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최근 10년간 시행된 두드러기 환자의 알레르겐 검사 결과 및 분석

Title
최근 10년간 시행된 두드러기 환자의 알레르겐 검사 결과 및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Results in recent 10-year Allergen Test about Patients with Urticaria
Authors
이가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유원
Abstract
Urticaria is multifactorial disease that both immunological and nonimmunological mechanisms are involved in its pathogenesis. Type 1 hypersensitivity re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or aggravating the disease, so determining of the causative allergens and avoiding them from patient’s environment are helpful in treating the disease.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ositive rate of each allergens in patients with urticaria and assessed the differences by sex, year, age, residence type and the duration of the disease.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04 patients with urticaria who underwent skin prick test and 707 patients with urticaria who underwent MAST CLA test or AllergyScreen test at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in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for 10 years from March 1998 to April 2008.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skin prick test, the positive rate is 78.3% among patients and the positive rates of each principal allergen were D.farinae 52.0%, D.pteronyssinus 47.7%, cockroach mix 27.3%, weeds 15.8%, shellfish 15.1% and dog fur 13.2% in that order. The positive rates of cat fur and apple showed higher in female rather than in male (p < 0.05). The positive rates of flower and ragweed have steadily grown since 2005 (p < 0.05) and the positive rate of cockroach mix in patients was maximized in their forties (p < 0.05). D.farinae, D.pteronyssinus and cockroach mix had the highest positive rates in acute and chronic urticaria, but the positive rates in acute urticaria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chronic urticaria. 2. In serum allergen test, the positive rate is 51.3% among patients and the positive rates of each principal allergen were D.farinae 31.8%, D.pteronyssinus 24.5%, house dust 24.0%, acarus siro 11.0%, cat fur 9.3% and dog fur 8.8% in that order. The most common seven allergens were same in both male and female. But common allergens in male beyond 7 allergens were rye, ragweed and mugwort and those in female were cheese, milk and peanut. D.farinae and D.pteronyssinus were the highest among patients in twenties and cockroach mix was that in forties. The positive rates of D.farinae and D.pteronyssinus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5 and the positive rate of house dust has increased since 2003. The positive rate of cockroach mix, rye, crab and buckwheat meal in non-apart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apartment group (p < 0.05). Serum allergen test also showed that the positive rate of cockroach mix increased with the duration of disease (p < 0.05). In conclusion, some allerge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ositive rates in evaluating the data by sex, age, year, residence type and the duration of the disease. Detecting and analysing the trend of the allergen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voiding therapy in patients with urticaria.;알레르기 피부검사 중 피부단자시험은 민감도가 높고 혈청 IgE 치와 높은 일치율을 보여 임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방법이며, MAST (multiple allergosorbent test) 화학발광법은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혈청내 총 IgE 및 다수의 알레르겐 특이 IgE를 동시에 측정하는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피부단자시험보다 민감도는 다소 낮지만 특이도는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AllergyScreen은 면역탁본법 (immunoblot)을 사용하여 혈청내 알레르겐을 감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대목동병원 피부과를 내원한 두드러기 환자 중에서 피부단자시험을 시행받은 환자군과, MAST 화학발광법 또는 AllergyScreen 면역탁본법을 시행받은 환자군 각각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알레르겐의 종류 및 빈도에 대해 조사하고, 성별, 연령별, 연도별, 주거형태별, 질병이환 기간별로 알레르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부단자시험을 시행받은 304명의 환자군과 MAST 화학발광법 또는 AllergyScreen 면역탁본법을 시행받은 707명의 환자군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부단자시험 양성율은 78.3%로, 아메리카집먼지 진드기 (D.farinae) 52.0%, 유럽집먼지 진드기 (D.pteronyssinus) 47.7%¸ 바퀴벌레 (cockroach mix) 27.3%, 잡초 (weeds) 15.8%, 조개류 (shellfish) 15.1%, 개털 (dog fur) 13.2%, 쑥 (mugwort) 11.8% 순으로 흔하게 나타났다. 고양이털 (cat fur)과 사과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의미 있게 높은 양성율을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바퀴벌레가 20-40대에서 30%정도의 양성율을 유지하다가 이후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꽃, 돼지풀 (ragweed)이 2005년부터 점차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주거형태별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유병기간별로 급성과 만성 두드러기군 모두에서 가장 흔한 알레르겐은 아메리카집먼지 진드기, 유럽집먼지 진드기, 바퀴벌레로 종류의 차이는 없었으나 급성 두드러기에서의 양성율이 만성 두드러기에서보다 현저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혈청 알레르겐 검사 양성율은 51.3%로, 아메리카집먼지 진드기 31.8%, 유럽집먼지 진드기 24.5%¸ 집먼지 (house dust) 24.0%, 수중다리 진드기 (acarus siro) 11.0%, 고양이털 9.3%, 개털 8.8%, 바퀴벌레 7.2% 순으로 흔하게 나타났다. 가장 흔한 알레르겐 7가지는 남녀 모두에서 동일하였으나, 그 다음으로 흔한 알레르겐은 남성에서 호밀풀 (rye), 돼지풀, 쑥이었으며, 여성의 경우 치즈, 우유, 땅콩이었다. 연령별로는 아메리카집먼지 진드기와 유럽집먼지 진드기는 20대에 최대 양성율을 보였으며, 바퀴벌레는 40대에 13.6%의 가장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아메리카집먼지 진드기, 유럽집먼지 진드기는 2003-2004년에 최저 양성율을 보인 이후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집먼지의 양성율도 2003년부터 계속 증가추세를 보여 2007-2008년도의 경우 50.8%의 양성율을 보였다. 치즈, 돼지고기, 쇠고기의 양성율도 2005년도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거형태별로는 비아파트 거주군에서의 바퀴벌레, 호밀풀, 향미풀(buckwheat meal), 게의 양성율이 아파트 거주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으며, 유병기간이 길수록 바퀴벌레의 양성률은 의미 있게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두드러기 환자에서 피부단자시험과 혈청 알레르겐 검사에서 가장 흔하게 양성을 보인 알레르겐은 집먼지 진드기로 동일하였으며, 일부 알레르겐의 양성율은 성별, 연령별, 연도별, 주거형태별, 질병이환 기간별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