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용재-
dc.contributor.author권주영-
dc.creator권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4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80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470-
dc.description.abstract뇌혈관 질환은 단일 질환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최근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스타틴 계열 약물의 사용으로 허혈성 뇌경색의 재발 위험이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나, 고지혈증과 허혈성 뇌경색의 여러 아형군들 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일반적으로 측정해온 혈중 지질 수치와 이를 기본으로 계산한 여러 지질 지수들과 뇌경색 아형들 간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이 된 환자들은 지난 4년간 동 병원에 허혈성 뇌경색으로 입원한 환자들로써,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1296명의 환자 중에서 대형동맥죽상경화증(Large artery atherosclerosis, 이하 LAA)은 632명, 소혈관폐색 아형군(Small vessel occlusion, 이하 SVO)은 470명, 심장탓 색전증(cardiac embolism, 이하 CE)은 194명이고, 대상자들 모두 입원 후 공복상태에서 총 콜레스테롤(TC),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및 중성지방(TG)을 측정하였으며, 연령, 성별의 영향을 배제하여 선정한 대조군 469명과 각각의 수치를 비교 하였다. 뿐만 아니라 뇌경색의 아형군 별 혈중 지질 수치와 지질 지수의 상관 관계에 대한 분석도 같이 실시하였다. 환자군의 TC, LDL, HDL 및 TG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각각 p<0.001, p=0.002 및 p=0.010). 그러나 TG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37). 비 HDL (non-HDL) 수치 또한 환자군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p<0.001). 혈중 지질 수치는 LAA와 SVO 군 간에 서로 유사하게 관찰되었는데, 예외적으로 TG 수치는 LAA군이 SVO군에 비해 더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CE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HDL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과 비HDL의 상승을 LAA와 SVO아형군에서 모두 관찰할 수 있었으나,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의 경우에는 SVO아형군에서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고혈압과 당뇨 뿐만이 아니라 고콜레스테롤혈증 또한 SVO 아형군의 위험 인자로 작용하며, 이는 TG 수치의 상승으로 LAA군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Background : Cerebrovascular disease, which is one of the most mortal diseases, has increased. With statins, reduction of the risk of recurrent ischemic stroke might be expected.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lipidemia and some specific ischemic stroke subtypes remains controversial.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measures of the classically obtained serum lipid profiles and the subtypes of ischemic stroke. Methods : Data retrospectively collected over a 4-year period on subjects admitted with ischemic stroke to a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analyze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TC), LDL-cholesterol(LDL), HDL-cholesterol(HDL) and triglycerides(TG) were measured in 632 patients with large artery atherosclerosis(LAA), in 470 patients with small vessel occlusion(SVO), and in 194 patients with cardiac embolism(CE), and compared with age- and sex-matched 469 control subjects.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lipid profile between LAA, SVO and CE. Results : Compared to control, the TC, LDL and HD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p<0.001, p=0.002 and p=0.010). But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 group (p=0.037) than in control. Higher non-HDL levels were observed in the patient group (p<0.001). The plasma lipid profile was similar in the LAA and SVO subtypes except for TG, which was lower in LAA than in SVO. Compared to control,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DL levels was observed in the CE subtype (p<0.001). Conclusions : This controlled study shows that hypercholesterolemia and elevated levels of non-HDL cholesterol are commonly found in patients with LAA and SVO, whereas hypertriglyceridemia is related only to SVO. In addition to hypertension and diabetes, hypercholesterolemia may be involved in the etiology of SVO and differs from LAA by higher levels of T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대상 및 방법 = 4 Ⅲ. 결과 = 8 Ⅳ. 고찰 = 16 참고문헌 = 20 ABSTRACT =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16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Blood lipid levels in ischemic stroke subtypes-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Kwon, Joo Young-
dc.format.pageⅵ, 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