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중국 남방 방언과 한국 한자음 성모의 유사성 비교 연구

Title
중국 남방 방언과 한국 한자음 성모의 유사성 비교 연구
Other Titles
中國南方方言與韓國漢字音聲母的類似性比較研究 : 以中國客家.粵,閩方言為主
Authors
윤종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소희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한자음과 유사한 語音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현대 중국 남방 방언 중에서 어느 방언이 한국 한자음과 가장 유사한지를 밝히기 위하여 客家, 粵, 閩 방언의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의 성모 체계를 비교하였다. 물론 한국 한자음이 중국의 어느 특정 지역의 방언과 유사하다고 하여 그 지역의 방언이 한국에 처음 전래되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자음이 한국에 전래된 이후 지금의 모습으로 정착하기까지 내·외적인 요인으로 인해 큰 변화의 과정이 있었으며, 중국의 표준어나 방언 역시 자체적인 변화의 과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공시적 비교 연구는 한국 한자음의 전래 경로, 시기 및 지역을 추정하는 데에 간접적인 단서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중국 중고음의 변화 과정을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 한자음은 중국 상고음(上古音) 시기에 처음 전래되어 중국 중고음(中古音) 시기에 정착되었으며, 중국 남방 방언은 역사적인 배경과 지리적인 요인으로 인해 중국 중고음의 특징을 여전히 잘 보존하고 있으며 북방음의 음운 변화의 영향을 덜 받았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과 현대 중국 남방 방언의 유사성의 근본적 원인 분석을 위해서 우선 중국 중고음을 기준으로 각 지역의 한자음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하고,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중국 남방 방언음은 『漢語方音字彙』에 수록된 기본 한자와 국제음성기호(IPA)로 표기된 발음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한국 한자음은『한국어 발음 사전』의 IPA 표기를 근거로 하였으며, 중국 중고음은 『漢字古音手冊』의 『광운(廣韻)』 재구음(再構音)의 IPA 표기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를 진행하였다. 중국 중고음을 기준으로 하여 한국 한자음, 중국 남방 방언의 성모를 비교한 결과, 중국 중고음 성모와 유사한 정도는 客家방언 > 閩방언 > 粵방언> 한국 한자음 순이었다. 각 지역 한자음은 공통적으로 중국 중고음 성모 중 舌頭·半齒音, 齒頭音의 특성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그 중 客家 방언의 유사도는 48.2%로 절반 정도가 중국 중고음 성모와 발음이 일치하고, 그 다음으로 閩방언,粵방언, 한국 한자음의 유사도가 비슷한 정도로 중국 중고음에 가깝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한국 한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중국 남방 방언의 성모를 비교한 결과 閩방언 > 客家방언 > 粵방언 순으로 한국 한자음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중고음 성모의 특징이 공통적으로 많이 반영된 舌音 즉, /ㄷ/ [t], /ㅌ/ [t'], /ㄴ/ [n], /ㄹ/ [l] 부분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閩 방언과 客家 방언은은 한국 한자음과의 대응 관계가 대체로 비슷하며 그 중 閩 방언이 한국 한자음과 일치하는 경우가 더 많으므로 한국 한자음과 가장 유사한 방언은 閩 방언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중국 중고음이 당시 중원(中原) 지역의 음계를 반영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중원지역으로부터 지정학적인 거리 차이와 중국 중고음과의 