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호-
dc.contributor.author양르네-
dc.creator양르네-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1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82-
dc.description.abstractThis aims to study the education of Art Museum in postmodern eras, based on John Dewey’s education of art museum. As art museums make their presence felt, they have offered a variety of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the public with outstanding cultural experience beyond their traditional scope. Despite their endeavour they have become estranged from the public. Henceforth, I propose the art museum’s education to restore a public interest as well as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educational functions. For the study of this purpose,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briefly begin to see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 development of the art museums through discussing both postmodern art and its contemporary art museums mainly in the view of postmodern relativism and pluralism. In the third and fourth sections, a number of suggestions will be presented that demonstrate why the education of art museum is of importance and where the art museum’s education goes, by examining how John Dewey’s educational prospective influenced both art and its education on the basis of his empirical philosophy, and how his viewpoint correlates with those of postmodern eras. Art museums of Modernism separated from the popular experience due to putting an emphasis upon not only the art’s purity but its creativity. Those of postmoden eras, on the other hand, are closely related with daily life by placing a high value on the universal experience. It is obvious that the postmodern art has influenced its change. Everything in the postmodern eras has been associated with sociocultural phenomenon in a way of relativism and pluralism, making much of daily experience. Up to this point, the postmodern art, beyond the traditional prospective, has given birth to the new meaning of the public’s participation by collapsing the boundaries between pure art and popular culture and blurring the distinction of genre which modernism art tried to keep strictly. Objects and the visitors’ various experience in the art museums are the aesthetic one John Dewey advocated as “An Experience” through the concept of art, which has been shown, associated with education activities, into a variety of education programs. His philosophic idea was based on the general experience and consolidated the foundation of educational notions by criticizing the fact that knowledge doesn’t involve normal experience but becomes the symbolic knowledge. Terry Zeller has divided the education of art museum philosophy into four categories; firstly the aesthetics art appreciation philosophy of museum education, secondly the art-historical philosophy, thirdly interdisciplinary humanities philosophy, lastly the one accentuating the social education philosophy of the public, all of which Joh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has given an influence on. In conclusion, I put forwar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roles and education in itself in the art museum, and put an emphasis upon the fact that extraordinary experience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art museum will enrich the life of the public through Terry Zeller who studied the education of art museum on the basis of Joh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본 논문은 존 듀이(Dewey, John)의 교육 철학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 사회에 미술관은 교육적이고 대중적인 기능이 강조되면서 대중의 특별한 경험과 문화 체험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여전히 다른 문화 공간에 비해 대중으로부터 소외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미술관이 대중으로부터의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으로 미술관 교육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상대주의적 다원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미술관 개념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보고, 듀이의 경험 철학을 근간으로 한 교육적 관점이 예술과 예술 교육에서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더 나아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교육과는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오늘날 미술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모더니즘 미술관이 예술의 순수성과 독창성을 주장하면서 일상의 경험으로부터 분리되었다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은 일상의 경험을 중심으로 실제 삶과 연관되었는데, 미술관의 이러한 변화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상대주의적 다원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모든 것이사회 문화적인 상황과 연관되면서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은 예술에 대한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모더니즘 미술에서 철저하게 지키고자 했던 엄격한 장르의 구분을 무너뜨림으로써 순수 미술과 대중 문화 사이의 경계를 와해시켰고 대중의 참여라는 새로운 의미를 낳게 되었다. 일상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 듀이의 철학적 관점은, 교육에 대한 개념들을 형성하는데 근간이 되었다. 교육이 사회와 맺는 관계를 강조하는 듀이의 교육 철학은 그의 예술에 대한 개념과 예술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교육의 철학적 기반이 되었다. 듀이의‘하나의 경험’으로서 예술에 대한 개념은 미술관에서 미적 경험과 연관되었는데, 미술관에서의 예술 작품과 관람객이 맺는 특별한 경험은 관람객의 일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었고 이러한 경험은 다시 대중의 일상을 통해 반영되었다. 듀이의 예술적 개념들은 테리질러(Zeller, Terry)에 의해 미술관 교육의 이론과 실천으로 나타나게 되면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교육 철학의 기초가 되었다. 미술관 교육이 관람객을 변화시키고 사회화하는데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던 테리질러는 미술관 교육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테리질러가 언급한 미술관 교육 철학은 미학적 미술 감상 철학, 미술사적 철학, 학제 간 인문 철학, 사회 교육 철학으로서, 이것은 모두 듀이의 교육 철학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므로 듀이의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미술관 교육에 대해 논의한 테리질러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교육을 분석해 봄으로써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특별한 경험과 다양한 교육 활동들이 대중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과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 오늘날 미술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개념의 변화 = 8 A. 상대주의적 다원주의적 관점 = 8 B. 포스트모더니즘과 미술관 = 11 1.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 11 2.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 15 Ⅲ. 존 듀이의 교육 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 19 A. 일상의 경험 철학 = 19 B. 듀이의 교육에 대한 개념 = 22 1. 경험과 교육 = 22 2. 포스트모더니즘과 듀이의 교육 철학 = 26 Ⅳ.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교육 = 28 A. 듀이의 예술 개념과 예술 교육 = 28 1.하나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개념 = 28 2.미적 경험과 예술 교육 = 32 B. 듀이의 미술관에 대한 개념과 미술관 교육 = 36 1. 미술관에 대한 개념 = 36 2. 테리질러의 미술관 교육 이론과 실제 = 39 Ⅳ. 결론 = 49 참고문헌 = 52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7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미술관 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존 듀이(Dewey, John)의 교육 철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rt Museum Education in Postmodern Eras : Focused on Joh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dc.creator.othernameYang, Renee-
dc.format.pageⅵ,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