulation of the civil law(Article 1) or common notions. The cases of discord of equal rights and other basic human rights among private men, are again divided into the case of having a provision on the discord of basic human rights and the case of having no provision. As for the case of having no provision on the discord of basic human rights, there's a case of general membership qualification of YMCA. In this case, the issue was discord of equal rights and freedom of association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Court regarded the act, which the Association gave no qualification only for women without any reasonable reason, as the violation of the equal rights and declared liability on damage by illegal acts. In the discord of basic human rights, the representative example that he law prescribes priority of certain basic human rights is the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employment. As the law against the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employment, there are Labor Standards Law and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Law, and these laws punish or void employers' discrimination for employees because of sex distinction. However, in the civil suit's cases of first-lay-off of couples within a company or marriage-retirement, which made an issue of lay-off by sexual discriminative standard or custom, the Court didn't regard violation of the equ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And, defined it as the cancellation of the labor contract by mutual agreements rather than lay-off through applying civil law's Willenserklärung Principle because employees handed in their resignation. As the law to prescribe priority of the equal rights on the discord of the basic human rights, there's the law of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it prohibits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offering and using of goods, services, and facilities. However, such cases didn't cause any issue in the civil suit. And, there are cases decided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o presume acts as the discrimination, including the act of no giving a towel only to women at the spa, setting an unfavorable limit only to women's membership at the golf course, and excluding descendants of a daughter from the scholarship at the scholarship committee.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ases, it showed that the problems of the sexual discrimination suits contains the things that a standard judging discrimination is unclear, balancing test is indefinite in case of the discord of the equal rights and other basic human rights, there's unequality in the respects of proof, legal knowledge and economy between parties in the judicial procedure, and the provision on the judicial effect of discrimination is ambiguous. When a dispute on sexual discrimination occurs among private men, the range and the contents of realizing the equal rights are confirmed concretely through the decision of the court. So, civil suits are important means to apply equ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to the juridical relations. For these above, first, a judge should realize equal rights the Constitution guarantees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law fitting for the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And,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may be a standard for interpreting the concret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equ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in the cases of sexual discrimination. Second, to clarify the standard judging discrimination, it must be prescribed clearly including concrete standards, types and exceptions of discrimination. Third, in case of discord of standards judging discrimination, equal rights and other basic human rights among private men, balancing test should be established more clearly. Fourth, for equality of legal procedures, in case there's unbalance of power between parties, relaxing and converting of burden of proof are required in order for an agent of discrimination to bear burden of proof. Fifth, juridical effect of discrimination must be prescribed in the law clearly, and effective measures for discrimination should be prepared including punitive damages, suspension of discrimination and full recovery. Furthermore, with enactment of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containing these contents above comprehensively, correction of discrimination acts and relief of its damage should be done together by the organizations for discrimination correction which can complement weak points of the legal methods.;헌법 제11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고 규정하고,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에 의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헌법은 여성의 근로에 대한 보호와 차별금지를 규정한 제32조 제4항, 여성의 복리와 권익향상을 위한 국가의 의무를 규정한 제34조 제1항, 혼인과 가족생활이 양성의 평등을 기초로 성립되고 유지되도록 보장할 국가의 의무를 규정한 제36조 제1항 등에 의해 성별에 의한 차별금지와 여성의 고용, 혼인. 