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초등 영어과 수행평가 사용 사례 분석

Title
초등 영어과 수행평가 사용 사례 분석
Authors
김수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어과 수행평가의 목적과 사용실태 그리고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교사들의 평가관을 분석하여 현장 교사들의 수행평가 사용 정도와 질적 측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초등 영어과 수행평가와 교육과정 및 수업과의 관련성은 어떠한가? 2. 교사들의 초등 영어과 수행평가 목적은 어떠한가? 3. 교사들이 초등 영어과 듣기ㆍ말하기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수행평가 유형들은 무엇인가? 4. 교사들은 초등 영어과 듣기ㆍ말하기 평가를 위해 어떻게 계획하는가? 5. 교사들은 채점 기준을 어떻게 개발ㆍ사용하는가? 6. 교사들은 채점을 어떻게 하는가? 7. 교사들은 채점결과의 보고를 어떻게 하는가? 8. 교사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결과를 활용하는가? 초등영어과는 지필시험 형태의 평가보다는 주요 수업 중에 관찰과 실기 평가가 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연구방법으로는 면담, 문서 분석, 관찰법을 사용하였다. 교실관찰의 많은 유용한 정보들이 양적으로 코딩하는 과정에서 소실되는 것을 질적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보충할 수 있다고 말한 Marshall과 Weinstein의 연구(1986)를 참조하여 양적으로 분석하되 문맥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교사 면담과 교실 과찰 기록과 같은 질직인 기록을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의 성격에 따라 강조하여 사용된 연구방법은 약간씩 다르며 만담과 수업관찰, 평가 결과 보고 문서 분석에 사용된 준거들은 Herman, Aschvacher & Winters(1992)의 “수행평가 이론과 실제”를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교사들과의 직접 면담에서는 각 분석 항목에 부합하는 정도를 매우 일치, 비교적 일치, 조금 다름, 전혀 다름의 네 가지 척도로 구분하여 판단하도록 하였다. 수업관찰 분석은 교사들의 수업을 과찰, 녹음한 다음 전사하였다. 교사들이 평가장면이라고 동의한 수업활동에 대해서 구체적인 분석 준거에 의해 매우 일치, 비교적 일치, 조금 다름, 전혀 다름의 4가지로 판단 분류하였으며, 교사 면담 분석 자료와 실제 수업장면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평가결과보고 문서 분석은 작년 1학기에 작성된 평가 결과 보고 문서와 체크리스트를 얻어 분석하였으며 분석준거에 부합하는 정도를 매우 일치, 비교적 일치, 조금 다름, 전혀 다름의 4가지고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수업관찰분석과 평가 결과 보고 문석 분석에 있어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판단자 일치도는 연구자 외 수행평가 전문가와 ±1의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가를 보았다. 일치하지 않은 문항에 대해서는 제 3의 판단자와 협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교실 관찰의 질적인 맥락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사 면담자료와 노트 기록을 발췌하여 양적인 분석과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각 연구문제별로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평가관은 면담 분석 겨과와 수업관찰 결과가 매우 일관되었다. 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육평가란 학생의 학습과정과 결과를 지속적, 전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곧 수행 평가관과 부합한다. 2. 교사들의 평가목적은 면담 결과와 수업 관찰에서 나타난 실제 수행평가 실시에 있어 비교적 일관되었다. 교사들의 수행평가 목적은 평가를 통해 학습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반영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육성하고 학습지속력을 기르고자 하는 것이므로 궁극적으로는 적극적으로 교수학습과정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3. 교사들은 평가문항을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기보다는 직접관찰의 방법을 선호하였다. 듣기ㆍ말하기 수행평가를 위해 관찰법, 면접법, 수업활동 결과물의 방법을 택하고 있음을 교사와의 면담과 수업 관찰 분석 결과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이 실제 사용하는 수행평가 방법은 분석준거와 매우 부합하며 실제 수행평가 유형과 일관됨을 보여주었다. 4. 면담과 수업관찰 분석 결과, 교사들의 평소의 수행 평가 계획과 실제 수행평가 실행이 일관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업목표와 평가목표가 같다고 보고하였으며, 실제 수업 관찰 결과 수업목표와 평가의 목표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5. 교사들의 면담에서 보고된 채점기준과 실제 평가 결과 보고 문서에 제시된 채점기준의 일관성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교사들의 평가 결과 보고 문서 분석 결과는 면담 결과와 비교적 일관된 모습을 보였으나, 교사별로 분석 준거의 부합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6. 교사들의 면담에서 보고된 채점 방법은 다음과 같이 분석준거에 전혀 부합하지 못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현장검증을 거친 문서화된 채점 지침과 모든 점수에 대한 해설과 채점의 사례를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채점자를 위한 충분한 연습과 피드백, 여러 명의 채점자 확보 등 채점 방법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묻는 분석준거에 전혀 부합하지 못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채점 과정 내내 정기적으로 신 회도를 체크하거나 채점자 재훈련, 적절한 신뢰도 데이터에 대해서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아서 분석 준거에 전혀 부합하지 않았다. 7. 교사들은 채점 결과 보고에 있어 대부분 매우 일관된 태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교사들은 평가의 가장 기본적인 이론적 틀은 의사소통능력 평가, 즉 언어수행평가가 되어야 하고 학생들의 정의적인 측면까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함으로써 과제의 과정과 결과를 연결하는 일관된 이론적 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8. 교사들의 채점 결과 활용은 분석 준거에 매우 부합되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행평가의 결과를 교수학습 기록 및 보고의 용도 외에 교수학습 개선 자료, 교사의 자기평가로 이용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교사들은 다음 학기의 교수학습 개선자료로서 재투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1997)에 따르면 초등학교 영어과의 평가는 학습자의 의사소통 수행과정을 관찰하여 그 발달 정도를 점검하는 것이 주가 되며, 무엇보다도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느끼는 것이 중요하므로 정의적인 영역의 평가도 중시하도록 하고 있다. 교사들은 대체로 이러한 초등 영어과의 교과적 특징과 평가목적에 부합하는 평가의 유형이 수행평가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들의 평가관과 수행 평가관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수행평가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수행평가의 유형인 직접 관찰은 초등 영어과에 적합한 수행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수행평가 시행 절차를 크게 교육내용 분석, 평가목표 설정, 평가계획 수립, 평가실시, 평가 결과 기록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교사들은 초등 영어과 교육내용과 평가목표 설정에는 일관된 계획을 하고 있었으나, 평가계획 수립, 평가실시, 평가결과 기록의 부문에서 몇 가지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교사들은 수행평가 채점 기준 작성시 의사소통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평가영역으로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평가 영역이 설정된 후 학생의 성취수준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체적인 서술이 없거나 명료화 되어 있지 않고, 성취 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으며, 각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응답의 표본 혹은 사례도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교사들은 수행평가 문항제작의 계획에 적극적이지 않았으며, 기준안 작성이나 채점 과정에도 동료교사와의 협의나 협조 없이 혼자서 하고 있었다. 