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8 Download: 0

아동간의 또래 괴롭힘과 학급 풍토와의 관계

Title
아동간의 또래 괴롭힘과 학급 풍토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Between Peer Bullying In Children and Classroom Climate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효
Abstract
아동간에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은 사회적 발달(social development)과 관련한 제 주제 중 또래와의 관계와 공격성, 그리고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주체로서, 아동들의 현재의 학교 생활뿐만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아동의 정의적, 사회적 발달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또래 괴롭힘 현상을 이제까지의 또래 괴롭힘에 대한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즉, 또래 괴롭힘을 개인별 특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했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학급 문화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아동들이 지각하는 학급 풍토를 또래 괴롭힘의 중요한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학급 풍토 유형에 따라 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의 정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학급 충토의 유형 및 그 하위변인과 또래 괴롭힘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급 풍토의 각 유형( 자율적, 통제적, 친교적 풍토 학급)은 또래 괴롭힘 정도에 있어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가? 2. 학급 풍토 유형 및 그 하위 변인과 또래 괴롭힘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1 자율적 풍토, 통제적 풍토, 친교적 풍토는 각각 또래 괴롭힘 정도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2 교사의 추진성, 지시성, 사려성과 또래 괴롭힘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2.3 아동의 자발성, 추종성, 친밀성과 또래 괴롭힘 정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11학급 408명이다. 학급 풍토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Halpin과 Crofu가 개발한 조직 풍토 기술 질문지(OCDQ: Organization Climate Description Questionare)를 김창걸(1985)이 초등학교 학급 실정에 적합하게 수정, 발전시킨 것을 사전 연구를 통해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또래간의 괴롭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PNI(Peer Nomination Inventory) 및 SEQ(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PNI도구는 Perry와 그의 동료들(Perry, Kusel & Perry 1988)이 1988에 Wiggins와 Inder(1961)가 개발한 PNI를 토대로 수정한 것이다. 또한 SEQ도구는 1996년에 Crick Grotpeter가 개발한 도구로서, 이 두가지 도구를 결합,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선(ANOVA) 및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즉, <연구문제1>에서는 학급 풍토 유형별 괴롭힘 정도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집단에 대해서는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학급 풍토 유형 및 그 하위변인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급 풍토 유형에 따른 또래 괴롭힘의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급 풍토 유형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자율적 풍토 학급과 통제적 풍토 학급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통제적 풍토 학급과 친교적 풍토 학급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풍토의 성격이 유사한 자율적 풍토 학급과 친교적 풍토 학급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아동간에 발생되는 현상이 또래 괴롭힘이 아동들의 개인적인 특성에서만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학급의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학급의 풍토를 조성하는 교사의 학급 경영 방식이라든가, 교사의 행동 특성 등이 아동간의 괴롭힘 정도에 있어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이러한 학급 풍토가 또래 괴롭힘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학급 풍토 유형에 따른 또래 괴롭힘의 정도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학급 풍토의 유형 및 그 하위변인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각각의 학급 풍토 유형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율적 풍토의 학급과 또래 괴롭힘 정도, 친교적 풍토 학급과 또래 괴롭힘 정도간에 상관지수는 낮은 편이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통제적 풍토의 학급과 또래 괴롭힘 정도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이는, 대상 학습의 통제적 경향이 미약함으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학급 풍토 유형의 하위변인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와 관련된 하위 변인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자율적 풍토의 교사의 행동 특성인 추진성과 친교적 풍토의 행동 특성이 사려성이, 또래 괴롭힘과 낮은 상관지수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즉, 교사의 행동 중 추진성이 높고, 사려성이 높을수록 아동간에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 정도가 낮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통제적 풍토를 형성하는 교사의 행동이 지시성과 또래 괴롭힘 정도는 상관지수는 낮은 편이나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는, 교사의 행동 특성 중 지시성이 강하게 나타날수록 학급 내에서 아동간의 또래 괴롭힘 정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드러내 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아동과 관련된 학급 풍토 유형의 하위변인과 또래 괴롭힘 정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행동 특성 중에서 또래 괴롭힘 정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는 변인은 없었다. 즉, 자율적 풍토를 형성하는 아동의 행동 특성인 자발성과, 통제적 풍토를 형성하는 아동의 행동 특성인 추종성, 친교적 풍토를 형성하는 친밀성과 또래 괴롭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급 풍토를 구성하는 하위 변인에서 교사의 행동 특성이 아동의 행동 특성보다 또래 괴롭힘 정도에 더 많은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아동간에 발생하는 또래 괴롭힘 현상은 아동이 속해 있는 학급 풍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학습내의 교사의 학급 경영 방식 및 태도에 따라 아동간의 괴롭힘 정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학급 문화 및 풍토가 아동간의 괴롭힘 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으며, 또래 괴롭힘 현상에 있어서 학급을 경영하고, 풍토를 조성하는 교사의 역하 및 영향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또래 괴롭힘에 대한 연구들이 괴롭힘과 관련된 아동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대해서만 가졌던 관심에서 벗어나, 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가정 환경 및 학급 환경인 원심 요인(distal factors)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아동들의 또래 괴롭힘의 관련 변인으로서 학급 풍토를 살펴보았다는 점과, 또래 괴롭힘에 대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직접적인 시사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eer bullying among the groups focused on the typos of classroom climate. This study was also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peer bullying and the types of classroom climate and subordinate factors. The present study was approached in a different perspective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d been carried out on peer bullying. In other words, the previous studies had been focused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this study was focused on classroom culture.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degree of peer bullying among the groups focused on the types of classroom climate(autonomous climate, controlled one and familiar one)? 2.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classroom climate and subordinate factors and degree of peer bullying? 2.1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peer bullying depending on the autonomous climate, controlled one and familiar one? 2.2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peer bullying depending the thrust, demand and consideration of the teachers? 2.3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peer bullying depending on the voluntary, obedience and intimacy of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8 students from 11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rganization Climate Description Questionnaire (OCDQ) by Halpin and Croft was adjusted to suite the elementary students of this study. Furthermore, PNI(Peer Nomination Inventory) and SEQ(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 used to study the degree of peer bullying were also revised and applied. The PNI instrument used was developed by Perry and his colleagues (Perry, Kusel & Perry 1988) in 1988 based on the PNI questionnaire by Wiggins and Winder(1961). Furthermore, the SEQ instrument was based on th instrument developed by Creck Grotpeter in 1996. Therefore the questionnaires used were based on the interfacing of these two instru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and analyzed by terms of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of degree of the peer bullying in classroom climate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eer bullying. There were statistic differences in peer bullying between autonomous and controlled classroom climate and also statistic differences in peer bullying between controlled classroom climate and familiar one. 2. To find out in derail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eer bullying in different classroom clima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lassroom climate, subordinate factors and degree of peer bullying. First,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lassroom climate and degree of peer bullying,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ow statistic negative relations between autonomous climate and degree of peer bullying, and also between familiar climate and degree of peer bullying. But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ontrolled climate and degree of peer bullying.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 factors concerned with teacher and degree of bullying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ow statistic negative relations between the thrust, consideration of the teacher and the degree of bully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low statistic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demand of teacher and degree of peer bullying. Furthermore,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subordinate factors concerned with student and degree of bullying. The above showed that in subordinate factors that establishes classroom climate, the actions of the teacher had a greater effect in the degree on peer bullying than the actions of the children did.. Overall, degree of peer bullying can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lassroom climate, and different actions and management methods of the teachers greatly affects these degree of peer bullying. these explains the important point that classroom culture and climate can affect the degree of peer bullying, and the importance of a teacher's role in establishing a good classroom clima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