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무의식 세계 속에서 드러난 내적형상 연구

Title
무의식 세계 속에서 드러난 내적형상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Psychic Figure Manifested in the subconscious Realm
Authors
유민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Human mind consists of conscious and subconscious realms according to psychoanalysis. There are rich literatures on conscious and subconscious minds accumulated by many psychologists. Among them, Carl Jung, the founder of analytical psychology, understood human psyche not by a fraction but by the whole, and said that subconsciousness is not repressed by consciousness and instead it has its own creative functions. As I agree with the views of Jung, I intend to recognize "Individuation" as a process toward self-knowledge based on basic concepts of human personalities that he defined. During the Individuation process, expanded realm of consciousness awakes the psychic centre, making a person acknowledge the contents of subconsciousness and ultimately coming to meet selfhood or the real Self. By then, subconsciousness which has not been recognized becomes emerges as an also important realm. The path of Individuation which can be translated as "coming to self-hood" or "self-realization" increased public interests in the subconscious realm. Artists also use subconsciousness as a source of expression by arousing inner qualities of objects including themselves and providing them with primeval imagination. Movement in the art to find a creative source in the subconscious area is represented by surrealism and abstract expressionism. Surrealists integrated actual and visible situation with dreams or imagination which is manifested to us by subconsciousness, instead of rational judgment, to express a non-existing fantasy world; while abstract expressionists invented their own abstract languages from their inner necessity. These inner desires to proactively create the subconscious world visibly relate to me working in the 21 century, over time and across cultures, in finding a unique figurative language. Hereby, to find my figurative language, I adopt psychoanalyst approaches. I present the process of how inner figures are shaped in a consecutive manner by visibly converting the original figures latent in the subconscious realm. As I repeated drawing circles, also known as ‘circle passage’, I realized the infinite space is inside, and the silent hours facilitated the integration between conscious and subconscious minds, playing as a driving force to invoke the subconsciousness. I also adopted Automatism that surrealists used to read the flow of subconsciousness, and I was able to find the original figure immanent in my subconscious realm. Images from the Automatism drawing is transformed into a reversible figure, that is seen the same with the right and the left turned or upside down. This complete image is called the psychic figure. It gives a delusion as if it moves due to psychological awareness rather than it is accepted consciously. The psychic figure is completed by forms and colors. For its form, it is in linear form consisting of repeating lines or curves. In the Asian paintings, lines are regarded as strokes. Shitao, ancient Chinese painter, said in One Stroke that the stroke is the very mind of the painter. In the Western paintings, lines are considered as a method of manifestation of the subconscious realm. I look into how these concepts of lines are applied to the psychic figure, and vibrations of lines and various types of mobility embodied by lines of the psychic figure. For colors, I chose white, black and blue 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while shaping the psychic figure. I compare and analyze what psychological influences each color has and what meanings the colors are supposed to have. Last but not least, I intend to understand symbolism that the psychic figure reveal. To this end, I divide the symbolism into two: external symbolism as described in the circle which is geometrically abstract figure; and internal one as in selfhood which is the root of forms generated by subconscious action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eply understand Jung’s Individuation proces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ground of the psychic figure placed in the subconscious realm. Based on the study, image of the psychic figure may be interpreted as a possible communication with the Self, beyond just being an abstract figure. I intend to find my true personality-the Self by uniting the subconscious realm with the consciousness through an ongoing endless Individuation process and to convert the creative motiv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into figurative languages, ultimately to find harmony and balance that the psychic figure has.;인간의 심리에는 의식과 무의식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고 정신분석학자들은 밝혔다. 의식과 무의식에 관해 연구한 많은 심리학자들이 있었지만 융의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정신을 어느 한 부분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이해하려고 했고, 무의식을 의식에서 억압되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창조적인 기능을 가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융의 견해에 동의하여 그가 정의내린 인격의 기본적 개념들과 이를 바탕으로 자기 인식(Self-knowledge)의 과정으로 ‘개성화(Individuation)’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개성화 과정 속에서 확장된 의식의 영역은 내면의 중심을 일깨워 무의식의 내용을 깨닫게 되면서 진정한 자기(自己)와 만나게 되고 이 때 그동안 인식되지 않았던 무의식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 되었다. 자신의 본래적 특성을 알아가는 개성화 과정을 통해 무의식의 세계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으며 예술분야에서는 무의식을 내면적 본질을 일깨우고 원초적 상상력을 제공하는 표현의 원천으로 삼았다. 창조의 근원을 무의식 세계 속에서 찾으려는 미술사적 운동은 초현실주의와 추상표현주의로 대표된다. 초현실주의자들은 이성적 판단이 아닌 무의식으로 대표되는 꿈이나 환상의 세계를 실재의 가시적 현상과 결합하여 새로운 환상의 세계로 표현해 내고자 했고, 추상표현주의자들은 작가들의 내적 필연성에 의해 자신만의 독특한 추상 언어를 만들어 갔다. 이렇듯 무의식의 세계를 적극적으로 화면 안에서 창조하고자 했던 내적 욕구는 시대와 문화적 차이를 뛰어넘어 현재 작업을 하고 있는 본인에게도 개성적 조형언어를 발견해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조형언어를 발견함에 있어서 분석심리학적 접근 방식을 차용해 무의식 세계 속에 잠재되어 있던 본래적 형상을 시각적으로 변환 하여 내적 형상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 주고자 하였다. ‘원의 통로’라고 부르는 원(圓) 드로잉을 반복해 나가면서 무한한 공간이 내부에 있음을 지각하게 되었고, 침묵의 시간은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 기능을 촉진하여 무의식을 깨우는 원동력이 되었다. 무의식의 흐름을 읽어내기 위해 초현실주의자들이 사용했던 자동기술법(Automatism)을 이용해 본인의 무의식 세계에 내재되어 있던 원형(原型)의 형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자동기술법 드로잉의 이미지는 가역적 형태(Reversible Figure), 즉 상하좌우로 뒤바뀔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된다. 완성된 이미지를 내적형상이라고 부른다. 내적형상은 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지기보다 심리적 지각작용에 의해서 형상이 마치 움직이는 것 같은 착각이 들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내적형상은 형태와 색채로 완성된다. 형태는 반복된 선이나 곡선들로 이루어진 선(線)적 형태이다. 동양회화에서는 선을 획(劃)으로 보고 있으며 석도의 일획론(一劃論)에서는 획은 곧 마음이라고 했다. 서양회화에서는 선을 무의식 세계의 표출 수단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선의 개념이 내적형상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알아보고, 내적형상이 드러내는 선의 진동과 선으로 표현된 다양한 운동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내적형상을 진행시키면서 가장 중요하게 선택했던 색은 흰색, 검은색, 파란색이었다. 각각의 색채가 가지는 색채심리의 작용과 내적형상에 나타나는 색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의미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적형상에서 드러나는 상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기하학적 추상 형태인 원형(圓形)으로 드러난 외적상징성과 무의식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근원적 형상으로서의 자기원형(自己原型) 으로서의 내적 상징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융의 개성화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더불어 무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었던 내적형상의 이론적 근거를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내적 형상의 이미지가 단순히 추상적 형태로서가 아니라 내면의 본래적 자기와의 소통의 가능성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지속적인 개성화 과정을 통해 무의식 세계를 의식 속에서 통합시켜 나감으로서 진정한 인격-자기를 발견하고, 그 안에서 발생되는 창조적 원동력을 조형적 언어로 변환시켜가면서 내적형상이 가지는 조화와 균형을 찾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