이는 각 교사들이 학교에서 담당하는 학급의 수가 많고 영어과의 경우 한 학년을 전적으로 혼자 전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교사들은 수행평가 결과를 학생들의 성취도 진단 뿐 아니라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혹은 교수·학습 개선안을 개선하는데 재투입하고자 하는 것을 볼 때, 국가가 제시한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교사들이 별도로 채점자 훈련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채점과 최종 결과 활용을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아 일관성과 공정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초등 영어과 듣기·말하기 수행평가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교사들 대부분이 수행평가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나, 평가 계획과 채점 기준 등 수행평가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부분에 대해 교사들의 실천 정도가 미흡하였으며, 동료교사와의 협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미흡한 부분에 대해 교사들이 심층적 연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학교 내외에서 연수를 실시하고, 학교별로 효과적인 수행평가 실시를 위한 초등 영어과 교사 연구협의체를 둠으로써 지속적, 체계적인 연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기초로 제작된 교과서와 지도서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므로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의 각 단계별 성취 수준에 따른 수행평가 과제의 구체적 채점 기준들을 제시하여 교사들이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각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응답 사례를 제시해 주면 채점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actual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 elementary school centered on listening & speaking.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1. To what degree are the EFL teacher's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 consistent with curriculum and instructions? 2. What are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ssessment used by the EFL teachers? 3. What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do the EFL teachers use to assess student's listening & speaking skills? 4. How do the EFL teachers plan test for listening & speaking? 5. How do the EFL teachers plan actual develop scoring guide? 6. How do the EFL teachers report the results of score the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7. How do the EFL teachers utilize the results of score the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 of methods were used : interviews, document analyses, actual observations. Three EFL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The grading reports collected from three EFL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interviews of EFL teachers and analyses of observation, EFL teacher' considerations of assessment corresponded to essence qualitie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kinds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the EFL teachers used frequently were the directive observations. The EFL teachers had consistent scoring plans in establishment of assessment's purpose and curriculum contents. But they were not complete to the establishment of assessment plans, and the reports of result. They did not have that the cases or samples of responses correspond to each grade of accomplishment and the scoring criteria of accomplishment detailed and cleared. Second, the EFL teachers were not active about the developing of written assessment questions. And they worked alone without helping of other fellow teachers even at the planning of score criteria and scoring process. In my opinion, the reasons were that they had big class, and taken charge of whole scoring. At the situation of no training the scorer, it was very urgent secure the coherence and equity in regard to the scorer's objectivity. Because personal opinion of scorer frequently had an interest in it.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FL teachers understood the nature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agreed with necessity of enforce performance assessment. But they were not active about part of qualitative performance assessment such like scoring plans and scoring criteria. The EFL teachers did not consulted together other fellow teachers. So I proposed that the EFL teachers should be taken the high qualitative training and a meeting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study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EFL teachers depended on the text book and the guide book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should present concrete scoring criteria of each accomplishment grade so that teachers refer to and use. To present sample responses of each accomplishment grade make higher confidence of scor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초등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