가족생활에서 국가의 평등실현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평등권을 침해하는 성차별 행위는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법률에서 모든 유형을 규정하기란 불가능하므로, 성차별에 관한 분쟁사건에서 법원이 헌법이 보장하는 평등권의 내용에 부합하는 법률의 해석과 적용을 통해 평등권을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인 간에 발생하는 성차별 분쟁사건에서는 평등권과 사적자치의 원칙의 충돌이 문제되는데, 사적자치의 원칙은 대등한 당사자를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힘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사인간의 법률관계에서는 사적자치의 원칙을 관철하게 되면 사법관계(私法關係)를 지배하는 원리는 헌법의 원리가 아니라 사회적 강자의 이해관계가 되어버린다. 따라서 국가는 사법관계(私法關係)에서 당사자가 동등한 지위에 있지 않고 사인간의 법률행위의 내용이 평등권을 부당하게 침해하는 것이라면 평등권의 실현을 위해 사적자치의 원칙을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사인 간에 발생하는 성차별 분쟁사건은 헌법의 평등권 조항이 직접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민법상 일반조항인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민법 제103조), 불법행위(제750조)등을 매개로 하며, 이러한 일반조항의 해석에 따라 헌법의 평등권이 민사소송에서 구체화되므로, 일반조항을 해석함에 있어 법관이 헌법의 평등권의 의미를 심사숙고하여야 하고, 막연히 성차별적인 통념에 의존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사인 간에 발생하는 평등권 침해행위에 대해서는 침해행위가 차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과 함께 평등권과 다른 기본권이 충돌할 때 이익형량의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하여야 한다. 사인 간에 성차별 소송은 크게 관습(법)에 의한 차별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사인 간에 평등권과 다른 기본권이 충돌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관습(법)에 의한 차별사건으로 여성의 종중회원 자격사건과 제사주재자 사건이 있는데, 이들 사건은 대법원이 관습법의 효력을 무효로 하였으나, 헌법의 평등권을 침해한 관습법에 대한 위헌판단의 논리가 명확하지 않고, 관습법의 무효로 인한 법률의 공백을 해결함에 있어 헌법의 평등권을 근거로 하지 않고 민법의 조리(제1조)나 사회통념을 근거로 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사인 간에 평등권과 다른 기본권이 충돌하는 사건은 다시 기본권 충돌에 대한 법률의 규정이 없는 경우와 법률의 규정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기본권 충돌에 대한 법률의 규정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사건으로 YMCA의 총회원 자격 사건이 있다. 이 사건에서는 헌법이 보장하는 평등권과 결사의 자유 간의 충돌문제가 쟁점이 되었으며, 법원은 단체가 합리적인 이유 없이 여성들에게만 총회원 자격을 인정하지 않는 행위를 평등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아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였다. 기본권 충돌에 대해 법률에서 어느 기본권을 우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는 고용에서의 성차별이다. 고용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는 법률로서 근로기준법과 남녀고용평등법이 있고, 이들 법률에서는 사용자가 성별을 이유로 근로자를 차별할 때 그러한 행위를 처벌하거나 무효로 하고 있다. 그러나 민사소송에서 성차별적인 기준이나 관행에 의한 해고가 문제된 사내부부 우선해고 사건이나 결혼퇴직 사건에서 법원은 헌법의 평등권 침해를 문제 삼지 않고, 근로자가 사직서를 제출하였다는 이유로 민법의 의사표시 이론을 적용하여 이를 해고가 아닌 당사자의 합의에 의한 근로계약의 합의해지로 보았다. 기본권 충돌에 대해 평등권을 우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법률로 국가인권위원회법이 있는데, 이 법에서는 재화. 용역. 시설의 제공 및 이용에서의 성차별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가 민사소송에서 문제가 된 적은 없으며, 온천탕에서 여성에게만 수건을 지급하지 않거나, 골프장에서 여성의 회원자격에만 불리한 제한을 두거나, 장학회에서 딸의 후손을 장학금 지급대상에서 제외하는 등의 행위를 차별행위로 인정한 국가인권위원회 등의 결정례가 있다. 실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성차별 소송의 문제점은 차별판단 기준이 불명확하고, 평등권과 다른 기본권의 충돌시 이익형량 기준이 불명확하며, 소송절차에서 당사자 간에 입증이나 법률지식, 경제적인 면에서 불평등이 존재하고, 차별행위의 사법적 효력에 대한 규정이 불명확하다는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인 간에 성차별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을 때 법원의 판결을 통해 평등권의 실현범위와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정되므로, 민사소송은 헌법의 평등권을 사법관계(私法關係)에 적용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 번째 법관이 헌법의 원칙에 부합하는 법률의 해석을 통해 사법관계(私法關係)에서 헌법이 보장하는 평등권을 실현하여야 하는데, 여성차별철폐협약은 성차별 사건에서 헌법이 규정하는 평등권의 내용과 구체적 의미를 해석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차별행위의 유형에 따라 차별판단기준을 명확하게 하고, 평등권과 다른 기본권의 충돌이 있을 때 이익형량 기준을 보다 명확하게 정비해 나가야 한다. 세 번째 소송절차에서의 평등을 위해 당사자 간에 힘의 불균형이 있는 경우에 차별행위를 하는 자가 입증책임을 부담하도록, 입증책임의 완화. 전환이 필요하다. 네 번째 차별행위의 사법적인 효력을 법률에서 명확하게 규정하여야 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이나 차별행위의 중지, 원상회복 등 실효성 있는 차별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는 차별금지법의 제정과 함께 사법적인 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차별시정 기구에 의한 차별행위의 시정과 차별피해의 구제가 병행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