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초등학교 교실 맥락에서 부모와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에 관한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교 교실 맥락에서 부모와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에 관한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 Insecurely Attached Child under The Circumstances in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Authors
김일주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arch the characteristics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represent in studying activity and the difficulties between the peer groups and to find how a teacher should help such children. It took about one year to study from November, 2007 to May, 2009. This study was don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to amend and complement Pilot Study. Research Problems were the characteristics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represent relations between the peer groups and between a teacher.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Ⅰ :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show in ma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 groups under the circumstances in class at elementary school? Research Problem Ⅱ :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express between a teacher? After deciding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started to do observation in the class of elementary school and tri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through interviews as to the fact and insufficient part we couldn't understand through observation. Because this study generated the research material through the research worker's observation, this writer used Prolonged and persistent observation and triangulation to objectify the research and try to improve the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researching relations between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and the peer groups under circumstances in class at elementary school through observation, the writer made out the peer groups' negative acceptance toward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and the difficulties in making relationships. Likewise preceding research that low or high achievement in study influenc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 groups,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was considered through negative image by the peer groups owing to their low achievement in study. Consequently, they couldn't take part in the games with other children and are afraid of being treated distantly by other children. In spite of that,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made efforts to mak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 groups and to attract other children's interest by using nonverbal expressions. However,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ren did not always mak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 in class. They would not lend something to others who have low ability in carrying out school task, which showed their selfishness and made use of language which contained ignorance about not performing tasks. The writer thought that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didn't obtain social skills and their action happened through the way of bringing up children with negative acceptance. second, after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under circumstances in class at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 this children took a passive attitude and did not have intimacy toward teachers at the beginning of the term. The teacher responded to their acton sensitively, praised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or used expressions containing quick wits to show interest toward them. Moreover, when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gave a correct answer, teachers induced other children to clap their hands and helped them improve the negative image toward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Due to teachers' help, they started to build the intimacy with teachers. Very uniquely, the Insecurely Attached Child would not open their mind between them and teacher as they have difficulties in many sides. Teacher should support emotionally and help them consistently giving thei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ir such characteristics. Teacher's emotional support allow them to help obtain the social skill in making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 get along with other children, feel a sense of stability during their school life and change their negative self-image into sound self-image.;본 연구는 현재 국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이 교실 맥락에서 나타내는 학습 활동의 특징과 또래집단과의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중점적으로 알아보며, 더불어 교사가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에게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2007년 1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약 1년간 연구 되었으며, 질적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절차는 예비 연구(Pilot Study)를 하여 수정, 보완하여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의 관점에서 또래집단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특징과 교사와의 관계에서 보이는 특징을 연구 문제로 다음과 같이 정리 하였다. 연구 문제 1 : 초등학교 교실 상황에서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과 또래집단 과의 관계에서 보이는 특징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 초등학교 교실 상황에서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 이상에서와 같이 연구 문제가 정해진 후에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참여 관찰을 시작하였고, 관찰을 통해 알 수 없는 사실이나 부족한 부분은 면담을 통해 사례 연구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관찰을 통해 자료를 생성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를 객관화 하기위해 신뢰도 구축은 집중적 관찰(Prolonged and persistent observation)과 삼각 검증법(triang -ulation)을 통하여 하였다. 위의 방법을 통해 얻어낸 연구 결과는 연구 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 된다. 첫째, 초등학교 교실 상황에서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과 교실 아동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관찰을 통해 살핀 결과,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에 대한 또래 집단의 부정적 수용과 관계를 맺어나가는데 있어 생겨나는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학업 성취의 높고 낮음은 또래 관계에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와 같이 아동은 학업 성취가 낮은 탓에 교실 아동들 속에서 부정적 이미지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때문에 놀이에 끼어들지 못하였고, 아동은 소외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은 교실 아동들과 관계를 맺기 위해 교실 아동들에게 비언어적 표현을 하며 관심 획득을 하려 노력하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아동이 항상 교실 아동들에게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 노력한 것은 아니다. 자신 보다 학업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아동들에게는 물건을 빌려주지 않으려 하며 이기심을 드러내기도 하였고, 과제 수행 시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무시하는 언어 사용을 하였다. 이와 같은 행동은 아동이 사회적 기술을 획득하지 못하였고 부정적 수용의 양육 방식을 통해 학습된 행동이라고 본다. 둘째, 초등학교 교실 상황에서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과 교사와의 관계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 본 결과, 초기 단계에는 교사에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며 친밀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아동의 소극적인 태도에 교사는 관심을 표현하기 위해 아동의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칭찬을 하거나 재치 있는 언변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질문에 아동이 답하였을 때는 박수를 유도하며 교실 아동들에게 있는 연구 대상아동의 부정적 이미지를 벗을 수 있도록 도왔다. 교사의 적극성은 아동과 교사와의 친밀함을 조금씩 맺어나갈 수 있도록 도왔는데, 특징적으로 나타난 것은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은 다면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와의 관계에서 쉽게 마음을 열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불안정 애착을 가진 아동에게 교사는 정서적 지지와 도움을 지속적으로 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교사의 정서적 지원은 교사와의 관계를 맺으면서 사회적 기술을 획득 할 수 있도록 도우며, 더 나아가 또래 관계가 원만 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본다. 또한 학교생활을 하는데 있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우며, 타인의 거부로 인해 생겨난 부정적 자아상을 건강한 자아상으로 변화 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