성모 유사도의 차이가 비교적 일치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국 중고음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고찰한 결과, 한국 한자음과 중국 남방 방언 성모의 공통적인 변화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과 중국 남방 방언은 한자음의 정착 시기와 발전 속도 및 양상이 유사한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고음의 특성의 보존 상황과 서로 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각 한자음 간의 거리를 측정하면, 중국 중고음과 가장 가까운 한자음은 客家 방언이며, 그 다음으로 閩 방언과 粵 방언언이 중고음에 가깝고, 한국 한자음이 가장 멀리 있다고 볼 수 있다. 동시에 한국 한자음을 기준으로 봤을 때 閩 방언이 客家 방언보다 한국 한자음에 더 가까이에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어 음운에 대한 공시적(共時的) 연구이자 한자 문화권에 속한 개별 언어의 한자음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이며, 동시에 한국 한자음이 전래된 경로와 시기 연구에 간접적인 자료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막연하게 중국 남방 방언음과 한국 한자음이 유사하다고 인정해 오던 것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중국 남방 방언이 한국 한자음과 유사하다는 기존의 추상적인 가설과 연구 결과에 구체적인 답을 제시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現代中國南方方言的語音體系被認為與韓國的漢字音有相似之處.本研究的目的在於, 要進一步明確韓國的漢字音與現代中國南方方言的甚麼方言最類似.為此,我對客家方言,閩方言,粵方言的漢字音與韓國的漢字音聲母體系進行了比較.當然韓國的漢字音與中國某一特定地區的方言類似不一定意味著這一地區的方言第一次傳入韓國.因為在漢字音從傳入韓國到形成現在的漢字音的過程當中,由於對內外的因素,韓國的漢字音經歷了巨大的變化,而且中國的標準語言和方言本身也發生了變化.這樣共時的比較研究會在漢字音傳入韓國的經過,時期,地區的研究方面成為間接的端倪,於此同時可以從更多的角度觀察中國中古音的變化過程. 韓國的漢字音在中國上古音時期首次傳到韓國,在中國的中古音時期完全被接受.中國的南方方言由於歷史背景和地理因素依然保存中古音的特點,較少受到北方音韻變化的影響.因此首先為了分析韓國漢字音與中國南方方言相似的根本原因,以中國中古音?標準比較個地區的漢字音,測定類似程度,尋找類似的部分.我把按照國際音標(IPA)標記的『漢語方音字彙』上被選?的3000字發音當作中國南方方言發音的標準,把『韓國發音詞典』上的國際音標當作韓國漢字音發音的標準,把『漢字古音手冊』的『廣韻』上記載的擬音的國際音標當作中古音的發音標準. 以中國中古音為標準,我對韓國漢字音和中國南方方言的聲母進行比較.其結果顯示,與中國中古音的聲母最相似的依次是客家方言,?方言,?方言,韓國漢字音.個地區的漢字音都保留中國中古音聲母中的舌頭?半齒音,齒頭音的特點,其中一半以上的客家方言聲母和發音與中古音相似,其類似度竟達48.2%,其次是是閩方言,粵方言,韓國漢字音,三個語言與中古音的類似度差不多. 另外, 我以韓國漢字音?標準對中國南方方言的聲母進行比較.其結果顯示,與韓國漢字音最類似的南方方言依次是閩方言, 客家方言,粵方言.尤其,共同保留中國中古音聲母的特點的舌音部分即/ㄷ/ [t], /ㅌ/ [t'], /ㄴ/ [n], /ㄹ/ [l]部分最l]部分最相似. 閩方言和客家方言與韓國漢字音大部分相對應,其中, 閩方言是與韓國漢字音相一致的部分更多的方言.基於上述的內容,我們可以得出結論:與韓國漢字音最類似的南方方言就是閩方言. 中國的中古音反應了當時中原地區的音韻系統.考慮到這一點, 我發現,從中原地區地緣政治上的距離差距與中國中古音的類似度的差距相一致,而且韓國漢字音完全被接受的時期,發展速度及發展情況與中國南方方言的發展情況處於類似的階段.以中國中古音特點的保留情況和相互之間的類似性為標準測定各個漢字音之間的距離,與中國中古音最相似的漢字音是客家方言,其次是閩方言,粵方言和韓國漢字音與中古音的距離最遠.同時,以韓國漢字音為標準進行比較的話,閩方言比客家方言更接近韓國漢字音. 本論文是對中國語言音韻的共時性研究,是漢字文化圈內個別語言漢字音的綜合性研究,於此同時,將成為韓國漢字音傳入韓國的經過,時期方面的間接性資料,可以對此研究提供?助.與此同時,到目前為止,人們都廣泛認為中國南方方言與韓國漢字音相似,但沒有具體證據.本論文通過統計方面的驗證,分析具體的情況,對這些韓國漢字音與中國南方方言類似的現有抽象性假設提供具體的證據和答案.這就是本?究的意義和目標.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